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V simulator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48초

50kw급 PV시스템 시뮬레이터의 구현 및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Implementation of the 50kW Utility Interconnected PV System Simulator and the Study of Financial Analysis)

  • 이강연;김용구;신석두;김형곤;전형석;김병철;민완기;김남오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157-159
    • /
    • 2008
  •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se efforts by offering a photovoltaic system structure in 50kW. The combination of photovoltaic system components are interconnected and system monitoring system will be summarized for the purpose of the increasing safety in this article. This paper describes configuration of utility interactive photovoltaic system which generated electric power supplies to dormitory. In order to installing the middle or large scale photovoltaic system, It must investigated the optimal design of system, compute quantity of power generation, economic rate of return and so on. In this paper represent 50kW utility photovoltaic system examination, developed simulation results and financial analysis. The performance of photovoltaic system has been evaluated, analyzed with simulation and financi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will be much useful to prior investigation for installing utility interactive photovoltaic system.

  • PDF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MPPT 알고리즘 분석 (Analysis of various MPPT algorithms for PCS)

  • 심재휘;양승대;정승환;최주엽;최익;안진웅;이동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6-21
    • /
    • 2011
  • Since the maximum power operating point(MPOP) of PCS alters with changing atmospheric conditions temperature conditions shadow conditions it is important to operate for PCS to keep 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continuously.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modeling PV system by PSIM simulator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on the PV system from aspect of power quality i.e. voltage drop. This paper investigates four MPPT algorithms; Perturbation & Observation(P&O) Improved P&O Incremental Conductance(Incond) Differential coefficient method simulated with irradiation temperature change and shadow conditions.

PVT 모듈 성능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The Fundamental Researches to Evaluate PVT Module Performance)

  • 김필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는 신규로 구축 된 장비의 정확성과 PVT 제품의 KS 기준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신규로 구축된 Indoor solar thermal simulator의 경우, 인공광의 빔 균일도와 분광 특성을 기존의 규격 조건을 충족되도록 설계했으며, 실제 시험을 통해 B 등급임을 확인하였다. Indoor solar thermal simulator 장비의 정확도는 상용 태양광 모듈 및 기존 상용 장비로 측정 후, 최대 전력값을 비교했으며 오차 값은 약 0.4%로 정확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PVT 제품의 효율은 기존의 태양광 모듈 KS 기준과 태양열 집열기 KS 기준을 준용하여 측정하면 될 것으로 보이며, PVT 제품의 구조적 특징인 열매체 냉각에 의한 추가 전기 효율 방법 개발은 필요해 보이며,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모듈 케이블의 단락 유무에 따른 효율 상승 차이를 살펴보았고 추가 전기 효율 측정 방법으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PVT 모듈의 유형에 따라 특히, PVT 모듈 전면에 유리 커버 유무에 따라 출력 감소가 발생되고 추가 공정에 의해 전기 출력 특성이 달라지는 값을 고려하여 PVT 제품의 전기 효율 측정 시험은 인증을 받은 제품을 이용하여 제작을 했어도 반드시 재시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시험방법이 수립되어야한다. 마지막으로 PVT 제품의 내구성 평가를 경우, 기존의 태양광 모듈 및 집열기의 내구성 시험의 모든항목을 KS 인증 시험 항목에 포함 시켜야 된다고 판단되며, 제품의 특성에 따라 시험의 재배열을 추가 연구가 필요해 보이며, 집열기 부분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합부 기준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2차전지/태양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모델링 및 특성평가 (Modeling and Analysis of PEMFC/Battery/Photovoltaic Hybrid Vehicle)

  • 지현진;안효정;차석원;배중면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B
    • /
    • pp.2255-2260
    • /
    • 2007
  • This Paper focuses on modeling and simulati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hybrid vehicle. The system includes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PEMFC), photovoltaic generator(PV), lead-acid battery, motor, vehicle and controller. Main electricity is produced by the PEMFC and battery to meet the requirements of a user load. When vehicle is parked in a sunny place, extra power is generated by the photovotaics and is charged in a battery for next drive. Further we evaluate usefulness of this hybrid vehicle by using ADVISOR - the advanced vehicle simulator written in the Matlab/Simulink environment.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the extra power obtained by photovoltaics which have been explored in nature conditions can help to reduce the electrical load of PEMFC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ver 30%).

