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ax ginseng, ginsenoside

검색결과 626건 처리시간 0.03초

Characteristic study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curved ginseng products

  • Cho, Chang-Won;Kim, Young-Chan;Kang, Jin-Hee;Rhee, Young Kyoung;Choi, Sang Yoon;Kim, Kyung-Tack;Lee, Young-Chul;Hong, Hee-D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349-354
    • /
    • 2013
  • Dried ginseng (DG) is in fact the representing ginseng product in the worldwide market. Although it is made in various packages depending on the processing method, size and age of DG, basic scientific data reporting the chemical components are limited. In this study, 4-year-old curved ginseng (CG), one of the domestic DG products, was selected for further investigation. Eighty-six samples of 30 and 50 piece-grade CG, which are the most widely distributed in the market, were collected for 5 yr. Their major components, such as moisture, total sugar, acidic polysaccharides,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saponins, were analyzed to figure out the standard quality characteristics. The moisture content of all CG samples was less than 15%. The total water-soluble sugar contents were 22.9% to 47.8% and 23.2% to 49.5% in the 30 and 50 piece-grade CG, respectively. The acidic polysaccharide contents were 3.6% to 6.7% and 2.9% to 6.9% in the 30 and 50 piece-grade CG,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was 0.4% to 0.5% in CG, regardless of the piece-grade. The crude saponin content, which represents the active component of ginseng, was over 2% in all samples. In 30 piece-grade CG samples, the contents of major ginsenosides, Rb1, Rf, and Rg1, were 2.2 to 4.7 mg/g, 0.4 to 1.3 mg/g, and 1.6 to 4.0 mg/g, respectively. The ginsenoside contents in 50 piece-grade CG samples were 2.1 to 3.9 mg/g (Rb1), 0.5 to 1.2 mg/g (Rf), and 1.3 to 3.4 mg/g (Rg1). Overall, since there were relatively high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in all the chemical component contents that were assessed, we found some difficulties in showing the CG standard chemical component characteristics by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other statistical analysis factors.

인삼(人蔘)사포닌분석(分析)을 위한 고속액체(高速液體)크로마토그래피법(法)의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Analysis of Ginseng Saponin)

  • 최진호;박길동;한강완;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81-86
    • /
    • 1982
  • 인삼(人蔘)사포닌중의 각(各) ginsenosides를 효과적(效果的)으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기 위하여 carbohydrate analysis column을 사용(使用)한 HPLC로 전형적(典型的)인 용매(溶媒) system인 acetonitrile/water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을 80/20에서 94/6까지 조정(調整)하여 retention time과 분리능(分離能)과의 관계(關係)를 비교실험(比較試驗)하였고 또 n-butanol의 첨가효과(添加效果)도 조사(調査)하였다. 기본구조(基本構造)가 다른 diol saponin과 triol saponin을 같은 mobile phase로 만족하게 분리정량(分離定量)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diol saponin은 acetonitrile/water system(80/20), trol saponin은 acetonitrile/water/n-butanol system(86/14/10)을 mobile phase로 하여 분석(分析)함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이 방법(方法)에 따라 백삼(白蔘)과 홍삼(紅蔘)을 정량(定量)한 결과(結果), diol saponin 함량(含量)은 큰 차이(差異)가 없으나 triol saponin 함량(含量)은 홍삼(紅蔘)이 백삼(白蔘)보다 증가(增加)하였다. 특(特)히 PT/PD ratin가 백삼(白蔘)은 0.401인데 비(比)해 홍삼(紅蔘)은 0.561로서 홍삼(紅蔘)이 백삼(白蔘)보다 약 1.4배(倍)나 높았다. 이것이 홍삼(紅蔘)의 생화학적약리효능(生化學的藥理效能)과 깊은 관계(關係)가 있다고 판단(判斷)되며 열처리(熱處理)에 의한 제조공정(製造工程)과 관계(關係)가 있다.

