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kaging of Fresh food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1초

살균소독제가 다채 어린잎채소(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의 수확 후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Sanitizers on the Quality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Baby Leaves)

  • ;김지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9-435
    • /
    • 2011
  • The demand of packaged baby leaves has been increased for its convenient use as fresh-cut produce.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different sanitizers on the quality parameters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baby leaves. Thirteen days old baby leaves were harvested and washed in tap water (TW), 100 ppm chlorine solution (Cl), 2 ppm ozonated water ($O_3$), 15 ppm chlorine dioxide solution ($ClO_2$) and washing with 0.2% citric acid solution followed by 50% ethanol spray (CA+Et). The samples were then packaged in 50 ${\mu}m$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at $5^{\circ}C$ for 10 days. Off-odor of packaged baby leaves was not detected during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or parameters among the treatments. Samples treated with $O_3$ showed substantially higher electrolyte leakage throughout the storage. This treatment also rendered a higher accumulation of $CO_2$ in the packages. Samples treated with Cl and CA+Et maintained good overall visual quality with higher scores compared to that of $O_3$ and $ClO_2$. Although Cl treatment showed lower number of total aerobic count at the beginning of storage, citric acid in combination with ethanol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until the end of storage. The combined treatment also showed comparatively lower coliform plate cou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citric acid wash followed by ethanol spray could be an alternative to chlorine for environment friendly sanitization of baby leaves.

버섯의 갈변 및 색도에 대한 전리에너지의 영향 (Browning end Color Characteristics in Mushrooms (Agaricus bisporus) As Influenced by ionizing Energy)

  • 권중호;변명우;조한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09-513
    • /
    • 1990
  • 백색종 양송이의 보존기간 연장을 위한 전리에너지 처리가 저장중 버섯의 갈변현상과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버섯의 갈변현상과 관련된 polyphenol성 화합물은 저장 중 $(9{\pm}1^{\circ}C,\;80{\pm}7%\;RH$, 20일간) 감소하였고 갈변색소는 저장 후 3일경부터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들의 증감현상은 2-3kGy의 감마선 조사로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포장된(종이상자와 PE) 버섯의 갓 및 줄기 부위의 표피와 내부조직에 대한 기계적 색도 측정에서 감마선은 처리직후 Hurter L값(백색도)의 감소와 a 및 b값(적색도 및 황색도)의 증가현상을 초래하였으나 저장 후 15일까지 버섯의 변색방지 효과를 뚜렷이 나타내었다. 이 같은 효과는 줄기에 비해 갓 부분에서 높았으며 조사선량(1-3kGy)에도 비례하였다.

  • PDF

월동 배추의 저온 저장 중 포장 및 적재 방법에 따른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Winter Chinese Cabbage by different Packing and Loading during Cold Storage)

  • 김병삼;김민정;김의웅;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0-36
    • /
    • 2001
  • 월동배추(품종 : 동풍)를 $0^{\circ}C$에서 저온저장중 선도 유지를 위하여 포장과 적입방법 개선에 대한 효과가 조사되었다. 저장과정중 배추의 상품성을 보았을 때 월동배추는 $0^{\circ}C$에 저온 저장한 경우 4개월 이상 저장, 출하가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포장용기간 저장성은 0.03mm 폴리에칠렌 플라스틱필름에 4포기씩 세로로 적입하여 플라스틱콘테이너에 저장한 경우가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그물망과 철제파레트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우수하게 나타났다. MAP 저장시 포장내의 가스 조성은 처리구간에 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는데 대체로 산소 농도는 8.2~19.5% 정도, 이산화탄소는 0.35~8.58% 범위를 나타내었다. 저온저장중 비타민C, 환원당, 클로로필 색소는 계속 감소하였으며 폴리에틸렌 플라스틱필름과 콘테이너에 의한 MAP가 기존 저장방법에 비하여 10~20% 정도 선도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 PDF

자외선 LED 포장용기 시스템에 의한 포장절단당근의 품질보존 (Quality Preservation of Shredded Carrots Stored in UV LED Packaging System)

