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T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9초

염분 변화에 따른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유어의 생리 반응과 성장 차이 (Effect of Salinity Change on Physiological Response and Growth of yearling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 한형균;강덕영;전창영;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36
    • /
    • 2003
  • 사육 염분의 급성교환 실험에서, 해수의 담수화가 1시간 이내에 이루어졌을 경우 농어, 유어들은 다소의 스트레스 반응과 이온의 변화가 있었으며. 24시간 뒤에도 정상 회복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시간에 걸친 담수화 과정 중에 스트레스 반응은 담수화 직후 높게 나타났지만, 24시간 후 빠르게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장기간 염분별 사육실험 결과, 20 ppt가 가장 높은 사료섭식량을 나타내었고, 2 ppt구가 가장 낮았다. 사료효율 또한 2 ppt구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10 ppt구가 가장 높았으며, 실험구별 유어의 성장은 실험 종료시 10, 20 및 30 ppt구가 2 ppt보다 유의하게 높은 길이 성장을 보였다. 무게 성장은 실험 종료시 20 ppt가 가장 빠른 무게 성장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30 ppt, 10 ppt. 2 ppt순으로 나타났다. 염분별 사육유어의 혈액 성상은 2 ppt~30 ppt 사육수에 있어 농어 유어들의 혈액 조성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 난 및 자치어의 염분 내성에 관한 연구 (Salinity Tolerance of Eggs and Juveniles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

  • 전제천;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3-84
    • /
    • 1991
  • 제주도에서 년중 수온 $16{\~}18^{\circ}C$, 염분농도 $20{\~}30$ ppt가 유지되는 지하해수를 넙치의 종묘 생산에 이용 가능 여부를 파악하기 위 해 수정난 및 부화후 각 성장단계별 부화자${\cdot}$치어의 염분에 대한 내성을 조사하였다. 6 단계의 서로 다른 염분농도 조건하에서 수정난의 부화율과 자${\cdot}$치어의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평균 전장 8.75 cm되는 치어를 대상으로 4 단계의 감분농도로 조정한 폐쇄 순환여과식 사육조에서 63일간 사육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난에서 부화후 200일간의 각 성장단계별 자${\cdot}$치어기의 염분농도에 따른 내성은 비교적 많은 차이가 있었는데, 수정난은 염분 농도 $33.7{\~}40.2$ ppt에서 생존율이 $70{\%}$ 이상이었고, 부화직후의 자어는 $20.6{\~}40.2$ ppt, 부화후 10일째 자어는 $27.2{\~}40.2$ ppt, 부화후 45일째 치어는 $20.6{\~}40.2$ ppt에서 생존율이 $70{\%}$ 이상이었다. 그러나 부화후 200일째 치어는 $7.6{\~}40.2$ ppt에서도 140 시간 동안 모두 생존하였다. 부화후 45 일째 자어를 정상해수 33.7 ppt 에 서 14.1 ppt로 즉시 옮긴 것은 3일째에 전수가 폐사하는데 비하여 20.6 ppt 에서 3일동안 순치시킨 후 14.1 ppt로 옮긴 것은 3일째까지 모두 생존하였다. 폐쇄순환여과식사육수조에 의한 염분농도별 치어사육에서 사육종료시(63일후)의 성장은 27 ppt 구가 평균전장 16.15 cm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33.7, 21.0, 15.0 ppt구의 순이었다. 사육기간중의 각 염분농도별 전장의 일간성장량은 27.0 ppt 구가 1.17 mm로 가장 양호하였고 33.7 ppt 구, 21.0 ppt 구, 15.0 ppt 구의 순이었다. 각 염분농도별 사육일수(X)에 따른 전장(Y)과의 회귀직선식은 $33.7{\%}$ 구 . Y=8.8109 + 0.1104X(r=0.999), $27.0{\%}$ 구 Y=8.6797 + 0.1208X(r=0.997), $21.0{\%}$ 구 : Y=8.4081 + 0.1052X(r=0.990), $15{\%}$ 구 : Y=8.4309 + 0.0995X(r=0.990)로 각각 표시되었으며 각 간의 기울기에 대한 유의차는 없었다.

