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6:Y6

검색결과 15,452건 처리시간 0.042초

수종의 기계판막치환후 초음파심음향도를 이용한 판막간의 혈류역학적 비교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ic Hemodynamic Comparison between Recently Available Bileaflet Mechanical Valves)

  • 강준규;홍준화;김형태;박인덕;이철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496-500
    • /
    • 2005
  • 심장판막질환의 외과적 교정에 사용되는 수종의 기계판막들은 각기의 장점들을 주장하고 있으나, 중장기의 임상적 결과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기계적 기능의 차이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수술 후에 시행한 초음파심음향도로 측정한 판막간 압력차와 유효개구면적을 비교하여 다양한 기계판막들간의 기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뜻 방법: 1995년부터 2003년 사이에 아주대학교병원 흥부외과에서 기계판막으로 치환술을 받았던 345명의 환자들에 사용되었던 396개의 기계판막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사용되었던 판막으로는 Sorin Bicarbon, SJM, ATS, On-X, 그리고 Edward MRA로 5종류였다. 판막의 위치는 승모판막이 232개, 대동맥판막이 162, 그리고 삼첨판막이 2개였으며, 이중 다중판막치환술이 51예에서 있었다. 수술 후 14일이 지난 후에 시행한 초음파심음향도에서 유효개구면적, 수축기 평균압력차, 그리고 이완기 평균압력차를 지표로 통계학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결과: 345명의 대상환자중 남자가 178명, 여자가 167이었고, 평균연령은 남자/여자가 $50.6\pm13.9/52.6\pm14.6$세였다. 승모판막의 경우 27mm에서는 MDPG/EOA가 Sorin; $4.2\pm1.5 mmHg/3.0\pm0.9cm^2,\;SJM;\;2.3\pm1.2/3.5\pm0.6$였으며, 31m에서는 Sorin, SJM, ATS, Mmh가 $3.9\pm1.9/2.9\pm0.6,\;3.5\pm1.2/3.0\pm0.6,\;3.4\pm0.8/2.8\p,0.2,\;3.7\pm1.5/2.7\pm0.7$ 였으며, 31mmdptjsms Sorin, SJM, ATS, MIRA가 $3.9\pm1.9/2.9\pm0.6,\;3.5\pm1.2/3.0\pm0.6,\;3.4\pm0.8/2.8\pm0.2,\;3.7\pm1.5/2.7\pm0.7$였으며, 33 m에서는 Sorin, SJM, MIRA가 $4.4\pm0.9/2.5\pm0.4,\;3.4\pm1.5/3.3\pm0.5,\;4.7\pm2.4\3.0\pm0.3$이었다. 대동맥판막의 경우 19mm에서 MSPG/EOA가 Sorin, SJM, ATS, On-X, MIRA가 $18.0 mmHg/1.2cm^2,\;25.6\pm8.7/1.1\pm0.3,\;25.9\pm12.6/1.2\pm0.3,\;23.0/1.3,\;27.9\pm7.1/1.2\pm0.1$였으며, 21mm에서는 SJM, ATS, On-X, MIRA가 $18.3\pm6.7/1.5\pm0.5,\;13.7\pm2.1/1.7\pm0.3,\;17.0/1.4,\;17.1\pm5.5/1.8\pm0.5$였으며, 23 m에서는 Sorin, SJM, ATS On-X, MIRA가 $14.0\pm4.6/1.7\pm0.6,\;12.8\pm3.2/2.0\pm0.2,\;16.8\pm12.2/2.1\pm0.9,\;14.0/1.5,\;15.0\pm5.5/1,8\pm0.5$이었다 25mm에서는 SJM과 MIRA가 $14.0\pm5.1/1.8\pm1.0,\;11.0/2.3$이었다. 통계학적인 분석을 한 결과 같은 위치에 같은 크기의 판막들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판막재치환을 한 경우는 용혈로 인한 재치환이 ATS에서 1예, 판엽고정에 의한 재치환이 SJM에서 1예 있었다. 결론: 최근 국내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5종의 기계판막을 수술 후에 초음파심음향도로 추적조사한 결과 동일한 판막크기에서 각 판막간의 기능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공심장판막치환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Review of Prosthetic Heart Valve Replacement)