  • 김남용;이동선;안덕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5-140
    • /
    • 2014
  • 신선농산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저장용기에 장착된 자외선영역의 LED는 저온 냉장시스템에서 지속적 조사처리 또는 간헐적 조사 처리 방식으로 활용되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다. 저장용기에 자외선영역의 280 nm, 365 nm, 405 nm LED를 각각 장착하고 대표적 신선편이식품의 하나로서 절단당근을 선택하여 $10^{\circ}C$ 온도에 저장하면서 LED 조사 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저장용기의 뚜껑 안쪽 부분에 장착된 자외선 LED는 절단당근의 표면으로부터 2 cm 높이에서 조사되도록 하였으며, 하루에 30분 간격으로 on/off를 2회 반복하여 조사하였다. 공기조건에서 절단당근에 Escherichia coli 균주를 접종한 경우와 자연적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해 본 결과, 280 nm 자외선 LED 조사 처리를 한 경우 다른 파장(365 nm, 405 nm)의 조사 처리구보다 더 큰 미생물 성장 억제능력을 보여 가장 효과적이었다. 공기 조건에서 절단당근의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365 nm와 405 nm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MA 조건에서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산소농도 1.2~4.3%, 이산화탄소 농도 8.4~10.6%의 가스농도로 유지하여 LED 처리에 따른 내부기체조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280 nm 자외선 LED 조사 처리가 가장 큰 미생물 성장 억제를 보였다.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LED 조사 효과보다 MA 포장 효과에 의해 카로티노이드 보존이 지배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여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MA 조건에서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은 365 nm와 405 nm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자외선 LED를 이용하여 신선농산물 포장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저장용기에 자외선 LED를 장착함으로써 수확 후 수송, 판매, 저장 단계에서 신선농산물을 더욱 신선하게 유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봄배추 재배방법 및 품종에 따른 생육 및 절임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Salting of Chinese Cabbage after Spring Culture Analyzed by Cultivar and Cultivation Method)

  • 이정수;박수형;이윤석;임병선;임상철;전창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8
    • /
    • 2008
  • 김치는 절임 발효 식품으로서 염장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영향에 대해 주재료인 배추의 품종 및 재배 방법의 차이를 구명하고자하였다. 배추의 재배방법(노지, 하우스재배) 및 품종(쌈노랭이, 매력, 춘황, 춘광, 고령지 여름, 옥황씨알)에 따른 수확전 요인(생육 특성)과 수확후에 나타나는 절임특성을 조사하고자 구중, 결구지수(크기), 엽수, 엽두께, 삼투몰 농도, 염함량, 탈염률, 경도를 측정하였다. 수확후 생육면에서는 시설내의 하우스에서 재배한 배추가 구중 및 결구크기, 엽두께, 함수량 등 면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품종에 차이는 보이나 전반적으로 노지에서 재배한 배추의 경도, 삼투몰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배추를 절임시 염함량은 재배방법과 그에 따른 품종에 의해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탐염률이 낮은 것들에서 염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삼투몰 농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 동일한 품종이라도 재배 방법의 차이에 따라 배추를 절였을 경우 나타나는 특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배추는 주년 생산작물이므로 봄철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른 생산시기도 확인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재료의 차이에 따라 김치를 담갔을 때 대한 나타나는 고찰이 보다 필요 할 것이다.

계란식품PB 구매에 미치는 소비자 요인 분석:대형유통업체 계란상품을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Purchasing Behavior of PB Eggs: Focusing on Eggs from Large Distribution Companies)