  • PDF

고려인삼 신품종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 Cultivar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이성식;이장호;안인옥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5년도 창립30주년기념 추계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18
    • /
    • 2005
  • 고려인삼 8개 신품종의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다경발생율이 연풍은 45%로 가장 높았고, 금품은 7%로 가장 낮았으나, 지상부생육은 금품이 가장 양호 하였고, 연풍이 가장 낮았다. 2) 종자결실율은 금품이 85.4%로 가장 높았으며, 천풍이 69.1%로 가장낮았다. 종자수확량은 연풍이 108.3개로 가장많았고, 천풍이 77.5개로 가장 적었다. 3) 엽소발생율은 천풍이 타품종보다 각년생에서 높았으나 연풍은 다소 낮았다. 4) 뿌리 부위별 무게분포비율에서 동체의 비율이 천풍 등 5품종은 49%-55.9%로 자경재래종 63,1%보다 낮았으나, 지근의 비율은 5개 신품종이 19,3%-23.3%로 자경재래종 13.2% 보다 높았고, 세근은 차이가 없었다. 5) 수량은 연풍>금풍>고풍>천풍=선풍>자경재래증 순으로 연풍이 가장 높았고,동장은 천풍이 8.0cm로 가장 길었으나 연풍이 6.4cm로 가장 짧았다. 적변삼 발생율은 신품종이 0.2-9,5%로 자경재래종 16.3%보다 현저히 낮았다. 6) 천삼의 생출율은 천풍>금풍>고풍>선풍>연풍>청선>자경재래종의 순서로 천풍이 높았으며, 천지삼의 생출율도 같은 경향이었다. 7) 품종별 동체의 단위무게 당 total ginsenosides 함량은 금풍 8.53mg, 연풍8.13mg, 고풍7.47mg로 높았으나, 천풍과 선풍은 각각 5.73mg과 4.87mg로 다소낮았다.

  • PDF

Ginsenoside Rg1 suppresses early stage of adipocyte development via activation of C/EBP homologous protein-10 in 3T3-L1 and attenuates fat accumulation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zebrafish

  • Koh, Eun-Jeong;Kim, Kui-Jin;Choi, Jia;Jeon, Hui Jeon;Seo, Min-Jung;Lee, Boo-Y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23-30
    • /
    • 2017
  • Background: Ginsenoside Rg1 is a class of steroid glycoside and triterpene saponin in Panax ginseng. Many studies suggest that Rg1 suppresses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However, the detail molecular mechanism of Rg1 on adipogenesis in 3T3-L1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Methods: 3T3-L1 preadipocyte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g1 on adipocyte development in the differentiation in a stage-dependent manner in vitro. Oil Red O staining and Nile red staining were conducted to measure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superoxide production, respectively. We analyzed the protein expression using Western blot in vitro. The zebrafish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Rg1 suppresses the early stage of fat accumulation in vivo. Results: Rg1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in early-stage differentiation of 3T3-L1 compared with intermediate and later stages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Rg1 dramatically increased 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 homologous protein-10 (CHOP10) and subsequently reduced the $C/EBP{\beta}$ transcriptional activity that prohibited the initiation of adipogenic marker expression as well as triglyceride synthase. Rg1 decreased the express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and glycogen synthase kinase $3{\beta}$, which are also essential for stimulating the expression of $CEBP{\beta}$. Rg1 also re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because of the downregulated protein level of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hydrogen (NADPH) oxidase 4 (NOX4). While Rg1 increased the endogenous antioxidant enzymes, it also dramatically decreased the accumulation of lipid and triglyceride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zebrafish.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Rg1 suppresses early-stage differentiation via the activation of CHOP10 and attenuates fat accumulation in viv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g1 might have the potential to reduce body fat accumulation in the early stage of obesity.

Ginsenoside Rb2 suppresses cellular senescence of human dermal fibroblasts by inducing autophagy

  • Kyeong Eun Yang;Soo-Bin Nam;Minsu Jang;Junsoo Park;Ga-Eun Lee;Yong-Yeon Cho;Byeong-Churl Jang;Cheol-Jung Lee;Jong-Soon Cho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337-346
    • /
    • 2023
  • Background: Ginsenoside Rb2, a major active component of Panax ginseng, ha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ejuvenation effect of Rb2 in human skin cells have not been elucidated. Methods: We performed a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taining assay to confirm cellular senescenc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The regulatory effects of Rb2 on autophagy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expression of autophagy marker proteins, such as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A/1B-light chain (LC) 3 and p62, using immunoblotting. Autophagosome and autolysosome formation was monitor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utophagic flux was analyzed using tandem-labeled GFP-RFP-LC3, and lysosomal function was assessed with Lysotracker. We performed RNA sequencing to identify potential target genes related to HDF rejuvenation mediated by Rb2. To verify the functions of the target genes, we silenced them using shRNAs. Results: Rb2 decreased β-galactosidase activity and altered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in senescent HDFs. Rb2 markedly induced the conversion of LC3-I to LC3-II and LC3 puncta. Moreover, Rb2 increased lysosomal function and red puncta in tandem-labeled GFP-RFP-LC3, which indicate that Rb2 promoted autophagic flux. RNA sequencing data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DNA damage-regulated autophagy modulator 2 (DRAM2) was induced by Rb2. In autophagy signaling, Rb2 activated the AMPK-ULK1 pathway and inactivated mTOR. DRAM2 knockdown inhibited autophagy and Rb2-restored cellular senescence. Conclusion: Rb2 reverses cellular senescence by activating autophagy via the AMPK-mTOR pathway and induction of DRAM2, suggesting that Rb2 might have potential value as an antiaging agent.