  • 장기경;윤후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977-982
    • /
    • 1996
  • 1989년 9월부터 1995년 5월까지 메리놀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07례의 환자에서 인공심장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19세부터 75세까지 였으며 평균 42.6$\pm$11.7세였고, 남녀비는 33:74였다. 승모판막치환술이 61례(57%)로 가장 많았으며, 중복판막치 환술 28례(26.2%), 대동맥 판막치 환술 18례 (16.8%)였다. 전체 사망율은 14.9%(16명)였으며, 조기사망율은 5.6%(6명), 만기 사망율은 9.3%(10명)이었다. 생존율은 술후 2년에 92.6$\pm$2.6 %, 술후 6년에 88.6$\pm$3.8%였다. 판막실패없는 빈도는 술후 6년에 88.6$\pm$3.8, 혈전전색증없는 빈도는 술후 6년에 88.3$\pm$3.9, 심내막염없는 빈도는 술후 6년에 89.5$\pm$ 3.7를 나타냈다.

  • PDF

정상적인 한국 흑염소의 심전도에 관한 연구 II. 담부단극유도의 파형과 전위 (Studies on Electrocardiogram of the Normal Korean Native Goat II. Waveforms and Amplitudes of the Unipolar Precordial Chest Leads)

  • 최인혁;김기주;윤여백;서석열;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38-348
    • /
    • 1997
  • The electrocardiographic (ECG) parameters on unipolar precordial chest leads in the normal Korean native goat of 343 heads as to CV$_{6}$LU, CV$_{6}$LL CV$_{6}$RU, CV$_{6}$RL and V10 have been measured with a 3-channel Elertrocardiograph and computed, analysed. All wave types as positive, negatives biphasic and flatting in the P and T waves appeared in all leads but any special wave type was not shown more than 60%. Average amplitudes with the highest frequent rate in P wave were 81.4$\pm$32.0 $\mu $V (52.3%), 59.6$\pm $ 27.5 $\mu $V (50.5 %) of Positive type in leads CV$_{6}$LU and CV$_{6}$LL, and -5fl.5$\pm $22.6 $\mu $V (44.0%) of negative type in leads VIO, and 51.3% and 44% of flatting type in leads CV$_{6}$RU and CV$_{6}$RL, but flatting type of clinic form appeared frequent rate between 53% and 77% in all leads. In T wave, average amplitudes with the highest frequent rate were 265.0$\pm $97.1 $\mu $V (54.0%) and 212.2$\pm $90.7 $\mu $V (57.0%) of positive type in leads CV$_{6}$LL and CV$_{6}$RL, and -252.8$\pm $90.7 $\mu $V (56.6%) of negative in lead V10, but amplitudes of T waves that positive and negative type appeared similarity frequent ra蛇 ware 208.7$\pm $99.7 $\mu $V (42.1%), -159.0$\pm $81.6 (43.8%) in lead CV$_{6}$LU and 153.2$\pm $139.0 $\mu $V (47.3%), -130.0$\pm $81.4 (43.2%) in lead CV$_{6}$RU, Amplitudes of QRS complex wave forms showed the highest frequent rate were 218.2$\pm $96.4 $\mu $V (47.8%), 308.3$\pm $135.2 $\mu $V (46.8 %), 232.8$\pm $126.5 $\mu $V (58.5%) and 225.3$\pm $89.6 $\mu $V (54.9%) of R type in the leeds CV$_{6}$LU, CV$_{6}$LL, CV$_{6}$RU and CV$_{6}$RL, and were -92.5$\pm $79.1 $\mu $V,479.0 $\pm $116.6 $\mu $V (33.2%) and 212.1 $\pm $86.7 $\mu $V (32.8%) of QR and 05 type in the lead V10. These results in the V10, CV$_{6}$RU, CV$_{6}$RL, CV$_{6}$LU, CV$_{6}$LL. may be not starve to purpose of unipolar precordial chest leads.

