• 제목/요약/키워드: Papiliotrem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227초

Heavy Metal Tolerance of Novel Papiliotrema Yeast Isolated from Vietnamese Mangosteen

  • Nguyen, Kim Cuc Thi;Nguyen, Phu Van;Truong, Hai Thi Hong
    • Mycobiology
    • /
    • 제48권4호
    • /
    • pp.296-303
    • /
    • 2020
  • Three yeast strains (Hue-1, Hue-8, and Hue-19) with strong heavy metal tolerance were isolated from mangosteen from Hue city, Vietnam. They exhibited identical phenotype and phylogeny. Sequence analysis of the D1/D2 region of the LSU rRNA gene and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demonstrated that the closest relative of these strains is Papiliotrema sp. with 2.12% and 3.55-3.7% divergence in the D1/D2 domain, and ITS domain, respectively. Based on the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data, the three strains belong to a novel species of Papiliotrema genus, for which the name Papiliotrema huenov sp. nov. is proposed. These strains are highly tolerant of heavy metals compared to other yeasts, being able to grow in the presence of 2 mM Pb (II), 2 mM Cd (II), and up to 5 mM Ni (II), but no growth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1 mM As (III).

Structure and Foaming Properties of Viscous Exopolysaccharides from a Wild Grape-Associated Basidiomycetous Yeast Papiliotrema flavescens Formerly Known as Cryptococcus flavescens

  • Oluwa, Salomon Woy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1호
    • /
    • pp.1739-1749
    • /
    • 2020
  •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the yeast Papiliotrema flavescens, isolated from wine grape berries of Champagne vineyard, was investigated for both chem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SECMALLS and colorimetric assay analyses showed that the EPS is a high MW heteropolymer (2.37 × 106 g/mol) majorily consisting of mannose, glucose, xylose and glucuronic acid as monosaccharide constituents, with two substituents (sulphate and phosphate groups), and a minor protein moiety. Structural enchainment of these carbohydrates based on methylation, GC-MS and NMR analyses revealed a linear main backbone built up of α-(1 → 3)-D-mannopyranosyl residues on which are branched side chains consisting of a single β-D-glucopyranosyluronic acid residue and β-(1 → 2)-xylopyranoses (2-5 residues). Suggestion of some xylopyranose side chains containing a mannose residue at the nonreducing terminal end was also proposed. This is first report on EPSs from the grape P. flavescens yeast with such structur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nvestigations for valuating the application performance of these EPS in relation with their structural features were carried out in 8% alcohol experiment solutions. Very exceptional viscosifying and foaming properties were reported by comparison with commercial biopolymers such as Arabic, gellan and xanthan gums.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he natural biopolymer from this wild grape-associated P. flavescens yeast make it a potential candidate for use in various biotechnology applications.

Removal of Manganese and Copper from Aqueous Solution by Yeast Papiliotrema huenov

  • Van, Phu Nguyen;Truong, Hai Thi Hong;Pham, Tuan Anh;Cong, Tuan Le;Le, Tien;Nguyen, Kim Cuc Thi
    • Mycobiology
    • /
    • 제49권5호
    • /
    • pp.507-520
    • /
    • 2021
  • Papiliotrema huenov was previously reported to be highly tolerant of a range of extremely toxic heavy metal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P. huenov to remove manganese and copper from aqueous solution. Physical conditions which affect removal of Mn(II) and Cu(II) were determined. Optimal temperature for adsorption of both metal ions was 30 ℃, and optimal pH for maximum uptake of Mn(II) and Cu(II) were 5 and 6, respectively. Under these conditions, living cells of P. huenov accumulated up to 75.58% of 110 mg/L Mn(II) and 70.5% of 128 mg/L Cu(II) over 120 h, whereas, the removal efficiency of metal ions by dead cells over 1 h was 60.3% and 56.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ving cells are more effective than dead biomass for bioremediation, but that greater time is required. The experimental data extends the potential use of P. huenov in biosorption and bioaccumulation of toxic heavy metals to copper and manganese, two of the most common industrial contaminants.