HPLC를 이용한 고려인삼 중 진세노사이드 Rb1, Rf 및 Rg1의 신속분석 방법 개발 (Rapid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Rb1, Rf, and Rg1 in Korean Ginseng Using HPLC)

  • 홍희도;최상윤;김영찬;이영철;조장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8-12
    • /
    • 2009
  • 진세노사이드 $Rb_1$, $Rg_1$의 경우 인삼의 주요 지표성분으로서 건강기능식품법 등 국내 주요 규격 뿐 만 아니라 Codex 등 국제 규격에서도 주요한 품질지표 인자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술표준원에서 발표한 KS 방법 및 2008년 8월부터 실효된 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에 제시되어 있는 HPLC를 이용한 $Rb_1$, $Rg_1$ 분석법의 경우 분석시간이 각각 90분, 70분으로 매우 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시되어 있는 HPLC 방법을 개선하여 진세노사이드 $Rb_1$, $Rg_1$ 및 고려인삼 특이 진세노사이드 겐를 단시간(50분)에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한 후 개발된 분석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컬럼은 $\mu$-Bondapak $C_{18}$ column($3.9{\times}300\;mm$, $10{\mu}m$), 이동상 용매는 water, acetonitrile로 기울기 용리를 사용하였으며, 검출파장은 203nm 이동상의 유속은 1.6mL/mm이었으며 분석온도는 $35^{\circ}C$, 시료주입량은 $20{\mu}L$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확립된 분석조건에서의 각 진세노사이드 머무름 시간(RT)은 $Rg_1$(17.6분), Rf(18.2분), $Rb_1$(39.1분)이었다. 진세노사이드 3종에 대한 표준검정곡선은 $0.01{\sim}1.00\;mg/mL$ 농도범위에서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의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회수율은 $0.125{\sim}0.575\;mg/mL$의 농도범위에서 $101.1{\sim}l15.0%$으로 양호하였으며, 일내(intra-day)와 일간 (inter-day) 정밀도(RSD)는 $0.{\sim}2.8%$, $0.7{\sim}3.2%$이었다. 따라서, 확립된 분석방법은 인삼 중의 진세노사이드 $Rb_1$, $Rg_1$, Rf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홍삼 물 추출액의 사포닌 함량 및 맛의 증진을 위한 추출 조건 (Extracting Conditions for Promoting Ginsenoside Contents and Taste of Red Ginseng Water Extract)

  • 이상국;한진수;박용준;강선주;김정선;남기열;이기택;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7-293
    • /
    • 2009
  • 본 연구는 홍삼 추출기를 이용하여 기능별 사포닌의 함량 및 품질의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홍삼 추출액의 총 사포닌 함량은 $75^{\circ}C$에서 18시간 추출한 용액이 64.6 mg / 100 ml로 최고 함량을 나타냈고 추출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Rb_2$와 Re 함량은 $75^{\circ}C$에서는 12시간 추출한 홍삼액이 11.8 mg / 100 ml로 가장 많았고 추출시간과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Prosapogenin 함량은 $85^{\circ}C$에서 24시간 추출한 홍삼액이 34.9 mg / 100 ml로 가장 많았고, $75^{\circ}C$$85^{\circ}C$에서는 추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95^{\circ}C$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홍삼 추출액의 총 당은 $95^{\circ}C$에서 추출시간을 길게 할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당도는 $95^{\circ}C$에서 24시간 추출한 용액이 4.0%로 가장 높았다. 탁도는 $95^{\circ}C$에서 추출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pH 및 Hue 값은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졌다. 따라서 홍삼추출액을 제조할 때 1차 추출에서는 온도를 낮게하여 사포닌의 함량을 높이고, 2차 추출에서는 온도를 높게하여 맛을 증진시켜 혼합하는 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삼을 기질로 한 담자균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조사포닌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Crude Saponin Fraction Prepared from Culture Product of Basidiomycota cultured with Fresh Ginseng as Substrate)