  • PDF

에스트로겐 수용체 촉진제의 단기 처리에 따른 수컷 생쥐 부속 생식기관 및 간의 조직학적인 변화 (Histological Changes in the Accessory Reproductive Organs and Liver of Male Mice in Response to Short-term Treatment with an Estrogen Receptor Agonist)

  • 모윤정;조영국;조현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070-1077
    • /
    • 2014
  •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에 높은 친화성을 갖고 있는 수용체 촉진제인 propyl pyrazole triol (PPT)을 성체 수컷 생쥐에 이틀 간격으로 8일, 16일, 24일 동안 피하주사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현미경으로 부속 생식샘인 전립샘과 정낭, 그리고 간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PPT 투여군의 체중과 생식샘의 무게는 감소하였지만 간의 무게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PPT 투여군에서 전립샘과 정낭의 내강 면적이 축소되었다. PPT 투여군 전립샘의 상피세포 높이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정낭의 경우, 상피세포의 핵 위쪽 세포질에 있는 분비 소포가 대조군에서는 나타났지만, PPT 군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에 비해 PPT 투여군 간의 굴모양혈관 직경이 투여횟수에 누적적으로 147.0%, 198.7%, 223.3% 의 비율로 증가되었다. 이런 결과는 PPT 투여로 인해 생식기관과 간의 조직 구조가 영향을 받으며, 그 조직학적 변화는 투여회수에 따라 더 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틀에 한번씩 투여한 PPT에 의해서 생식력 변화와 관련 있는 생식기관의 상피세포 높이 변화가 일어났고, 내강의 크기가 위축되었다. 간의 굴모양혈관 직경이 급격하게 확대되었으며, 이 결과는 간의 무게 증가로 이어졌다.

염분변화에 따른 황복의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질소배설

  • 이정열;김덕배;성용식;송희진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02-102
    • /
    • 2003
  • 황복(Takifugus obscurus)은 주로 황해에 분포하며 봄철에 서해안으로 흐르는 금강, 한강 및 임진강으로 소상하여 강의 중상류에서 산란하는 소하성어류이다. 특히 황복은 바다와 하천을 오고 가는 관계로 해수뿐만 아니라 민물에서도 양식이 가능한 어종으로 다른 소하성어류와 마찬가지로 염분변화에 따른 삼투조절능력이 매우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황복이 급격히 염분을 달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을 산소소비량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량의 변화로 염분변화에 따른 생리적 적응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황복은 전장 10cm(체중 15~25g) 전후의 치어로서 염분 32, 22, 12, 및 2 ppt로 조절되어 있는 FRP수조(500 L)에서 2개월간 사육 후, 각기 염분을 달리한(32, 22, 12, 2 ppt) 호흡측정 장치에 황복을 수용하여 산소소비량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량을 측정하였다. 한편, 사육 시스템내에서의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질소의 배설경향을 보기 위하여 염분 16ppt에서 산소소비량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량을 25시간 관찰하였다. 산소소비 경향은 대체로 염분이 낮을수록 높은 산소소비 경향을 보였는데, 실험염분 32ppt에서는 2~32ppt 사육군 모두 다른 실험염분(22, 12, 2 ppt) 사육군보다 안정되고 낮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험염분 22, 12 및 2 ppt에서는 각기 실험염분과 동일한 염분 사육군에서 가장 높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낸 반면 32 ppt 사육군은 모든 실험염분에서 가장 낮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 질소의 배설경향은 실험염분 2 ppt를 제외하고는 2 ppt 사육군에서 가장 높은 질소 배설율을 보였으나, 실험염분 2 ppt에서는 오히려 현저히 낮은 암모니아 질소 배설율을 나타내었다. 저 염분(2, 12 ppt)에서 사육한 황복은 22 및 32 ppt에서 사육된 황복에 비해 저염분에 노출될 경우 삼투조절을 위해 암모니아 배설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사육 시스템내에서 조사된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질소 배설경향은 섭이와 관련하여 일간리듬을 보였는데, 산소소비는 섭이 3시간 후에 최고를 보였으며 암모니아 질소 배설은 섭이 4시간 후에 각각 최고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 of Podophyllotoxin Conjugated Stearic Acid Grafted Chitosan Oligosaccharide Micelle on Human Glioma Cells

  • Wang, Geng Huan;Shen, He Ping;Huang, Xuan;Jiang, Xiao Hong;Jin, Cheng Sheng;Chu, Zheng M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6호
    • /
    • pp.698-706
    • /
    • 2020
  • Objective : To study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dophyllotoxin (PPT) conjugated stearic acid grafted chitosan oligosaccharide micelle (PPT-CSO-SA), and evaluate the ability of the potential antineoplastic effects against glioma cells. Methods : PPT-CSO-SA was prepared by a dialysis method. The quality of PPT-CSO-SA including micellar size, zeta potential, drug encapsulation efficiency and drug release profiles was evaluated. Glioma cells were cultured and treated with PPT and PPT-CSO-SA. The ability of glioma cells to uptake PPT-CSO-SA was observed. The proliferation of glioma cells was determined by 3-[4, 5-dimethyl-2-thiazolyl]-2, 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The apoptosis and morphology of U251 cells were observed by 4',6-Diamidino-2-phenylindole dihydrochloride (DAPI) dye staining. Cell cycle analysis was performed by flow cytometry. The migration ability of U251 cells was determined by wound healing test. Results : PPT-CSO-SA had nano-level particle size and sustained release property.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drug reached a high level. The cellular uptake percentage of PPT in glioma cells was lower than that of PPT-CSO-SA (p<0.05). The inhibitory effect of PPT-CSO-SA on glioma cells proliferation was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at of PPT (p<0.05). The morphologic change of apoptosis cell such as shrinkage, karyorrhexis and karyopyknosis were observed. The percentage of U251 cells in G2/M pha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PT-CSO-SA group compared with PPT group (p<0.05). Compared with the PPT group, the cell migration ability of the PPT-CSO-SA group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fter 12 and 24 hours (p<0.05). Conclusion : PPT-CSO-SA can effectively enhance the glioma cellular uptake of drugs, inhibit glioma cells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duce G2/M phase arrest of them, and promote their apoptosis. It may be a promising anti-glioma nano-drug.