미백성 Tyrsoinase 저해물질 생산 비병원성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91와 Papiliotrema laurentii ON30의 균학적 특성과 Tyrosinase 저해물질의 생산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hitening Tyrosinase Inhibitor-producing Wild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91 and Papiliotrema laurentii ON30 and Production)

  • 김지윤;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5-296
    • /
    • 2020
  • 본 연구는 야생효모로부터 미백성 tyrosinase 저해 물질을 생산하여 기능성 화장품 생산에 응용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위해 대전광역시 3대 하천과 충남 금산의 향신료 재배지의 주변 토양들과 부식물 등에서 분리한 비병원성 효모들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우수 균주들을 선발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과 tyrosinase 저해제 생산 조건을 조사하였다. 먼저 대전시 하천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에서는 S. cerevisiae WJSL0191의 무세포추출물이 가장높은 33.2%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고 금산 향신료 재배지에서 분리한 효모중에서는 P. laurentii ON30가 27.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이들 두효모들을 우수균주들로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균주 모두 자낭포자를 형성하였으나 의균사를 형성하지 않았고 YPD 배지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다. 특히S. cerevisiae WJSL0191은 20% 포도당을 함유한 YPD 배지와 15% NaC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는 내당성과 호염성을 보였다. S. cerevisiae WJSL0191과 P. laurentii ON30의 주름생성 억제에 관련된 elastase 저해 활성은 각각 26.2, 18.6%를 보였고 노화 억제관련 SOD유사활성은 각각 10.2%와 3.7%로 나타내었다. S. cerevisiae WJSL0191의 tyrosinase 저해물질의 최적 생산 조건은 30℃에서 72시간동안 YPD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최고 96.1%의 저해활성을 보였고, P. laurentii ON30은 YPD 배지로 20℃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30.4%의 최고 저해활성을나타내었다.

한국의 메뚜기의 장에서 분리된 Cellulose를 분해하는 담자균 효모 (Cellulose degrading basidiomycetes yeast isolated from the gut of grasshopper in Korea)

  • 김주영;장준휘;박지현;정희영;박종석;조성진;이훈복;;;성기호;김명겸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62-368
    • /
    • 2018
  • 메뚜기는 광합성으로 고정된 탄소의 소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내 미생물 군의 도움으로, 메뚜기는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와 같은 잎의 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기도에서 수집한 메뚜기 껍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분해 효모 균주를 조사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효모 균주 중 ON2와 ON17 (두 균주)과 ON6 (한 균주)는 CMC-플레이트 분석에서 셀룰로오스 활성을 보였다. Large subunit rDNA의 D1/D2영역의 서열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의 분석 결과, ON2와 ON17 균주가 Papiliotrema aspenensis CBS $13867^T$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고(D1/D2 영역의 서열 유사성은 100% ITS에서 99.4%의 서열 유사성) ON6 균주는 Saitozyma flava와 관련된(D1/D2영역에서 100%, ITS에서 99.0%)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다. 이 세 가지 효모 균주는 모두 셀룰로오스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공생하는 효모들은 탄수화물 분해를 위한 효소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당 단당체를 휘발성 지방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Tremellomycetes에 속하는 공생 효모 균주인 ON2, ON17 (Papilioterma 속)과 ON6 (Saitozyma속)은 한국에는 보고되지 않은 균주이다.

대전광역시 도시 자연공원 부엽토와 주변 산림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동정 및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Humus-rich Soil in City Park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the Unrecorded Wild Yeasts)

  • 한상민;이상엽;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5-82
    • /
    • 2018
  • 대전광역시 유성구 복용 자연공원 부엽토와 주변 토양 85점을 채취하여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한 결과, 야생효모 49종 91균주들이 분리, 동정되었다. 가장 많이 분리된 야생효모는 Cryptococcus속 균이었고 Cryptococcus aureus이 11균주로 가장 많았다. 또한 분리균 중 Kwoniella mangroviensis JSS0500, Candida corydali JSS0501, Candida bombi JSS0503, Candida multigemmis JSS0504, Cryptococcus dimennae JSS0506, Cryptococcus saitoi JSS0507, Cryptococcus victoriae JSS0508, Metschnikowia pulcherrima JSS0502, Papiliotrema aurea JSS0505, Debaryomyces vanrijia JSS0509, Occultifur externus JSS0510, Filobasidium floriforme JSS0511과 Yamadazyma scolyti JSS0512 등 13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효모 균주들로 선별되었고 이들 야생효모들은 구형으로 출아법으로 영양증식하였다. Candida corydali JSS0501 등 7균주들이 vitamin을 함유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잘 생육하였고 Cryptococcus victoriae JSS0508 등은 10% NaCl를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들이었다.

