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er ash

검색결과 685건 처리시간 0.027초

Stabilization of expansive soil using industrial wastes

  • Mohanty, Soumendra K.;Pradhan, Pradip K.;Mohanty, Chitta R.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111-125
    • /
    • 2017
  • Swelling and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expansive fine grained soil cause volumetric changes followed by distress and damage to the structures. Soil stabilization can be explained as the alteration of the soil properties by chemical, mechanical or any other means in order to enhance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soil.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s in soil stabilization is cost effective and environment friendly.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stabilization of expansive soil using industrial wastes, viz. fly ash and dolochar. The paper includes the evaluation of engineering properties lik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California bearing ratio (CBR) of expansive soil collected from Balasore district of Odisha stabilized with fly ash and dolochar in different proportions and to predict the influence of these additives on engineering properties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expansive soil. Both fly ash and dolochar were found to increase the CBR and decrease many index properties such as liquid limit, plastic limit, plasticity index, swelling index and UCS, thus enhancing the strength parameters of expansive soil.

잔디상토로서의 제지스럿지와 연탄재 이용에 관한 연구 (Use of Paper Mill Sludge and Briquet Ash as Root Zone Soil Mixtures for Thrfgrass Culture)

  • 구자영;김태일;안주원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2
    • /
    • 1992
  • To determine the use of waste materials as root zone soil mixtures for turfgrass culture, the effects of paper mill sludge and briquet ash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turfgrasses were examined. Three turfgrass species of zoysiagrass(Zoysia japonicaSteud.). kentycky bluegrass(Poa pratensis L. 'Ram I') and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nistris Huds 'Persucross') were cultured in 32cm diameter plastic pots containing various soil mixtures. The basic ingredients used for mixtures included sand(SD), field soil(SL), paper mill sludge(PS), sphagnum peat moss(PM) and briquet ash(BA). Seven combinations using these ingreients were mixed in different percentage by volume as follows: SD+SL+PM(80:10.10), SH+SL+PS(80:10:10), SD-PM(80:20), SD+PS (80:20), SD+BA(80:20), SD+BA+PM(60:20:20) and SD+BA+PS(60:20:20). 1. Paper mill sludge showed pH of 6.6, more than 30% of organic matter content, and higher concentrations of total N, P, k, Ca, Mg and CEC. Bulk density, fild moisture capac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il mixtures were increased by the comimation of 10~20% PS by volume. 2. Briquet ash showed pH of 8.0, and higher levels of P, k, Ca and Mg than those of field soiks. Bulk density, field moisture capacity and hardenss of soil mixtures were increased but vertical water flow rat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decreased by the combination of 20% BA by volume. 3. Phytotoxic effects of PS and BA on growth of turfgrasses were not found. Shoot growth of all three species was higher in soil combination of SD+BA+PS than that of SD+SL+PM added with fertilizer. However, root growth was better in soil mixtures combined with PM. Soil mixtureomposed of 60% SD, 20% BA and 20% PS by volume was most effective on growth of all three species. 4. Paper mill sludge resulted in higher N level in the leaf tissu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such as Cd and Ph did not vary significantly among soil mixtures and species. However, the Mn level was 2~3 times higher in plants growh in mixtures containing PM compared with others, and especially it was higher in creeping bentgrass than other species.

  • PDF

수지처리한 면 편성물의 화산재 염색성능에 관한 연구 (The Dye Ability of Volcanic Ash on Cotton Knitted Fabrics Treated with Acrylic Copolymer)