  • 김종진;심규열;김미송;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07-116
    • /
    • 2013
  • Purpose - Eggs are nutritionally complete and one of the most popular natural foods. Moreover, the poultry industry is one of the important food industries. However, early industrialization of the poultry industry on its own did not lead to further development compared to other livestock industr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at factors influence consumers' behavior and how consumers' understanding of retail business affects their propensity to consume.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as it analyzes how the brand names of manufacturers and distribution companies affect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or actual purchase behavior of consumers in order to suggest how these manufacturers and distribution companies can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50 randomly selected egg purchasers in discount stores from January to April 2013. Consumers' purchase tendencies were calcula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is result was then utilized using cluster analysis to draw a conclusion about which purchase tendency influenced consumers buying three different brands of eggs or whether this tendency really affected consumers. As a result, the outcomes of Hypotheses 2 and 3 were not clear so we drew a conclusion with our analysis of Hypothesis 1. Results - While the outcomes of Hypotheses 2 and 3 did not clearly indicate whether purchasing tendencies affected consumers when buying eggs, our analysis of Hypothesis 1 indicated that consumers were affected by the quality of the eggs rather than exterior factors such as the brand name. Thus, w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excellence of the quality of the eggs. Usually firms buy eggs from farms and repackage them in order to sell them. In this sense, if consumers were aware of this egg production process, and eggs were fairly distributed to retailers, large retail PB businesses would also be able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Conclusions - The brand, packaging, retail outlet, and other external features influenced the purchase of eggs to a certain degree, while shelf life, grade of the eggs, cleanliness, and other intrinsic characteristics had more influence. In particular, shelf lif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purchase. Consumers were influenced not only by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eggs but also by large-scale producers' brands. Consumers relied upon the brand despite reduced competition because they found it difficult to identify shelf life and/or cleanliness. Small businesses and/or large-scale retailers can remain competitive by maintaining the freshness and cleanliness of the eggs. Further studies need to investigate areas in which consumers' cognition of the product is poor and/or the purchase inclination with regard to less developed industries such as eggs. In this study, the greatest problem was that consumers did not consume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ituation as consumers have preferred fresh and clean eggs for a long time compared to purchase decisions based on external brands and/or packaging.

기체확산 튜브 부착 신선 농산물 용기에서의 실시간 산소농도 제어의 효과 (Effectiveness of Real-time Oxygen Control in Fresh Produce Container Equipped with Gas-diffusion Tube)

  • 조윤희;안덕순;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9-123
    • /
    • 2013
  • 기체확산 튜브를 부착한 신선 농산물 용기에서 적정 변형기체(modified atmosphere, MA)를 형성하기 위하여 산소 농도에 따라 실시간적으로 반응하여 튜브 개폐가 이루어지는 제어 logic을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이전의 연구에서 이루어진 $O_2$$CO_2$ 센서 모두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logic의 단순화를 시도한 것으로 7~10%의 $O_2$, 5~10%의 $CO_2$ 농도를 적정 MA로 갖는 시금치를 담은 용기 시스템에 대해서 $10^{\circ}C$에서 실험적으로 개발된 제어 logic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O_2]+[CO_2]$=21%의 가정된 관계에 기반하여 $O_2$ 농도 제어점을 $CO_2$ 농도 허용 상한값(10%)에 상당하는 11%로 설정하여 제어한 결과 $CO_2$ 농도가 허용상한치 10% 바로 이하에 머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_2$ 농도 제어점은 품목의 $O_2/CO_2$의 MA 요구도에 따라 $O_2$ 하한값 자체 혹은 조정된 하한값으로 둘 수 있다. 산소 센서만을 사용한 개발 제어 logic은 11%의 평형 $O_2$ 농도와 8~9%의 $CO_2$ 농도를 유지하였고, 이는 $O_2$$CO_2$ 센서 모두를 사용한 제어의 조건에서 9~10%의 평형 $O_2$ 농도와 10%의 $CO_2$ 농도를 유지한 것과 비슷하였다. 그리고 확산튜브를 부착한 두 가지의 MA 용기에서 보관된 시금치의 품질은 차이가 없이 통기성 대조구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 PDF

구운 계란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미생물학적 유통기한 설정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helf Stability of Whole Baked Egg)

