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er-smartphone device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9초

위협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펨토셀 취약점 분석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Femtocell Vulnerability Analysis Using Threat Modeling)

  • 김재기;신정훈;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8호
    • /
    • pp.197-210
    • /
    • 2016
  • 최근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 및 사물인터넷 시대에 다양한 기기들이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기존 기지국의 포화 상태를 막기 위한 기술로 일종의 소형 기지국인 펨토셀(Femtocell)을 보급하고 있다. 그러나 해킹 기술의 발전에 따라 펨토셀의 본래 목적과는 다르게, 관리자 권한 획득과 같은 취약점들이 발견되고 이를 통하여 펨토셀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 노출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펨토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위협을 식별하고 체계적인 취약점 분석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협 모델링(Threat Modeling) 기법을 이용하여 펨토셀에 발생할 수 있는 보안위협을 분석하고 취약점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실제 취약점 분석을 한 결과를 다루어 펨토셀의 위협과 취약점에 대한 분석 및 사례 연구를 통해 펨토셀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WhoAmI: 와이파이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 (WhoAmI: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over WiFi and WiFi Direct)

  • 곽준석;박종문;이명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71-378
    • /
    • 2014
  • 사람들이 보다 다양한 사회 활동에 참여함에 따라 적절한 수준에서 개인 정보를 서로가 공유하는 작업이 더욱 빈번해지고 중요해지고 있다.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정보공유를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어플리케이션은 인접한 주위 사람들의 개인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와이파이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환경에서 주위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공유하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WhoAmI를 소개한다. WhoAmI는 명함, 동호회, 친구로 미리 정의된 액세스 수준에 따라, 접근 가능한 주위 사람들에게 개인의 프로파일 정보를 자연스럽게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음악, 사진, 동영상 같은 정보들 또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공유될 수 있다.

복수조직 구성원들의 상호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합 웹 메신저 개발 (Development of Wire-Wireless Integrated Web Messenger for Communication of users in a Multi-Organization)

  • 조미경;김정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181-1186
    • /
    • 2013
  • 대부분의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매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될 만큼 모바일 네트워크는 필수적인 상호통신의 도구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회사 내 구성원들의 상호통신을 위해 데스크 탑 컴퓨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내 메신저를 다양한 플랫폼을 가진 각종 모바일 장치들과 데스크 탑 컴퓨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합 웹 메신저로 개발하였다. 독립된 여러 회사를 복수조직이라 정의하고, 복수 조직을 하나의 메신저로 묶어 복수 조직의 구성원들이 서로 통신해야 되는 특수한 형태의 회사 조직을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따라서 특정 부서의 보안을 위해 웹 메신저 내 서로 다른 조직의 특정 부서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기능이 있다. 개발된 웹 메신저는 안드로이드, iOS 플랫폼 및 데스크 탑 기반의 다양한 웹브라우저들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작동하였다.

와이파이 속도 극대화 애플리케이션 (WiSMax : Wifi Speed Maximization Application)

  • 유규상;최민석;장백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440-3446
    • /
    • 2015
  • 오늘날, 사용자들은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항상 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일을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중 하나가 Wifi이다. 그러나 휴대용 무선기기 사용자 들은 속도가 느려지거나 연결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자주 생각하게 된다. 반면에, 유대용 무선기기 사용자들은 사용 가능한 여러 개의 다른 무선 Wifi 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 가 종종 존재 하는 것을 본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Wifi 액세스 포인트 중 가장 좋은 Wifi 액세스 포인트로 연결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WiSMax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WiSMax는 AP스캐닝을 통하여 기기 주변 AP의 메타정보를 비교하며 AP의 세기 값을 계산하여 실시간 세기의 변화를 보여주며 T주기마다 가장 적합한 AP를 n개 추천한다. 추천된 AP들 중 가장 좋은 신호의 AP를 추천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실험 결과 WiSMax는 기존 AP연결 알고리즘에 비해 평균 대략 15% 가량 다운로드가 빠르며, 신호의 세기 역시 평균 5dBm 높아 사용자에게 고속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보여준다.

실내/실외 컨텍스트 전이를 고려한 저전력 센싱 모델 (Sensing Model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Indoor/Outdoor Context Transition)

  • 김덕기;박재현;이정원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7호
    • /
    • pp.763-772
    • /
    • 2016
  • 다양한 센서가 부착된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상황인지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규모가 발달하고 있다. 하지만, 한정된 전력으로 인해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받기는 어렵다. 상황인지 어플리케이션 관점에서 볼 때, 컨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센싱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컨텍스트의 전이가 발생하면 필요한 센서들의 변화로 인해 센서 모듈들을 끄고 켜는 과정에서의 전력 소비가 크며, 정확한 센싱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과도한 센싱을 시도하게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실외 컨텍스트 전이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에 초점을 두고 해당 컨텍스트와 연관된 센서 활동을 모델링 한 뒤, 컨텍스트 전이가 일어나는 시점을 감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freezing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시중의 실내/실외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컨텍스트 전이가 발생하는 지점에서, 제안하는 기법의 유무에 따른 소비 전력 차이를 실측하였으며, 시중의 어플리케이션의 실제 구동 중 컨텍스트 전이과정에서의 전력 절감이 있었으며, 전체 시나리오에서 약 20%의 전력 절감 효과를 얻었다.