  • PDF

배터리 노화 특성을 고려한 DC전원 모의장치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DC Power Simulator Considering the Battery Aging Characteristics)

  • 이종학;인동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9-410
    • /
    • 2016
  •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태양광(PV), 풍력(WT)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출력안정화, 계통 전력품질 개선, 수용가 에너지효율화 등의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변환장치와 에너지 저장장치로 구성되며, 에너지 저장 장치로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전력변환장치 및 제어기의 설계 및 검증을 위해서는 배터리를 전력변환장치에 연계하여야 하지만 배터리의 경우 고가에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DC전원 모의 장치를 이용한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함에 따라 노화가 진행되어 배터리 임피던스 특성이 변화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 변환장치 및 제어기의 설계 및 현실적인 검증이 가능한 배터리 노화 특성을 고려한 DC전원 모의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공액구배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패널 모의 장치용 엔진 개발 (PV Model-based Solar Array Simulator with Conjugate Gradient Method)

  • 서영태;박준영;최성진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3-184
    • /
    • 2016
  • 태양광 패널 등가모델을 결합한 태양광 발전 패널 모의 장치(SAS)는 정확도 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특히 SAS에서 사용되는 등가회로 모델은 주변 환경에 맞게 빠르게 변하는 I-V 출력특성을 추출할 수 있어야 하며, 추출시간이 짧을수록 좋다. 본 논문은 태양광 등가회로 모델의 파라미터를 빠르게 추출하여 I-V 특성곡선을 모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태양광 패널의 출력 특성을 빠르게 모사하기 위해 미분을 사용해서 등가회로의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제안 모델의 타당성 검증은 기존의 사용하는 방법들과의 비교를 통해 진행하였고, 그 결과 정확도는 기존의 사용하는 방법과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속도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Labview 기반의 태양광 어레이 시뮬레이터 구현 (Implementation of Solar Array Simulator based on Labview)

  • 차한주;신동욱;김의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230-232
    • /
    • 2008
  • 본 논문은 정상상태에서의 태양광 PV 모듈의 출력특성을 가지며 일사량과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 변하는 I-V 곡선의 특성을 나타내는 태양광 어레이 시뮬레이터의 제작에 관한 연구 결과이다. 본 시뮬레이터는 태양전지의 I-V 곡선상의 동작점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가변하는 일사량과 온도를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Labview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였으며 직류 프로그래머블 전원장치(DC programmable power supply)를 GPIB로 연결하여 구현하였다. 정상 부하조건 뿐만 아니라 개방조건, 단락조건에서도 동작하는 태양전지 동작점 추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랩뷰를 이용한 태양광전원 평가 시뮬레이터 제작 및 분석 (Analysi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Simulator for PV systems Using the LabVIEW)

  • 김병기;노대석;김찬혁;왕용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684-685
    • /
    • 2011
  • 종래의 배전계통에 있어서의 전력조류는 변전소에서 선로 말단을 향한 단방향이었지만,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경우에는 그 출력용량의 여부에 따라 양방향의 전력조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계통운용상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전원 연계에 따른 정상상태 시와 각종 전력품질에 대한 문제점을 상세히 분석하기 위하여, 실계통의 특성을 모의한 태양광전원 평가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장치를 이용하여 역률, 선로길이, 태양광발 전량의 변동에 따른 계통의 다양한 운용특성시험을 수행하여 제안한 평가 시뮬레이터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연료전지-태양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제어전략 및 특성평가 (Control Strategy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PEMFC/Photovoltaics Hybrid Vehicle)

  • 안효정;지현진;배중면;차석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1권10호
    • /
    • pp.840-847
    • /
    • 2007
  • This Paper focuses on modeling and simulati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hybrid vehicle. The system includes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PEMFC), photovoltaic generator(PV), lead-acid battery, motor, vehicle and controller. Main electricity is produced by the PEMFC and battery to meet the requirements of a user load. When vehicle is parked in a sunny place, extra power is generated by the photovotaics and is charged in a battery for next drive. Further we evaluate usefulness of this hybrid vehicle by using ADVISOR - the advanced vehicle simulator written in the Matlab/Simulink environment.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the extra power obtained by photovoltaics which have been explored in nature conditions can help to reduce the electrical load of PEMFC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ver 21 %).

태양광 하드웨어 시뮬레이터의 소신호 안정도 분석 (Small-Signal Stability Analysis of Solar Array Hardware Simulators)

  • 투시타 란디마 웰라와타;최성진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0-201
    • /
    • 2019
  • Due to uncontrollability and non-repeatability of natural irradiation and temperature, the solar array simulator (SAS) is required to conduct the MPPT power processing experiments precisely. However, the nonlinearity of PV curve characteristic is a crucial task for the control of SAS. In the literature, this issue is addressed by many authors and various methods are proposed. However, stability analysis of SAS is not enough to evaluate the control performance. In this paper,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SAS are studied according to the small signal model. By using the proposed approach, the performance of two different control method for SAS system are analyzed and compa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