암컷 마우스 생식기관의 형태에 미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촉진제의 영향 (Effects of Estrogen Receptor Agonist on Morphology in the Female Mouse Reproductive Organs)

  • 이은정;한지연;조현욱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4호
    • /
    • pp.301-309
    • /
    • 2009
  • 에스트로겐은 수컷과 암컷의 생식기관 내에서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변화를 유발하지만 그 정확한 기작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에스트로겐의 기능과 연관지어, 본 연구에서는 암컷 생식기관 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촉진제인 4,4',4"-(4-propyl-[1H]-pyrazole-1,3,5-triyl)tris phenol (PPT)의 작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체 암컷 마우스에 castor oil 0.06 mL에 PPT 3mg 농도로 희석한 용액을 1주일에 1회씩 3주, 5주, 8주 동안 각각 피하주사 하였으며, 대조군에는 castor oil 0.06 mL만을 투여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식기관에 대한 PPT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PPT에 의해 실험기간 동안 체중, 난소 및 지방조직의 무게가 감소되었다. PPT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난소의 직경이 감소되었으며, 난소 내 그라프여포와 황체의 수도 감소되었다. 자궁의 경우, PPT에 의해 근육층과 내막층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내강이 증가되었다. 또한 자궁샘의 수도 감소되었다. 이런 결과들로 볼 때 PPT에 의해 암컷 생식기관의 형태학적 변화가 유발되고 이로 인해 생식력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컷 생쥐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촉진제의 농도별 투여에 의한 부속 생식샘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s of Accessory Genital Organs Induced by Treatment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Estrogen Receptor Agonist in the Male Mouse)

  • 조영국;한지연;조현욱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4호
    • /
    • pp.265-276
    • /
    • 2011
  •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촉진제인 propyl pyra zole triol (PPT)를 투여하여 복부 전립샘, 정낭, 포피샘과 같은 수컷 생쥐 부속생식샘의 무게 및 조직학적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체 수컷 생쥐를 대상으로 casor oil에 각각 0.01 mg, 0.1 mg, 1mg의 농도로 희석한 PPT를 주 1회씩 3, 5, 8주 동안 피하주사 한 후 부속생식샘의 무게 및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전체적으로 부속생식샘의 무게가 PPT 0.01 mg과 0.1 mg 처리군에서 증가하였지만, PPT 1.0 mg 처리군에서는 감소하였다. 전립샘의 상피조직은 대조군의 원주상피에서 처리군의 평편상피 또는 입방상피 형태로 변화하였다. PPT 처리군의 3주째부터 전립샘의 상피세포의 높이가 감소하였다. 정낭의 내강면적은 처리군에서 줄어든 형태로 나타났다. PPT 처리군에서 정낭의 상피세포의 높이는 감소되었다. PPT 1.0 mg 처리군에서는 포피샘의 샘포조직이 급격하게 위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컷 생쥐의 에스트로겐에 대한 생리적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실험에서 PPT 농도를 결정하는 데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Production of Resting Egg in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 and S-type)

