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C beam bridge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6초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로 제작된 전단보강이 없는 PSC 보의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Behaviors in Prestressed Concrete Beam made of 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 Composites without Stirrups)

  • 강수태;박정준;류금성;고경택;김성욱;한상묵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403-406
    • /
    • 2005
  • 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UHPCC), which is composed of micro-sized ultra fine particles, is characterized by high strength, high ductility and excellent durability. so if we make prestressed concrete bridge girder using UHPCC, we can obtain the safety and economical efficiency in bridge girder construction.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experiments to evaluate the load capacity, failure process and mode of prestressed concrete without stirrups using UHPCC.

  • PDF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수축 저감효과에 관한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hrinkage Reduction Effect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임상준;방창준;박종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5-176
    • /
    • 2011
  • Applying previous studies performed in the moisture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and shrinkage of lightweight concrete application of shrinkage reduction is to discuss. Applicability of shrinkage reduction effect of lightweight concrete applies for the analysis of PSC girder bridge beam placed on the construction site. Stress of the concrete bridge deck, rebar quantity is calculated by effective elastic modulus method and crack risk is assessed by moisture transport and differential shrinkage analysis. After approximately 10 days maximum tensile stress occurs 6MPa, similar to the case of normal concrete, a maximum tensile stress occurs 3MPa in lightweight concrete and comparing to normal concrete stress was reduced to approximately 50%. Normal and lightweight concrete crack index, respectively, is reduced 1.6 to 1.2, 1.2 to 0.9 in surface and boundary region. Therefore, reduction in shrinkage of concrete were able to confirm reduction of crack risk.

  • PDF

보강토 교대 하부 H-Pile 수평 거동특성 연구 (An Analysis of Horizontal Behaviour of H-Pile unde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Abutment)

  • 김낙영;전경수;이용준;전진택;심재원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47-59
    • /
    • 2008
  • 2002년 이후 미국 펜실베니아를 중심으로 보강토 공법 교대의 적용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보강토 공법 교대는 일반 콘크리트 옹벽 교대에 비하여 공사비 절감 및 공기 단축에 효과적이며 미관이 수려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은 해외에서 이와같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 보강토 교대의 이론적 배경 및 기존의 설계기준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국내 교량형식에 적합한 보강토 교대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보강토교대를 적용하기 위하여 국내교량 형식에 따른 상부슈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석한 후 교좌받침보 및 하부말뚝에 대하여 구조 검토한 결과, 거더의 자중이 큰 PSC BOX이외에서는 모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차원 수치해석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보강토 교대 하부 기초로 적용되는 H-Pile과 보강토 옹벽간의 상호 거동메커니즘을 분석하였으며, 실제 보강토 옹벽현장에서 보강토 옹벽 배면에 H-Pile을 7개소 시험시공을 실시하여 수평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장시험시공 분석결과, 보강토 교대의 하부기초로서 H-Pile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뒤채움 재료는 내부마찰각이 최소 $34^{\circ}$이상인 양질의 뒷채움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연속음향감지기법을 이용한 긴장력이 감소된 10 m PSC보의 PS 강선 파단음파 감지 (Detection of Fracture Signals of Low Prestressed Steel Wires in a 10 m PSC Beam by Continuous Acoustic Monitoring Techniques)

