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kaging of Fresh food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6초

포장 조건에 따른 저장 중 커피의 향미 특성의 변화와 보존 기간 (Changes in Flavor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Roasted Coffee in Different Packaging Conditions during Storage)

  • 문준웅;조재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41-447
    • /
    • 1999
  • 본 연구는 볶은 커피의 장기 저장 중 포장 조건별로 향미 성분의 변화를 GC로 정량하고, 전문 패널에 의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휘발성 성분과 향미 변화의 상관 관계를 고찰하고 최적 포장 모델과 보존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커피의 향기 성분으로 47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으며 관능 변화에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것은 light volatile compound이었으며, 특별히 2,3-butanedione의 유보율(% retention)은 커피 향기의 관능 지수와 직선적 관계를 나타내고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주어 커피 향기 성분의 지표 물질로 좋은 역할을 보여주었다. 커피의 최적 포장 모델과 보존 기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6가지 포장 모델을 1년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분석과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볶은 통 커피/발브 포장, 볶은 분쇄 커피/진공 포장, 볶은 분쇄 커피/질소 포장, 볶은 분쇄 커피/탈 산소제 포장의 탈기 포장은 매우 좋은 품질 수준(fresh quality)이 $2{\sim}4$주, 좋은 품질 수준(satisfying quality)이 $12{\sim}24$, 최소 품질 수준(minimally acceptable quality)이 52주 였으며, 볶은 통 커피/함기 포장과 볶은 분쇄 커피/함기 포장은 매우 좋은 품질 수준이 $0.5{\sim}1.0$주, 좋은 품질 수준이 $2{\sim}3$, 최수 품질 수준이 12주이었다. 볶은 통 커피의 포장 방법으로는 one-way valve 포장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분쇄 커피의 포장 방법으로는 진공 포장과 질소 포장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신육성 사과 '홍로', '감홍' 품종의 포장재 적용과 CA 저장에 따른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ckaging Film Application and CA Storage on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Hongro' and 'Gamhong' Apples)

  • 정대성;홍윤표;최지원;이정수;이윤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24-431
    • /
    • 2005
  • '홍로 (Hongro)'와 '감홍 (Gamhong)' 고품질 사과 품종의 저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숙과와 적숙과에 대한 알맞은 수확시기 설정과 적정 저장온도, 저장방법 등에 따라 과실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신육성 '홍로 및 감홍'은 상온 저장 상태에서 climacteric 호흡 경향을 보여 주었다. CA 저장이 실험한 저장 방법 중 선도 유지에 가장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3% $CO_2$ 와 1% $O_2$의 CA 저장에 보관한 사과가 가장 적은 품질변화를 나타냈다. ‘홍로 및 감홍‘의 신선도는 상온 저장에서 3주, PE 필름 저장은 12주, 그리고 CA 저장은 16주까지 각각 유지되었다.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진공 포장된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의 저장성 향상 (Extension of shelf-life in golden needle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ccording to pressure composition packaging using oriented polypropylene film)

  • 임수연;홍윤표;이은진;김종기;이지현;최지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67-775
    • /
    • 2014
  • 팽이버섯은 타 작물에 비해 수확 후 호흡률이 높아 갈변, 경도감소, 부패 등이 수확 즉시 진행되는 작물이다. 이러한 팽이버섯을 장기간 유통하기 위해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법은 진공 포장하여 저온 저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팽이버섯의 포장 후 유통기간을 연장에 더욱 적합한 진공필름을 선발하기 위해 $20{\mu}m$두께의 PE+PP, OPP 및 LDPE 필름으로 진공 포장하여 유통온도인 $10^{\circ}C$의 저온에서 2주간 저장하였다.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되는 LDPE 필름이 갈변, 줄기신장, 호흡률 급변, 조직 연화와 같은 변질이 포장 후 7일 이내로 가장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OPP 필름보다 PE+PP가 수일 더 일찍 해체되기 시작하여 갈변 현상이 먼저 발생하였다. 최종적으로 OPP 필름이 안정된 호흡률과 외부색도, 신장억제 현상이 유지되어 LDPE 필름 포장군의 저장 7일차에 발생된 부패율보다 7일이 지연된 저장 14일차에 나타났다.

나노 TiO2를 적용한 식품 포장 필름 개발 및 콩나물의 이취 제거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Films Coated with Nano-TiO2 Particles for Food Packaging and Removal of Off-flavor from Soybean Sprouts)

  • 최연욱;전규배;송기현;김재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33-737
    • /
    • 2015
  • 나노 $TiO_2$ 코팅 필름은 식품 포장재에서 많이 사용하는 PU와 PVB-cellulose 두 가지 바인더에 나노 콜로이달 $TiO_2$를 각각 3%와 5%의 농도로 혼합제조하여 OPP 필름에 코팅하였다. PVB 바인더로 코팅한 필름이 PU 바인더(3%와 5%)보다 불균일하게 필름에 코팅이 되었다. 그러나 청변현상 방지 실험과 광분해 실험에서는 필름 코팅 상태와 상관없이 선도 유지 효과가 나타났다. MB를 사용한 광분해성 효과 측정 실험에서 나노 $TiO_2$의 광촉매 반응으로 인해 초기 30분부터 MB가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콩나물 포장재 내에서 혐기성 호흡으로 발생하는 이취인 acetaldehyde는 나노 $TiO_2$ 코팅 필름이 대조구에 비해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나노 $TiO_2$ 코팅 필름으로 콩나물의 청변 현상과 이취 제거로 인해 콩나물의 보관 수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