  • Park, Heum-Gi;Hur, Sun-Bum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21-327
    • /
    • 1996
  • Production of resting egg from the Korean rotifer, Brachiunus plicatilis (L and S-type)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L-type : 20, 24, $28^{\circ}C$, S-type : 28 32, $36^{\circ}C$) and salinities (10, 20,30 ppt). The rotifer was cultured in 25 ml test tube and fed on Nannochloris oculata. With regard to mixis rate, L-type rotifer showed higher rate at lower temperature, and the highest rate was observed at 20 ppt of salinity at each temperature of the experiment. However, for S-type rotifer, the optimum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28\~32^{\circ}C$ and 20 ppt, respectively. The highest number of resting egg was 173 eggs/ml in 16 days at $24^{\circ}C$, 10 ppt for L-type rotifer and 410 eggs/ml in 14 days at $28^{\circ}C$, 10 ppt for S-type rotifer. The maximum number of resting egg produced per 10,000 rotifers was 8,122 eggs at $20^{\circ}C$, 20 ppt for L-type rotifer and 8,700 eggs at $28^{\circ}C$, 20 ppt for S-type rotifer. The maximum number of resting egg produced $10^8$ cells of N. oculata was 50.7 eggs for L-type rotifer ($24^{\circ}C$, 20 ppt) and 79.6 eggs for S-type rotifer ($32^{\circ}C$, 10 ppt). The number of resting egg produced per day was $1\~11$ eggs/ml for L-type rotifers and $21\~35$ eggs/ml for S-type rotifer in 9 combination experiments. In this study, S-type rotifer is better than L-type rotifer in resting egg production, and the optimum temperature and salinity for resting egg production were $20^{\circ}C$, 20 ppt for L-type rotifer and $28^{\circ}C$, 20 ppt for S-type rotifer. This result shows the difference of Korean rotifer in the optimum condition for resting egg production from other rotifers reported earlier.

  • PDF

Picropodophyllotoxin Inhibits Cell Growth and Induces Apoptosis in Gefitinib-Resistant Non-Small Lung Cancer Cells by Dual-Targeting EGFR and MET

  • Jin-Young, Lee;Bok Yun, Kang;Sang-Jin, Jung;Ah-Won, Kwak;Seung-On, Lee;Jin Woo, Park;Sang Hoon, Joo;Goo, Yoon;Mee-Hyun, Lee;Jung-Hyun, Shim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1권2호
    • /
    • pp.200-209
    • /
    • 2023
  •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with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amplification or sensitive mutations initially respond to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 gefitinib, however, the treatment becomes less effective over time by resistance mechanism including mesenchymal-epithelial transition (MET) overexpression. A therapeutic strategy targeting MET and EGFR may be a means to overcoming resistance to gefitinib.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picropodophyllotoxin (PPT), derived from the roots of Podophyllum hexandrum, inhibited both EGFR and MET in NSCLC cells. The antitumor efficacy of PPT in gefitinib-resistant NSCLC cells (HCC827GR), was confirmed by sup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anchorage-independent colony growth. In the targeting of EGFR and MET, PPT bound with EGFR and MET, ex vivo, and blocked both kinases activity. The binding sites between PPT and EGFR or MET in the computational docking model were predicted at Gly772/Met769 and Arg1086/Tyr1230 of each ATP-binding pocket, respectively. PPT treatment of HCC827GR cells increased the number of annexin V-positive and subG1 cells. PPT also caused G2/M cell-cycle arrest together with related protein regulation. The inhibition of EGFR and MET by PPT treatment led to decreases in the phosphorylation of the downstream-proteins, AKT and ERK. In addition, PPT 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GRP78, CHOP, DR5, and DR4 expression,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regulated involving signal-proteins. Taken together, PPT alleviated gefitinib-resistant NSCLC cell growth and induced apoptosis by reducing EGFR and MET activity.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PPT can be a promising therapeutic agent for gefitinib-resistant NSCLC.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의 배양 밀도와 섭이에 미치는 염분 농도의 영향 (Effects of Saline Concentrations on the Culture Density and Feeding of Estuarine Cladoceran, Diaphanosoma celebensis)

  • 정민민;김형신;노섬;허성일;윤영석;김재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05-610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 rotifer의 다음 단계 먹이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Artemia의 대체 먹이생물로서 Diaphanosoma celebensis의 배양 환경 중 염분 농도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염분 농도 0 ppt에서 45ppt 사이에서 5 ppt 간격으로 염분 조정된 10단계의 조건하에서 D. celebensis의 증식 밀도, 안정배양 가능정도 (RPGI: Relative Population Growth Index) 그리고 먹이섭 이력 (RCN; Remaining Cell Numbers)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염분 농도 0ppt에서 45ppt까지 10단계의 염분 배양 환경하에서 가장 높은 증식 밀도, 안정 배양도 (RPGI) 그리고 양호한 섭이력 (RCN)이 관찰된 실험구는 염분 농도 20ppt였으며, $15\~35ppt$의 염분 배양 환경하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배양 결과가 관찰되었고 20ppt를 중심으로 저염분 또는 고염분 배양 조건으로 갈수록 증식, RPGI 그리고 RCN은 저하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리고 염분 농도 0ppt에서는 실험 개시 직후 전 개체가 사망하였다. 이 연구 결과 D. celebensis는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 Artemia의 대체 먹이생물로 광범위한 염분 농도 범위하에서 비교적 손쉽게 배양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