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atability scor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4초

Chemical Components and Meat Quality Traits Related to Palatability of Ten Primal Cuts from Hanwoo Carcasses

  • Jung, Eun-Young;Hwang, Young-Hwa;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859-866
    • /
    • 2015
  • To determine chemical components and meat quality traits related to palatability of 10 primal cuts, 25 Hanwoo carcasses were selected from 5 carcasses × 5 quality grades and used to obtain proximate data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chemical component and meat quality were found among the 10 primal cuts. The highest fat content was found in the kalbi, followed by dungsim, yangjee, chaekeut, ansim, abdari, suldo, moksim, udun, and sata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s in the 10 primal cuts were in reverse order of fat content. Moksim had the highest drip loss % and cooking loss % than all other primal cuts while kalbi showed the lowest (p<0.05) percentage of drip and cooking loss. Ansim had the longest sarcomere length but the lowest shear force values than all other cuts (p<0.05). The highest (p<0.05) score for overall acceptability was observed in ansim. Moksim, udun, abdari, and satae were rated the lowest (p<0.05) in overall acceptability among the 10 primal cuts from Hanwoo carcasses. In conclusion, ansim, dungsim, chaekeut, and kalbi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due to their higher fat contents and lower shear force values.

양파주의 최적 발효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Fermentation of Onion Wine)

  • 최인학;조덕조;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7-264
    • /
    • 2013
  • 본 연구는 저장성이 낮은 양파를 이용하여 양파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발효의 화학적 특성(잔류 당 함량, pH, 산도 및 알콜 함량)과 관능적 특성(색상,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은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모니터링 되었다. 알콜 함량에 대한 반응표면분석 결과, 회귀식의 $R^2$가 0.9620으로 1%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예측된 정상점은 최대점으로 발효온도 $29.27^{\circ}C$, 발효시간 103.43 hr 및 초기 당도 $27.52^{\circ}Brix$였으며, 최대점까지는 초기 당 함량과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0.9060으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예측된 정상점은 안장점으로, $39.27^{\circ}C$, 57.28 hr 및 $22.14^{\circ}Brix$의 조건에서 최대값 6.64점으로 예측되었다. 알콜 함량과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를 만족시켜 주는 조건을 구하기 위해 반응표면 중 최적 반응표면만을 superimposing 하여 양파 발효주의 최적 발효조건을 설정한 결과, 발효온도 $28{\sim}32^{\circ}C$, 발효시간 80~90 hr 및 초기 당도 $20{\sim}25^{\circ}Brix$로 예측되었다.

송이 첨가 김치의 저장 중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Organoleptic Proper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Adding Pinemushroom during Storage)

  • 이기동;이명희;손광진;윤성란;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1-167
    • /
    • 2002
  • 송이를 첨가한 김치를 제조하여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숙성 중 관능적 특성 변화를 반응표면분석으로 조사하였다. 김치의 관능점수는 저장 4일과 8일경에 가장 높았고 12일에는 낮아졌다. 담금 직후에는 송이함량이 높을수록 모든 관능점수가 낮았으나, 향과 맛만은 송이함량과 고춧가루함량이 동시에 높을 경우 높았다. 저장 4일째는 색상,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는데 특히 송이함량 5.0-6.0% 및 고춧 가루함량 3.0-3.5%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저장 8일째에는 씹힘성이 우수하였다. 송이를 첨가한 김치는 1$0^{\circ}C$에서 4-8일 저장한 경우 관능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질소 시비조건에 따른 벼 품종의 미질과 식미특성 반응 (Varietal Response to Grain Quality an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Influenced by Different Nitrogen Applications)