  • 정재현;위재준;신지영;조주현;정동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7-72
    • /
    • 2005
  • 수삼 및 수삼을 기질로 한 배양물로부터 조사포닌을 분리하여 TLC를 확인한 결과 목질진흙버섯 및 영지버섯 균사체 배양물 조사포닌에서 $Rg_{2}$$Rh_{1}$ 위치에서 spot을 볼 수 있었으며,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는 $Rg_{3}$$Rh_{1}$과 같은 위치에서 spot을 볼 수 있었다. 배양물의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수삼, 목질진흙버섯, 영지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물 조사포닌에서 1.04, 1.11, 1.45, 1.29%로 나타나 수삼보다는 수삼 배양물에서 높았으며, 특히 영지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 가장 높은 폐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삼 배양물 조사포닌의 전자공여능의 경우 목질진흙버섯 균사체 배양물 1mg/mL 및 10mg/mL에서 각각 92.8, 94.9%로 가장 높았다.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영지버섯 균사체 배양물 조사포닌이 29.5%로 목질진흙버섯 균사체나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물 보다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영지버섯 균사체 배양물 조사포닌이 65.5%로 가장 높았다.

Mesangial 세포에서 고포도당에 의해 유도되는 insulin-like growth factor 분비 촉진작용에 대한 ginsenosides의 차단 효과 (Ginsenosides Protect the High Glucose-induced Stimulation of IGFs in Mesangial Cells)

  • 배춘식;임도선;윤병철;정문진;윤경철;박수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29
    • /
    • 2008
  • 인삼은 고전적으로 항당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역시 당뇨병성 신증의 발병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esangial 세포에서 고포도당에 의한 IGF 분비에 대한 ginsenoside의 차단 효과 및 이와 관련된 신호전달계를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포도당에 의해 증가 되었던 IGF-I 및 IGF-II 분비 촉진 작용은 GTS, PD 및 PT 처리 시 차단되었으며, 세포 성장 촉진작용에서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아울러 고포도당에 의한 산화성 스트레스 종가, GSH 감소, AA 방출 증가 작용 및 $PGE_2$ 합성 증가 작용은 GTS 처리시 현저하게 차단되었으며 PD 및 PT 처리 시 역시 억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mesangial 세포에서 ginsenoside는 산화성 스트레스 및 arachidonic acid 활성 경로를 억제하여 고포도당에 의한 IGFs 분비 작용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삼(韓國人蔘)의 Saponin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 Saponin fraction별(別) 정량방법(定量方法)에 관(關)하여 - (Saponin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Part I] - Determination of Saponins Fractions -)

  • 조성환;조한옥;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4호
    • /
    • pp.233-242
    • /
    • 1976
  • 인삼중(人蔘中)에 함유된 dammarane glycoside들을 glycoside 수준(水準)에서 fraction별(別)로 정량(定量)하는 방법(方法)으로 2차원(次元) TLC법(法)에 의해 분리(分離)된 glycoside를 용출(溶出)하여 Vanillin-$H_2SO_4$ 발색법(發色法)으로 정량(定量)하는 방법(方法)을 검토하는 동시에, 1차원(次元) TLC법(法)으로 SAPONIN FRACTION을 분해(分解)하고 이것을 thinchrograph TFG-10 및 digital densitorol DMU-33c에 걸어 각(各) fraction별(別)로 saponin을 정량(定量)하였다. 1. 2차원(次元) TLC를 병용(竝用)한 Vanillin-$H_2SO_4$ 비색법(比色法)은 각(各) fraction의 정리(定離)는 용이하였으나, 각(各) spot를 동정(同定)하기가 어려웠다. 2. Thinchrograph를 이용하여 saponin를 정량(定量)하는 경우, 비교적 감도(感度)가 높은 ginsenoside의 peak를 얻을 수 있었으나, 동일(同一)한 정량조건(定量條件)에서 표품(標品)과의 대조실험(對照實驗)이 병행(竝行)해야 하므로 표품(標品)의 입수가 어려워, 각(各) peak에 해당하는 saponin동정(同定)이 불가능하였다. 3. Densitometer의 경우 thinchrograph보다 그 감도는 떨어지나, 사용법이 간편하고, 쉽게 각(各) fraction을 동정(同定)할 수 있어 TLC에서 분리(分離)가 좋은 용매를 사용한다면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정량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