  • 유복선;신인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3-19
    • /
    • 2008
  • In this paper, the dyeing ability of the volcanic ash dyeing on cotton knitted fabrics were investigated. Acrylic copolymer was used to improve the depth of fabric color in the dyeing process. K/S values of dyed fabric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dyeing properties. Two different classes of dyeing process were tested; (1) volcanic ash dyeing after pretreatment and (2) simultaneous co-treatment with volcanic ash and acrylic copolymer. In the first process, the effects of parameter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volcanic ash, concentration of Na2S04, dyeing time, dyeing temperature and pH of dyebath were noted. In the second process, the effects of parameters such as concentration of acrylic copolymer, dyeing time and temperature, and drying temperature were not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co-treatment of acrylic copolymer improved the dyeing properties of cotton knitted fabrics with volcanic ash. For the first dyeing experiment, concentration of dispersing agent was 0.1%, concentration of volcanic ash was 4%, treatment time was 20minutes, concentration of $Na_2SO_4$ was 2%, treatment temperature was $60^{\circ}C$ and treatment pH of dyebath was neutral. In the second dyeing experiment, concentration of acrylic copolymer was 2%, treatment temperature was $80^{\circ}C$, treatment time was 40 minutes, and treatment drying temperature was $150^{\circ}C$.

소각장(燒却場)에서 발생되는 바닥재의 콘크리트용 잔골재(骨材)로서의 재활용(再活用) (Recycling of the Bottom Ash, Sourced from the Local MSW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as a Fine Sand for Concrete)

  • 임남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2호
    • /
    • pp.40-47
    • /
    • 2007
  • 생활폐기물 소각장에서 발생되는 바닥재를 콘크리트 잔골재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기준모르타르에 모래 10%를 바닥재로 대체 하고 시멘트 10%를 포졸란성 규조토로 대체한 후, KS L 5105와 TCLP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바닥재의 유해중금속들은 TCLP 허용치 범위에 있었다. 포졸란성 규조토와 바닥재를 혼합한 모르타르 압축강도는 기준모르타르보다 높았으며 동시에 모든 유해중금속들은 TCLP 기준치 범위에 들어 있었다. 따라서 포졸란성 규조토를 안정재로 사용하게 되면 바닥재를 콘크리트 잔골재로 재활용할 수 있다.

특허와 논문으로 본 석탄 연소부산물의 지오폴리머 원료화 기술 동향 (Trends of Recycling Technologies in Utilization of Coal Combustion Byproducts for Manufacturing Geopolymers through Patent and Literature Analysis)

  • 이수정;조영주;조봉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2호
    • /
    • pp.81-89
    • /
    • 2014
  • 화력발전소 석탄재는 2010년을 기준으로 약 850만톤, 연탄재는 약 74만톤 배출된다. 이는 대량 재활용되지 않아 경제적, 환경적으로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석탄 연소부산물의 자원화기술개발이 시급하다. 석탄 연소부산물을 균질하게 가공하는 분쇄 및 선별 등의 자원처리기술을 적용하고, 석탄 연소부산물의 품질을 관리하여, 비소성 그린시멘트인 지오폴리머의 원료로 재활용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석탄 연소부산물의 지오폴리머 원료화 기술에 대한 특허와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범위는 1979년 ~ 2013년까지의 미국, 유럽연합, 일본, 한국의 등록/공개된 특허와 SCI 논문으로 제한하였다. 특허와 논문은 키워드를 사용하여 수집하였으며, 기술의 정의에 의해 필터링하였다. 특허와 논문의 동향은 연도, 국가, 기업, 기술 등에 따라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플라이애시 치환율 및 압축강도에 따른 콘크리트의 부착 거동 (Bond Behavior of Concrete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Fly Ash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 이형집;서정인;유성원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9-24
    • /
    • 2016
  • 현재까지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연구는 슬럼프, 강도 및 내구성 등 기본적인 재 료성질에 대해서 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구조부재에의 적용을 위해서는 철근의 사용이 필수적이므로 그 부착특성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를 구조부재에 적용하기 위한 정확한 기준이나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 특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직접 인발 시험을 수행하여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시멘트 콘크리트의 부착특성을 파악하고, 실험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비교하여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시멘트 콘크리트의 부착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시멘트 콘크리트의 부착거동은 일반콘크리트와 유사하게 거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부착강도는 묻힘길이가 클수록 부착강도를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어 고무 애쉬 치환에 따른 플라이애쉬 혼입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성능 평가 (Evaluation of Durability Performance of Fly Ash Blended Concrete due to Fly Ash Replacement with Tire Derived Fuel Ash)