  • 김정일;최해춘;김광호;안종국;박노봉;박동수;김춘송;이지윤;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3-23
    • /
    • 2009
  • 질소수비 및 실비 시용량을 증시하여 미립내 단백질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식미저하와 쌀의 구조적 특성의 품종별 반응을 정밀하게 분석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미 단백질함량은 질소 수비 실비의 증량에 따라 표준구(N6) 대비 $35{\sim}47%$까지 증가하였으며 식미가 낮은 품종일수록 증가 정도가 컸고, 동일한 질소 15kg/10a 수준으로 1,2차 수비가 충분히 준 조건에서도 1차 추비에 비해 실비를 준 경우 유메히까리와 레이호우는 현미 단백질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아밀로스함량은 질소 수비 실비의 증시에 따라 대체로 단백질함량과 반대로 변화정도는 품종간 차이보다 미미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식미 관능총평은 히노히까리 > 유메히까리 > 레이호우 순으로 높았는데 N 12 kg/10a 이상에서 질소 수비 실비 증시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미가 낮은 품종일수록 저하 정도가 컸고, 모든 식미관능 특성이 아밀로스함량보다 단백질함량 변화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으며 식미가 양호한 품종보다 식미가 낮은 품종에서 단백질함량 변화의 영향이 컸다. 4. 미립의 층위별 분포를 보아 외층에서 내층으로 갈수록 단백질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아밀로스함량은 증가하였다. 식미가 양호한 품종이 낮은 품종에 비해 단백질함량의 분포가 겨층에서 높은 반면 백미층에서 크게 낮았으며 특히 아밀로스함량의 백미 외층 분포비율이 낮았다.