상호 온도의존성의 차이에 따른 TTI의 식품 shelf life 예측 정확성에 대한 수리적 분석 (Mathematical Analysis on TTI's Estimation Accuracy of Food Shelf Life Depending on its Discrepancy in Temperature Dependence)

  • 강진원;최정화;박수연;김민정;김민중;이만희;정승원;이승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5-89
    • /
    • 2014
  • 시간-온도이력 지시계(TTI)는 시간-온도 이력에 따라 색이 변하는 작은 라벨로서 온도 의존성이 매우 중요한 성능 요소이다. TTI 색변화와 식품의 Arrhenius 활성화 에너지의 차이(${\Delta}Ea$)에 따른 shelf life 예측 오차를 수리적으로 분석하였다. 수리적 분석을 위하여 TTI의 kinetics는 0차반응, 식품은 1차반응에 해당하며 모두 Arrhenius 온도의존성을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TTI의 Ea가 식품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그리고 그 차이의 크기에 의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식품의 Ea가 TTI보다 작은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shelf life를 연산한 결과, TTI의 shelf life(색 변화의 종료 시점)가 식품의 shelf life(부패 시점)에 먼저 도달하였고, 식품이 TTI보다 큰 경우에는 식품이 shelf life에 먼저 도달하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elta}Ea$의 크기가 클수록 shelf life의 차이도 크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TTI의 Ea가 식품보다 크거나 그 차이가 작을수록 TTI에 의하여 식품의 부패 시점이 안전하거나(shelf $life_{Food}$ > shelf $life_{TTI}$) 정확하게(shelf $life_{Food}{\fallingdotseq}$ shelf $life_{TTI}$) 예측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Protein Quality of Fried Anchovy Kamaboko Engraulis japonica

  • Ramos, Leny R. Ordonez;Choi, Nam-Do;Ryu, Ho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265-273
    • /
    • 2012
  • The effects of processing and frozen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fried surimi gels were investigated. Protein content decreased after surimi gel processing from 19.6% (raw meat) to 12.1% (kamaboko) due to the added ingredients and change in water content. Lipid content decreased from 2.8% (raw meat) to 1.3% in minced and 0.5% in surimi, but fried kamaboko showed a 6.9 % lipid level. Thiobarbituric acid values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levels were highest in kamaboko samples, 89.5 and 1.9 mg/g solid, and increased gradually with storage time to 101.8 and 4.6 mg/g solid, respectively.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increased from 79.2% in raw anchovy to 88.5% in kamaboko samples. Levels of trypsin inhibitor decreased gradually with processing and during storage time from 2.43 in raw anchovy to 0.31 mg/g solid in the kamaboko sample after 60 days of frozen storage. No noticeable changes in total essential amino acid was observed during processing conditions. 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for kamaboko was highest (2.59) compared with whole anchovy (1.96), minced (1.94) and surimi (2.50). Fresh fried anchovy kamaboko showed similar values of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to commercial surimi gel, but a higher values were seen for fracturability and adhesiveness, and lower values for cohesiveness and resilience. The frozen and thawed anchovy kamaboko showed higher values for all of these rheological parameters compared with fresh and commercial kamaboko. Anchovy kamaboko showed the lowest lightness (62.9) and redness (0.16) and similar yellowness (11.9) compared with commercial kamaboko. Frozen storage and vacuum packaging were effective maintaining the shelf life of anchovy kamaboko within 30 days, but were not effective after 45 days due to fat oxidation.

가스 제거제 첨가에 따른 필름 포장 청매실의 저장 중 무기질 및 펙틴 성분 변화 (Changes in Mineral and Pectic Substances of Korean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Packaged in Plastic Films with Gas Absorbents during Storage)

  • 차환수;홍석인;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49-154
    • /
    • 2003
  • 기체투과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필름(0.03 mm LDPE)에 청매실을 담고, 각기 이산화탄소 제거제, 에틸렌 제거제와 이들의 혼합 제거제를 첨가하여 밀봉 포장한 후 상온에 저장하면서 무기질 및 펙틴 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전반적으로 청매실은 저장 중 과실조직의 연화와 함께 알콜 불용성 고형물 및 가용성 펙틴의 Ca와 Mg 함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총 펙틴에 대한 가용성 펙틴의 구성비에 있어서 수용성 펙틴은 증가, 염산가용성 펙틴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포장구와 비교하여 에틸렌 제거제를 첨가한 포장구의 경우 무기질 함량의 감소가 현저하게 적었고 가용성 펙틴 구성비도 저장초기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저장 중 가용성 펙틴의 저분자화도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체투과성 플라스틱 필름과 에틸렌 제거제를 병용하는 포장방법이 상온 유통용 청매실의 과육 연화억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름철 고온 환경 조건에서 참외(Cucumis melo var. makuwa)의 저장 중 선도유지를 위한 아이스 팩 처리 포장 박스 적용 연구 (Effect of the ice pack treatment in the corrugated box for improving the storage quality of the oriental melon (Cucumis melo var. makuwa) at high temperature conditions during summer)