  • 권성준;윤용식;박상민;김혁중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47-6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FA (Fly Ash)를 20%치환한 배합에 대하여 TDFA (Tire Derived Fuel Ash)를 3.0~12.0%까지 중량 치환하면서 내구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TDFA는 열병합발전소에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폐타이어를 혼소시킨 뒤 발생한 산업부산물로서 국내에서 콘크리트에 적용한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이를 위해 물-결합재를 50%, FA를 20% 치환한 Control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TDFA를 치환하면서 압축강도, 촉진 탄산화 시험, 촉진염해 시험, 공극구조평가를 수행하였다. 압축강도, 탄산화, 공극구조에서는 12%까지 TDFA를 FA와 치환해도 동등이상의 성능을 확보하였다. 특히 염해에 대해서는 TDFA의 치환률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염화물 확산계수의 감소를 나타내어 최종적으로 75.3~70.9%까지 염화물 확산계수가 감소하였다.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 배합시, 워커빌리티의 확보가 가능하다면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는 내구성 개선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폐어망 보강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의 전단특성 (Shear Properties of Bottom Ash-Crumb Rubber Mixture Reinforced with Waste Fishing Net Using Triaxial Test)

  • 권순장;김윤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9호
    • /
    • pp.81-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폐어망 보강과 폐타이어 분말 혼합에 따른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의 전단특성을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저회-폐타이어 혼합토는 저회와 폐타이어 분말(입경 2mm~10mm)의 무게비를 각각 1:0 및 1:0.5로 구성하였으며, 준비된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에 폐어망 보강 시 층수를 달리하여 보강함으로써 6종류의 시편(무보강 저회, 1층 혹은 2층 보강된 저회, 무보강 혼합토, 1층 혹은 2층 보강된 혼합토)을 준비하였다.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한 결과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의 전단특성은 폐어망 보강 층수와 폐타이어 분말 혼합에 크게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저회에 폐타이어 분말을 혼합하면 폐타이어 분말 자체의 압축적인 특성에 의해 내부마찰각은 감소한다. 그러나 폐어망 보강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의 내부마찰각은 증가한다. 이것은 폐어망과 저회-폐타이어 혼합토 입자간의 마찰 및 억물림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폐기물 소각장에서 발생된 소각비산회의 침출특성 (Characteristic of Leaching with Incineration Fly Ash of Industrial Solid Wastes)

  • 양종규;김종화;서명교;고태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8권1호
    • /
    • pp.18-2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산업폐기물 소각비산재를 2차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침출법으로 금속의 존재와 그 양을 확인하여 분리·회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소각 비산재의 침출액에서는 다량의 Cu, Pb, Zn과 다양한 유해 중금속이 미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소각재에 함유된 성분의 농도는 소각로에 도입되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침출제로서 물, 황산, 탄산암모늄의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여러단계의 침출조작을 시도하여 하였다. 물 침출에 의하여 구리를, 수산화나트륨의 침출액에 의하여 아연과 납을 분리하고, 3차 침출제인 탄산암모늄의 침출액에 의하여 물에 미용해된 구리를 착이온 형태로 선택적으로 침출할 수 있었다. 각 단계별에 의한 무게 감량율은 물, 황산, 탄산암모늄에 의한 각 단계의 침출에 의하여 77%의 감량을 확인하였으며, 그 외의 각 방법에서는 60%이상의 무게 감량을 나타내었다.

  • PDF

다량의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고유동충진재의 배합설계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mix design for flowable fill with high volume fly ash content)

  • 원종필;신유길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30-135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results of research performed to identify optimum mix proportions for production of flowable fill with high volume fly ash content. The fly ash used in this study met the requirements of KS L 5405 and ASTM C 618 for Class F material. Tests were carried out on concrete designed to have 10 ~ 15kg/$\textrm{cm}^2$ compressive strength at the 28-day age with fly ash contents of approximately 280kg/㎥. Slump was held at 25$\pm$1cm for all mixtures produced compressive strengths at 28 days were found to range from 5.03 to 13.69kg/$\textrm{cm}^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