  • 윤석구;이창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3-122
    • /
    • 2010
  • 후 긴장된 PS 강재의 부식과 파단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의 안전에 매우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교량의 내하력 평가시 PS 강재의 부식 상태를 조사해야 하며, 부식된 PS 강재가 발견되는 경우, 부식에 의한 강재의 단면적 감소량을 극한강도 평가시 고려해야만 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연속음향감지기법을 그라우팅되고 후 긴장된 PS 강연선의 부식과 파단을 감지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비파괴검사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긴장재에 도입된 응력 수준이 현행 설계기준에 제시된 수준보다 낮게 도입된 PS 강연선에 대해 부식에 의한 강선 파단을 감지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프리스트레스의 크기가 각각 인장강도의 66%와 40%로 도입된 PS 강연선이 포함된 길이 10 m의 PSC 보를 제작하였다. 부식 촉진 장비를 이용하여 긴장재를 인위적으로 부식시켰으며, 7개의 음향센서와 연속음향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실험부재를 모니터링하였다. 부식 촉진 실험 동안 각 PS 강연선으로부터 2번의 강선 파단음파를 성공적으로 감지하였으며, 또한 오차범위 20 mm 이하로 음원 위치를 표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그라우팅되고 후 긴장된 PSC 보에서 발생되는 PS 강선 파단을 감지하는데 연속음향감지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전기로(電氣爐) 산화(酸化)슬래그 잔골재를 이용한 교면포장(橋面鋪裝) 시 단위질량(單位質量) 증대(增大)에 따른 슬래브 단면력(斷面力) 검토(檢討) (Investigation of Sectional Force on Increasing of Dead Load with Bridge Deck Overlay using Electric Arc Furnace Slag Sand)

  • 정원경;전범준;길용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2호
    • /
    • pp.62-70
    • /
    • 2013
  •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철소에서 제강과정에서 불안정한 용융상태의 제강슬래그를 에이징처리하여 안정된 구조로 변환시켜 이온이나 전자의 이동을 억제, 슬래그의 화학적 물리적 저항성을 증대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를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활용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으로서 KS F 4571이 제정되어 부산물의 자원화 시스템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를 PMC(Polymer Modified Concrete) 포장공법에 잔골재로 치환하였을 경우, 콘크리트의 고정하중 증가에 따른 교량 상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4가지 형식의 교량(RC 슬래브교, RC 라멘교, PSC Beam교, Steel Box girder교) 포장의 단위질량이 상향 적용시, 포장하중 증가에 따른 전체 고정하중은 약 1~2% 이내로 증가하고, 하중조합에 의한 부재력(설계모멘트)은 약 2% 이내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포장하중 증가에 따른 대상 구조물의 단면검토를 수행한 결과, 단면 안전율이 약 3% 이내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포장의 단위질량 증가로 인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LIT 거더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IT Girder Performance Improvement)

  • 김성;박승진
    • 도시과학
    • /
    • 제11권2호
    • /
    • pp.19-24
    • /
    • 2022
  • Conventional RC beams for crossing small and medium-sized rivers do not have a cross-sectional area, so the floating debris is accumulated and disasters such as damage to bridges occur. To improve this, the PSC method was invented. However, this also had problems such as transverse curvature, increase in dead weight due to cross-sectional shape, and negative moment generated during serialization, so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new type of girder.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LIT(Leton Interaction Thrust) girder bridge that is safer an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PSC girder with improved section efficiency. Unlike existing girder bridges, the LIT girder has the feature that the change in the strands of the entire girder occurs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rst tension is applied because the tendon arrangement is symmetrical by applying the raised portion. In addition, slab continuation generates a secondary moment that is advantageous to the continuous point, effectively controlling the negative moment and preventing the corrosion of the tendon. The dimensions of the cross section were determin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strands was designed to conduct structural analysis and detaile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the stress of the girder showed results within the allowable compressive stress, and the deflection showed the result within the allowable deflection. showed results. In addition, a detailed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tress distribution around the girder body and the anchorage area and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mbossed portion, and as a result, the stress of the girder body due to the tension force showed a stable level.

광섬유센서가 내장된 강연선을 이용한 교량의 장력 모니터링 방법 (A Methodology for Monitoring Prestressed Force of Bridges Using OFS-embedded Strand)

  • 김현우;김재민;김진원;김영상;윤정방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8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133-138
    • /
    • 2008
  • This study proposes a novel method for in-service evaluation of force in an external prestressing 7-wire tendon which is employed for retrofitting bridge superstructure. For this propose, a smart strand 7.0m long whose king wire is replaced by a steel tube and the FBG sensor, is developed. Performance of the strand is demonstrated through loading-unloading tests for a RC T-shaped beam 6.4m long. Finally, a couple of test results are presented to discuss effect of temperature change in the FBG sensor.