쌀 품질 고급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육종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 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5-32
    • /
    • 2002
  • 1980-'90년대에 쌀의 자급생산이 지속되고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양질미 수요가 점증되면서 자포니카 다수성 품종의 미질 개선에 힘을 크게 기울이게 되었고 식미향상을 위한 육종연구 와 효율적 평가 기술개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쌀의 이화학적 특성과 식미 및 밥 물리성간 상관과 식미의 객관적 평가방법 개발, 양식미 쌀 및 가공적성 특수미 개발 등 그 동안 많은 연구성과를 올리게 되었다. 1990년대에 밥맛이 매우 좋은 고품질 자포니카 품종과 대립, 심백미, 향미, 유색미 등 가공용 특수미 품종을 개발 보급하였고 식미와 용도에 대하여 식미검정계, 신속점도측정계 및 texture 분석계 등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최근에는 아밀로스 함량이 9%로 찹쌀과 맵쌀의 중간 성질을 가진 중간찰 품종인 '백진주벼'와 배유가 보얀 멥쌀인 '설갱 벼'를 비롯하여 라이신 함량이 높은 '영안벼' 육성하여 쌀의 가공 이용성과 기능성을 한층 높혀 놓았다. 식미와 여러 가지 미질 특성간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쌀의 상온흡수율 및 최대흡수율은 K/Mg율 및 알칼리 붕괴도와 유의한 부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가열흡수율이 높은 품종일수록 밥의 용적팽창률이 컸다. 수분함량이 낮은 경질인 쌀일수록 침지 20분 후의 상온흡수율과 최대흡수율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이러한 흡수 특성은 쌀 단백질 함량이나 아밀로스 함량 및 식미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취반 적정가수량은 품종에 따라 마른 쌀 무게의 1.45-l.61배의 변이를 나타내었고 평균은 1.52배였으며 알맞게 취사된 밥의 부피는 평균 쌀 부피의 2.63배가되었다. 쌀 형태, 알칼리붕괴도, 호응집성,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은 거의 비슷하지만 식미에 차이가 있는 자포니카 품종들을 사용하여 식미와 관련된 쌀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밥의 윤기와 식미 총평은 생산 연도에 따라 호화점도 특성 중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응집점도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밥맛이 가장 좋은 일품 벼는 쌀의 외층에 아밀로스 함량 분포가 낮고 쌀을 열탕에 담근 20분간 우러난 용출액의 요드 정색도가 낮고 증가정도도 완만하였다. 일품 벼는 밥맛이 떨어지는 동해 벼에 비해 밥알 횡단면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밥알 외층의 호화전분의 그 물망이 매우 치밀하고 속층의 전분립의 호화정도가 양호하였다. 식미총평은 식미관련 이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이용한 중회귀식에 의해 매우 높은 결정계수로 추정이 가능하였다. 밥노화의 품종간 차이는 α-amylase-iodine 법으로 비교할 수 있었는데 노화정도가 적었던 품종은 일품벼, 추청벼, 사사니시끼, 진부벼 및 고시히까리였다. 통일형 품종인 태백벼와 자포니카 품종 중 섬진벼가 비교적 밥노화가 빨랐다 일반적으로 밥맛이 좋은 품종이 밥의 노화정도가 느렸으며 찬밥의 탄력성이 큰 경향이었다. 또한 밥노화가 느렸던 품종은 최저점도가 높았고 최종점도가 낮았다 찬밥의 탄력성은 쌀의 마그네슘함량과 밥의 용적팽창률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식은밥의 더운밥 대비 경도 변화율은 취반용출액의 고형물량과 취반용적 팽창률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식미관련 주요 이화학적 특성은 밥의 노화와도 직접 간접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쌀의 여러 가지 식품 가공적성과 관련된 형태 및 이화학적 특성은 가공식품 종류에 따라 매우 다르다. 쌀 튀김성은 호응집성이 연질이거나 아밀로스 함량이 낮을수록 양호하며 지질함량이나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좋지 않은 경향이다. 심복백정도가 심할수록 튀김현미 정립률이 떨어지며 현미 강도가 높을수록 튀김률은 높은 경향이었다 쌀국수는 밀가루와 50% 혼합시에 쌀의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제면 총평이 낮은 경향이었고 제면이 양호한 것이 국수물의 용출고형 물량이 적은 경향이었다. 쌀빵 가공적성은 품종에 따라서 현미와 백미간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있는데 현미에서 반죽의 부피 증가율이 큰 쌀일수록 푹신한 감이 있는 쌀방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백미에서 단백질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쌀빵이 더욱 촉촉한 느낌이 있는 경향이었다. 아밀로스 함량이 높고 호응집성이 경질인 쌀일수록 쌀빵의 탄력성이 더 높은 경향이었다. 쌀의 발효 및 양조적성은 심복백이 심한 쌀이나 새로운 돌연변이인 뽀얀 멥쌀이 홍국균이나 홍국균의 균사활착 밀도가 높고 당화 효소 역가도 높은 경향이었으며 쌀알이 대립이면서 단백질 함량이 낮은 쪽이 양조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찰벼 품종도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과 전분구조 특성의 차이에 따라 9개의 품종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만큼 품종적 변이가 크며 이들 이화학적 및 구조적 특성간에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유과·인절미·식혜ㆍ미숫가루 등에 상당한 가공적성의 차이를 보였다. WTO 체제 출범이후 생산비와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약한 우리 쌀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품질의 고급화와 쌀 가공식품의 다양화 및 고기능성 개발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노력은 벼 품종개발만으로 소기의 성과를 올리기 어렵고 쌀 식품의 고급화 및 다양화를 위한 여러 분야의 긴밀한 연구협력이 수반되지 않으면 안 된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홍고추잼의 관능적 특성 최적화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Red Pepper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기동;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69-1274
    • /
    • 1999
  • Four dimensional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on organoleptic properties to develop red pepper jam into Korean type jam. The organoleptic color of red pepper jam showed maximum score of 8.08 in 14.24g pectin, 256.2g sucrose and 8.31ml citric acid(50% citric acid solution). The organoleptic taste of red pepper jam showed maximum score of 6.77 in 14.23g pectin, 202.1g sucrose and 8.19ml citric acid. Optimum conditions on the organoleptic mouth feel of red pepper jam were 14.34g in pectin, 255.6g in sucrose and 8.39ml in 50% citric acid solution. Maximized overall palatability of red pepper jam was 7.25 in 14.15g pectin, 257.08g sucrose and 8.19ml of 50% citric acid solution. The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 ranges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red pepper jam were 14.0~15.5g pectin, 225.0~257.0g sucrose and 8.0~8.2ml of 50% citric acid solution.