  • 김동호;송현파;이유석;차보숙;김병근;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94-399
    • /
    • 2004
  • 난 가공식품인 구운 계란의 포장유통을 목적으로 구운 계란 제조공정 중의 미생물 오염도를 평가하였으며 미생물 살균방법으로 감마선 조사와 고온가압살균법을 비교하여 제품의 보존 안정성 및 유효 유통기한 확보를 위한 살균 기준을설정하였다. PE 포장지에 낱개 포장한 구운 계란의 미생물오염도는 일반세균 > 10$^{4}$ CFU/g, 대장균군 < 10$^{1}$ CFU/g, 곰팡이 포자 > 10$^{2}$ CFU/g 수준이었으며 대부분의 미생물은 제품포장과정에서의 2차 오염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살균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의 보존성은 상온에서 1주일 이하였으며 121$^{\circ}C$ 에서 15 분간 처리한 고온가압살균제품과 5 kGy 이상의 감마선을 조사한 제품은 미생물학적으로 상온에서 3개월 이상의 유통기한을 확보하였다. 10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는 구운 계란의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고온가압살균 처리한 구운계란은 조직이 단단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5 kGy 이하의 감마선을 조사한 구운 계란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0 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시료는 향과 맛에서, 고온가압살균 시료는 질감에서 다소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구운 계란의 상온 장기유통을 위한 감마선 조사는 5 kGy가, 적당하며 유통기한은 상온 3개월이 적정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Flower Varieties and Drying Method)

  • 김용두;정명화;구이란;조인경;곽상호;김보은;김기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6-191
    • /
    • 2006
  •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매화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매화의 건조별, 품종별 일반성분은 생화를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82.5{\sim}84.2%$, 조섬유 $2.5{\sim}3.1%$, 조단백질 $2.6{\sim}3.1%$, 조지방 $0.67{\sim}0.84%$, 조회분 $0.22{\sim}0.60%$ 이었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은 $10.1{\sim}11.2%$로 나타났으며, 동결 건조에서는 수분 16.4%, 음건 13.3%로 나타났다. 품종에 따른 일반성분은 회분 함량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다. 매화의 생화, 동결건조, 음건의 유리당 분석결과 fructose,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sucrose는 생화를 제외한 동결건조와 음건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품종에 따른 유리당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청축 생화 유기산 분석결과 citric acid, malic acid가 각각 0.82%, 0.41% 검출 되었고 품종별 함량은 청축>고성>백가하순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품종별 무기성분의 함량은 3품종 모두 K가 가장 높았으며 건조별 무기성분 함량을 보면 음건한 시료가 동결 건조된 시료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각각의 품종별로 palmit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건조별로는 지방산 함량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비타민 C 함량은 청축의 경우 생화 64.3 mg%, 동결건조 480.5 mg%, 음건 442.3 mg%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을 살펴보면 세 품종 모두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총 함량은 청축>백가하>고성 순으로 나타났다.

파쇄(破碎) 생(生)고추의 밀봉(密封) 저장중(貯藏中) 품질(品質) 성분(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During the Storage of Fresh Red Pepper Homogenates)

  • 이규희;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30-138
    • /
    • 1986
  • 즉석에서 이용할 수 있는 생고추의 파쇄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생고추를 파쇄한 후 밀봉함에 있어서의 첨가물질, 포장재료, 저장온도 및 기간이 제품의 품질 성분에 마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파쇄한 생고추에 15%의 Sodium chloride를 첨가하면 Sodium chloride 무첨가구에 비하여 산도, Capsanthin 및 Capsaicin 잔존량 면에서 효과가 현저하였다. 2. 파쇄한 생고추의 밀봉 저장에는 Polyethlene film 보다 Polyvinylidene chloride film이 효과적이었다. 3. 파쇄한 생고추를 Polyvinylidene chloride film으로 밀봉 저장할 정우 Capsanthin의 분해는 온도가 높을수록 심하였고 Capsaicin의 분해는 저장 초기에 빨랐으며 Sodium chloride 첨가에 의하여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4. 저장중에 있어서 Vitamin C의 분해는 저온에서 보다 고온에서 심하였고 Sodium chloride 첨가에 의하여 상당히 억제되었다. 5. 저장중의 총균수 및 젖산균수의 증가는 Sodium chloride 첨가에 의하여 크게 억제되었고 저장온도에 따르는 차이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