  • PDF

일체식 교대의 장기토압 거동 (Long-term Behavior of Earth Pressure on Integral Abutments)

  • 남문석;박영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7-58
    • /
    • 2007
  • 교량의 건설과 유지 비용을 줄이고 내진에도 강한 일체식 교대 교량은 전세계 뿐만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체식 교대와 뒷채움 지반의 상호작용인 토압거동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SC빔 거더를 이용한 90m 3경간 연속교 형식인 일체식 교대교량을 국내 처음으로 시험시공하여 공용중에 있는 교량에 대하여 계절적인 온도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교대배면 토압을 장기계측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일체식 교대높이(H)에 대한 최대 평균 신장량의 비는 0.0024으로 여름철에, 그리고 일체식 교대높이에 대한 최대 평균 수축량의 비는 0.0011으로 겨울철에 발생하였다. 실측한 최대 수동토압계수과 주동토압계수의 크기는 각각 4.8과 0.7이었고, 그 위치와 형상은 교대저면으로부터 0.82H에서 작용하는 제형의 분포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교대의 수동과 주동 토압분포의 작도법을 제안하였다.

수화열과 건조수축에 의한 7일간의 완전 일체식 교량 교대 말뚝기초의 횡방향 거동 (Lateral Behavior of Abutment Piles in Full Integral Bridge During 7 Days in Response to Hydration Heat and Drying Shrinkage)

  • 박영호;김낙영;김성환;정경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27-149
    • /
    • 2003
  • 본 교량은 교축방향에 대해 사각 60도인 90m 3경간 연속 완전 일체식 교대교량이다. 이 교량의 상부슬래브 콘크리트 타설후, 7일간의 콘크리트 양생에 따른 H말뚝의 수평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H말뚝 축방향으로 매설형 경사계와 변형률계를 설치하여 계측을 실시하였다. 이때 계측 결과를 수화열 및 건조수축 전용프로그램인 HACOM의 해석결과와 H말뚝의 횡방향 비선형 p-y 모델해석 거동에 비교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실측한 H말뚝의 수평변위는 상부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화열과 건조수축에 영향을 받았고, 그 크기는 각각 2.2mm, 1.4mm이었다. 말뚝 축방항 수평변위의 변곡점은 교대 기초저면에서 1.3m 위치에서 발생하였다. 이는 이 교량의 교대말뚝은 말뚝머리 고정조건으로 거동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매우 유사한 거동을 보였다. 그리고 실측한 말뚝의 휨응력 거동은 말뚝머리 회전구속과 같은 거동을 보이지 않고, 연직방향의 하중전이와 같은 거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교대말뚝의 비선형 p-y 모델해석으로 구한 최대휨응력 증분량의 크기는 약 300(kgf/$\textrm{km}^2$)이었고, 교대말뚝의 계측기 부착위치와는 무관하게 실측한 값보다 약 2배 크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말뚝의 비선형 p-y 모델해석에서 말뚝의 수평하중, 최대수평 변위, 최대휨응력, 최대휨모멘트는 콘크리트 양생시간에 따라 모두 선형적인 거동을 보였다.

100MPa급 초고강도 원심성형 콘크리트의 내구성 평가를 위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100 MPa Class Ultra-high Strength Centrifugal Molding Concrete)

  • 김정회;김성진;이두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2-23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원심성형 기법을 이용하여 구조용 콘크리트 각형보를 개발하였으며, 단면의 휨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면의 중공률은 10 %이하로 하며 이를 위하여 기존의 빈배합상태의 콘크리트가 아닌 고슬럼프(150~200)의 물성을 갖으며 설계강도가 100 MPa이상인 콘크리트 배합비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피암터널이나 라멘소교량의 상부구조로 활용될 원심성형 PSC 각형보의 내구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100 MPa급 초고강도 원심성형 콘크리트의 열화 및 내화학적 특성에 대한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2022년과 2023년에 제작한 원심 성형 각형보 시험체에 대하여 염화물침투 저항성, 촉진탄산화 , 황산염침식 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스케일링 저항성 등 콘크리트의 내구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내용을 고려해 볼 때 추후 제작단계에서 수밀성이 높아지는 원심성형 콘크리트의 내구성은 일반적인 콘크리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