  • PDF

초음파 처리가 튀김 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ltrasonic Treatment on the Quality of Frying Chicken Meat)

  • 정인철;박성하;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56-260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ultrasonic treatment on the quality of frying chicken meat. Moisture content of ultrasonic treated leg meat was lowest to 59.7%, moisture content of breast meat was higher than leg meat and protein content of control was higher than ultrasonic treatment. Fat content of ultrasonic treatment was higher than control and leg meat was higher than breast meat. Hunter's L (lightness) and a (redness)-value was not different between frying methods, but L-value of breast meat and a-value of leg meat was higher than leg and breast meat, respectively. Hunter's b (yellowness)-value was not different among frying chicken meats. Frying loss of ultrasonic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water holding capacity was higher than control. VBN content of ultrasonic treatment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control, TBA number of ultrasonic treatment was highest to 0.78mg malonaldehyde/kg. Hard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frying chicken meat was not different between frying methods, but difference of chicken muscle parts were significantly showed. Chewiness was not different among frying chicken meats and shear force value of control breast meat was lowest to 1.9kg. In case of sensory score, aroma and taste of frying chicken meat were out different between frying methods, but texture, juiciness and palatability of ultrasonic treatment were higher than control and that of breast meat were higher than leg meat.

  • PDF

Preferences and Consumption Patterns of Foreign Residents for Korean Traditional Pork Dishes

  • Seo, Sang Hee;Kim, Eun Mi;Kim, Young Boong;Jeon, Gi H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69-77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preference and consumption patterns of foreign resident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bout Korean pork dishe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respondents took pork dishes below 2 times a week on average and they replied the best pork dishes were Bulgogi and Samgyeopsal. In the result of survey for the respondents only who have experienced Korean traditional pork dishes to evaluate about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palatability, Samgyeopsal and Bulgogi showed higher score than other dishes as much as 4.02-4.21 and 3.90-4.26 each, while Sundae had lowest result in the every evaluation survey item as low as 2.79-3.04. The inquiry on the expected popularity for the foreign consumers to evaluate Korean traditional pork dishes with 5 scales resulted that Bulgogi, Galbi gui, Samgyeopsal showed higher popularity score than other dishes but Sundae was lowest in the list. The results of investigate of improvement for these dishes are as followed: too hot for Jeyuk bokkeum, poor taste, appearance, flavor, texture for Jokbal and Sundae, too sweet for Bulgogi, poor appearance, texture for Bossam, Pyeonyuk and Samgyeopsal.

둥굴레의 전처리 및 과립차 배합비 최적화 (Optimization on Pretreatment and Granule Tea Recipe of Polygonatum sibiricum Delar)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8-153
    • /
    • 2004
  • 둥굴레를 균일하게 열처리하여 탄내를 없애고 둥굴레차의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둥굴레차의 관능적 특성을 최적화 하였다. 둥굴레의 전처리 조건으로서 둥굴레의 세절두께는 2mm가 가장 적당하였다. 둥굴레 과립차의 향에 대한 최적 관능조건은 전체 농축액에 대한 둥굴레 농축액의 비율 82.17%, 전체 농축액 함량 13.16% 및 총당에 대한 포도당의 비율 39.17%에서 그 관능점수가 6.48로서 가장 높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점은 전체 농축액에 대한 둥굴레 농축액의 비율 58.82%, 전체 농축액 함량 13.65% 및 총당에 대한 포도당의 비율 51.51%에서 그 관능점수가 5.87으로써 가장 높았다.

포도과피 첨가가 분쇄돈육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pe Skin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 최강원;이종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0-29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pe ski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score of ground pork meat. Methods: Four types of ground pork were evaluated: T0 without grape skin, T1 with 0.3% grape skin, T2 with 0.7% grape skin, and T3 with 1.0% grape skin.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wise difference in VBN content, L-value, b-value, chemical composition of raw and cooked meat, cooking yield, water holding capacity, moisture retention, fat retention,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taste, texture, juiciness, or palatability.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3,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in T2 and T3 (p<0.001). The pH was highest in T0, and was lowest in T3 (p<0.001). The a-value of T2 and T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0 (p<0.05). Flavor was highest in T2 among samples (p<0.01).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grape skin may be a useful ingredient in ground pork meat in terms of antioxidant potential, color and flav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