향신료 재배 토양과 주변 산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Soils of Spice Fields and Mountains)

  • 김지윤;한상민;박선정;장지은;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1-160
    • /
    • 2020
  • 향신료 재배 토양 내에서 분리한 효모 중 이들의 분포와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의 향신료 재배토양에서 35종 58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Trichosporon moniliiforme균이 우점균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둔산 일대 산림토양에서 46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이들 향신료 토양들과 산림 토양 등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Pseudozyma alboarmeniaca CD23-5, Filobasidium stepposum SFG1-4, Aureobasidium caulivorum HD17-5, Metschnikowia noctiluminum HD29-2, Papiliotrema anemochoreius NK2-12, Hannaella surugaensis DCH25-5, Microbotryozyma collariae DCH1-4, Rhodosporidiobolus lusitaniae DCH30-2, Wickerhamiella azyma DCH46-3등 10균주의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출아, 분열법으로 영양 증식하였다. Filobasidium stepposum SFG1-4균주를 포함하는 5균주들은 포자를 형성하였고 Pseudozyma alboarmeniaca CD 23-5등 3 균주들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모두 생육하였다. Wickerhamiella azyma DCH 46-3는 20% 포도당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균주는 5% NaCl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거의 없거나 10% 미만이었지만,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Filobasidium magnum SFG1-3가 28.6%로 높게 나타났으며,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은 Rhodotorula mucilaginosa GHP40-2 균주의 무세포추출물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axonomic Study on Six Yeast Species Unlisted in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 Chorong Ahn;Soonok Kim;Changmu Kim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24
    • /
    • 2023
  • More than five hundreds of yeast species (including 9 variants) encompassing 142 genera and 48 classes of 2 phyla exist in Korea. However, only 173 species have been cataloged in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NSLK), the backbone reference to claim sovereign rights over biological resources, as of December 2021, due to the lack of taxonomic descriptions, although some of these species are extensively used in industry. The present pilot study investigated the taxonomy of strains belonging to the six most widely used or frequently isolated yeast species (Meyeromyma guilliermondii,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opsis fibuligera, Wickerhamomyces anomalus, Candida tropicalis, and Papiliotrema flavescens) to include these species in the NSLK. Strains with diverse habitats and geographic origins were retriev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culture collection. These strains clustered in the same clade as the type strains of the designated species according to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D1/D2 sequences. Moreover, we described the cell morphology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strains of each spec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six species are indigenous to Korea and can be accordingly listed in the NSLK.

대전광역시 월평공원과 전북 격포해수욕장 주변 야생화와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과 생리 활성 (Isolation of Wild Yeasts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Flowers and Soils of the Wolpyung Park, Daejeon City and Gykpo Beach, Buan, Jeollabuk-do in Korea)

  • 장지은;박선정;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7-100
    • /
    • 2021
  • 많은 사람들이 다녀가는 도시공원과 해변 환경의 효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전광역시 월평공원 갑천 누리길과 내원사 주변의 야생화와 토양 75점에서 모두 88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또한 전북 부안의 격포해수욕장과 격포항 주변 야생화와 토양 35점에서 30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 야생 효모들 중 A. porosum ASCM32-1, A. scarabaeorum WP49-1, C. athensensis WP4-90-3, C. berkhoutiae WP34-2, C. bracarensis WP35-1, Cy. amylophila GP19-1, K. gamospora WP9-1, M. carpophila BN-17-1, T. namnaoensis WP4-89-1, V. taibaiensis WP13-2 등 10종의 국내 미기록종 후보 균주들을 선별하여 균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 주로 구형~타원형으로 모두 출아방식으로 영양 증식을 하였고 V. taibaiensis WP13-2와 K. gamospora WP9-1, C. athensensis WP4-90-3 외 7종의 미기록 효모들은 자낭포자를 형성하지 않은 무포자 효모들이었으며A. porosum ASCM32-1만이 의균사를 생성하였다. 대부분의 균주들은 YPD 배지와 YM 배지에서생육하였고V. taibaiensis WP13-2와K. gamospora WP9-1, T. namnaoensis WP4-89-1 균주들은 1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들이었고, Cy. amylophila GP19-1 균주는 40℃에서도 생육하였다. C. athensensis WP4-90-3 균주 등 5균주들이 10% 에탄올 내성을 보였고C. athensensis WP4-90-3 균주는 Li2+ 등 많은 중금속들에 대해서 내성을 보였다. 국내 미기록 효모들과 비병원성 야생 효모 균주 무세포추출물들의 β-glucuronidase 저해 활성은 C. oleophila WP5-19-1의 무세포 추출물이 49.0%로 가장 높았고 미기록 효모인 K. gamospora WP9-1의 무세포 추출물도 27.7%를 보였다. 호중구 elastase 저해 활성은 W. anomalus HO9-2가 38.4%로 우수하여 건강 소재로 생산에 매우 유용한 균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