실내외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고려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 (Smart Home Service System Considering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and User Behavior)

  • 김재정;김창복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73-480
    • /
    • 2019
  • 스마트 홈은 가정의 가전제품, 에너지 소비 장치, 보안기기 등 모든 사물을 통신망으로 연결해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스마트 홈은 자동제어 뿐 아니라 상황과 사용자의 취향을 학습하고, 이에 맞는 결과를 스스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쾌적한 실내 환경 제어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전체 시스템 구성은 센서와 와이파이를 탑재한 ESP8266,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인 firebase, 스마트 폰 어플로 구성된다. 본 모델은 사용자가 가전기기 작동시의 학습모드, 학습 결과를 통한 학습 제어, 실내와 실외 센서의 값을 이용한 자동 환기 등의 기능으로 구분된다. 학습은 에어컨, 가습기, 공기청정지 등 가전기기 제어시의 온도와 습도에 대한 이동 평균을 이용하였다. 본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다양한 기계학습과 딥 러닝을 통해 사용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보다 고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임베디드 기기를 활용한 다중 방식 인증 시스템 (Multiple Method Authentication System Using Embedded Device)

  • 정필성;조양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7-14
    • /
    • 2019
  •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인증이 필요한 시스템에 접근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서 지식기반 인증, 소유기반 인증, 생체기반 인증, 토큰기반 인증 등을 이용하여 인증을 진행한다. 하지만 데스크탑 컴퓨터 사용자는 다양한 인증 방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증 기기의 제한으로 지식기반 인증 요소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의 인증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라즈베리 파이 기반의 다중 방식 인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 시스템은 지식기반 인증, 소지기반 인증, 생체기반 인증, 토큰기반 인증 방식을 사용한다. 제안 시스템을 이용하면 경제적인 부담 때문에 별도의 보안 담당자를 두기 어려운 중소기업에서 활용이 가능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현된 시스템은 개인용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금융,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WeMos와 유량 센서를 이용한 유속 모니터링 및 경보 알림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fluid flow measuring and warning alarm system using an WeMos and an fluid flow sensor)

  • 유문성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39-143
    • /
    • 2019
  • 여러 분야에서 유량 및 유속의 측정이 필요하다. 흔히 가정에서 보는 수도계량기가 있으며, 상하수도 플랜트, 석유화학 산업 등에서 유량계가 사용되고 있다. 유속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유속 이상 시 즉시 알리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최근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이런 장치를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WeMos는 미니 와이파이 사물인터넷(IoT) 모듈로 Arduino IDE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유량 센서는 통과하는 유량에 비례하는 디지털 펄스를 출력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속 감지 기능을 WeMos의 사물인터넷 구현기술에 적용시켜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시스템이 작동하면 WeMos는 유량센서의 값을 받아들여 유속을 계산하고 그 값을 서버에 JSON방식으로 보낸다. 서버에서는 그래프로 유속을 시각화하여 스마트폰으로 유속 값을 모니터링하게 한다. 그리고 유속 이상 발생시 Pushbullet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즉시 경보 메시지를 보내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A Study on Self-medication for Health Promotion of the Silver Generation

  • Oh, Soonhwan;Ryu, G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82-88
    • /
    • 2020
  •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care in the 21st centur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y, electronic devices and household goods taking into account the physical and mental aging of the silver gener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apps related to health and health are generally developed and operated. The apps currently used by the silver generation are a for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diseases by focusing on prevention rather than treatment, such as safety management app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methods for preventing diseases. There are not many app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foods that have a direct effect and nutrients in that food, and research on apps that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foods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 that analyzes food factors and provides self-medication for health promotion of the silver generation. This app allows the silver generation to conveniently and easily obtain information such as nutrients, calories, and efficacy of food they need. In addition, this app collects/categorizes healthy food information through a textom solution-based crawling agent, and stores highly relevant words in a data resource. In addition, wide deep learning was applied to enable self-medication recommendations for food. When this technique is applied, the most appropriate healthy food is suggested to people with similar eating patterns and tastes in the same age group, and users can receive recommendations on customized healthy foods that they need before eating. This made it possible to obtain convenient healthy food information through a customized interface for the elderly through a smartphon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OpenAPI기반 보안 프레임워크 (An OpenAPI based Security Framework for Privacy Protec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 윤용석;김강석;손태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293-1300
    • /
    • 2012
  • 모바일 디바이스의 진화와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실시간 의사소통과 정보공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OpenAPI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연동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구현된 프레임워크에 인증과 탐지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인증 방식으로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고 탐지 방법은 사용자가 지정한 입력패턴을 분석하여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지 사전에 미리 검증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에서의 개인정보보안을 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본 연구의 효율성 및 타당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