  • 최우석;정대성;이윤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3
    • /
    • 2014
  • 본 연구는 저장 중 참외(Cucumis melo var. makuwa)의 품질 개선 효과를 보기 위하여 일반 골판지 박스로 포장한 무처리 대조구, 아이스 팩을 첨가하여 포장한 시험구, 및 아이스 팩과 알루미늄 코팅 보드로 처리된 박스로 포장한 시험구를 각각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참외의 품질변화는 $30^{\circ}C$의 저장 조건에서 21일 동안 저장 기간에 따른 참외의 호흡률, 중량감소율, 색도, 경도, 당도, 외관 품질 및 부패과 발생율로 관찰하였다. 저장 21일째 아이스 팩을 첨가한 포장 그리고 아이스 팩 및 알루미늄 코팅 보드를 적용한 포장으로 저장한 참외는 호흡률, 중량감소율, 및 색도, 및 경도 값의 지연으로 뛰어난 선도 유지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외관품질, 부패과 발생율을 감소시켜 상품성이 유지 효과를 보았다. 반면 참외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 값은 각각 다른 형태로 적용한 포장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아이스 팩과 알루미늄 코팅 보드를 적용한 박스로 포장한 참외는 아이스 팩으로 만 포장한 참외 보다 상대적으로 품질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골판지 박스 내부에 아이스 팩의 적용은 참외 과실이 품고 있는 온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코팅 보드는 외부 고온 환경으로 부터 온도 차단 효과로 포장 내부의 온도 상승에 따른 빠른 품질 변화를 막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상치의 수확후(收穫後) 품질(品質) 및 성분변화(成分變化) (Postharvest Changes in Quality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Leaf Lettuce)

  • 김성열;홍영표;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28-138
    • /
    • 1985
  • 상치(Lactuca sativa L.)의 잎을 재료(材料)로 하여 저장온도(貯藏溫度)에 따른 shelf-life를 측정(測定)하고 저장기간(貯藏期間) 동안의 품질(品質) 및 생화학적(生化學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상치는 실온(室溫)($20^{\circ}C$)에서 2~3일간(日間) 저장(貯藏)이 가능(可能)하였고 저온(低溫)($3^{\circ}C$)에서는 비닐포장(包裝)에 의(依)하여 3주(週)동안 저장가능(貯藏可能)하였다. 2. 상치잎의 바타민 C 함량(含量)은 생체중(生體重)으로 25 mg %이었고 실온(室溫)에서는 4일간(日間) 저장후(貯藏後)거의 전부(全部) 파괴(破壞)되었다. 그러나 저온(低溫)에서는 비닐포장(包裝)에 의(依)하여 8일간(日間) 저장후(貯藏後)에도 약(約)50~60% 잔존(殘存)하였다. 3. 저장중(貯藏中)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실온(室溫)에서 크게 감소(減少)하였고, 유리(遊離) 아마노산(酸), 전당(全糖) 및 알카리 가용성(可溶性) 단백질(蛋白質)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환원당(還元糖)의 함량변화(含量變化)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4. 핵산(核酸), peroxidase, polyphenoloxidase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하였고 상치잎의 노화(老化)와 관련(關聯)하여 고찰(考察)하였다.

  • PDF

안전성 선호를 고려한 1인가구의 식품소비행태 분석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Behavio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Consideration of Safety Preference)

  • 김지훈;임성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0
    • /
    • 2022
  • With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food companies are releasing small packaging and small-capacity products regardless of product line such as beverages, fresh foods, and home snacks, and food consumption patterns are also changing. Meanwhile, as a series of accidents related to food safety occurred during cost-effective consumption pursuing price-performance, more consumers wanted to choose products that have been proven safe even with higher money due to food safety anxiety. Considering the concept of 'safety' of food, this study by using the 'ordered probit model' empiricall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safety in food consumption behavior between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Summarizing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women rather than men, and elderly households among young and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higher demand for food safety. The results of marginal effects considering food safety variables show that respondents with low frequency of delivery and take-out use are considering food safety more, an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are considering safety more than multi-person households. In the future, the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single-person and elderly households, and women's economic activities will also continue to increase. Therefore, the growing home convenience food market needs marketing strategies to secure and emphasize food safety, such as sterilizing treatment technology for hygiene and safe container development from environmental hormones, and needs a lot of support and attention to meet changes in food culture trends and demographic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