  • PDF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을 이용한 정상 뇌량에서의 연령대별 신경섬유로의 변화 (Evaluation of the Neural Fiber Tractography Associated with Aging in the Normal Corpus Callosum Using the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 임인철;구은회;이재승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89-194
    • /
    • 2011
  • 본 연구는 자기공명 확산텐서영상(DTI)을 이용하여 연령대에 따른 정상 뇌량의 신경섬유로 영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뇌질환이나 다른 질병이 없는 건강한 지원자 6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검사방법은 TR: 6650 ms, TE: 66 ms, FA: $90^{\circ}$, NEX: 2, thickness: 2 mm, no gap, FOV: 220 mm, b-value: $800s/mm^2$, sense factor: 2, acquisition matrix size: $2{\times}2{\times}2mm^3$로 하였고, 검사시간은 3분 46초이었다. 평가방법은 영상범위를 두개저부에서 두정부까지 포함하여 color-cored FA map을 만든 후 뇌량의 슬부, 전체부, 후체부, 이행부, 그리고 팽대부 등 5개의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각각 트래킹을 하여 신경섬유로의 길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뇌량의 슬부에 대한 신경섬유로 길이는 20대: $61.8{\pm}6.8$, 30대: $63.9{\pm}3.8$, 40대: $65.5{\pm}6.4$, 50대: $57.8{\pm}6.0$, 60대: $58.9{\pm}4.5$, 70대 이상: $54.1{\pm}8.1mm$, 전체부에서는 20대: $54.8{\pm}8.8$, 30대: $58.5{\pm}7.9$, 40대: $54.8{\pm}7.8$, 50대: $56.1{\pm}10.2$, 60대: $48.5{\pm}6.2$, 70대 이상: $48.6{\pm}8.3mm$, 후체부에서는 20대: $72.7{\pm}9.1$, 30대: $61.6{\pm}9.1$, 40대: $60.9{\pm}10.5$, 50대: $61.4{\pm}11.7$, 60대: $54.9{\pm}10.0$, 70대 이상: $53.1{\pm}10.5mm$, 이행부에서는 20대: $71.5{\pm}17.4$, 30대: $74.1{\pm}14.9$, 40대: $73.6{\pm}14.2$, 50대: $66.3{\pm}12.9$, 60대: $56.5{\pm}11.2$, 70대 이상: $56.8{\pm}11.3mm$, 그리고 팽대부에서는 20대: $82.6{\pm}6.8$, 30대: $86.9{\pm}6.4$, 40대: $83.1{\pm}7.1$, 50대: $81.5{\pm}7.4$, 60대: $78.6{\pm}6.0$, 70대 이상: $80.55{\pm}8.6mm$ 이었다. 정상 뇌량에 대한 신경섬유로의 길이는 슬부(P=0.001)와 후체부(P=0.009), 그리고 이행부(P=0.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대로는 30대와 40대까지 증가하다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뇌의 신경세포들이 중년의 나이에서 활발히 발달하고 있음을 신경 섬유로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소의 순환혈액 및 림프조직내 T 및 B 림프구 분포 (Distribution of T and B lymphocytes in peripheral blood and lymphoid tissues of bovine)

  • 윤창용;김태중;채효석;김종면;송희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75
    • /
    • 1991
  • 소의 순환혈액 및 림프조직내의 T 및 B 림프구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소흉선 세포를 토끼에 과면역시켜 얻은 항혈청을 소의 적혈구, 간장분말 및 골수세포에 순차적으로 흡착시킨 항 흉선 세포혈청(RABTS)과 성숙 T 림프구에만 특이성을 가진 단클론항체 $BLT_1$ 및 B 림프구와 소수의 대식세포에 특이성을 가진 단클론항체 $_6E_{12}$를 1차 항체로 이용하여 ABPC법으로 T 및 B 림프구를 동정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RABTS 및 $BLT_1$으로 동정한 순환혈액내 단핵세포(PB-MNCs) 중 T림프구의 비율은 각각 70.9${\pm}5.5%$$59.0{\pm}8.7%$이었으며, PB-MNCs중 nylon wool 비부착세포를 $BLT_1$$_6E_{12}$로 동정한 T 및 B 림프구의 비율은 각각 $91.6{\pm}1.0%$, $9.6{\pm}0.8%$이었다. 또한 $BLT_1$$_6E_{12}$로 동정한 서혜림프절, 장간막 림프절, 비장 및 흉선의 T/B림프구의 비율은 각각 $56.4{\pm}6.2/45.3{\pm}7.4%$, $55.6{\pm}7.7/42.3{\pm}5.8%$, $48.6{\pm}5.1/48.5{\pm}6.2%$$23.0{\pm}4.8/5.6{\pm}2.1%$이었으며, RABTS로 동정한 이들 림프조직내의 T림프구의 비율은 각각 $76.3{\pm}3.4%$, $74.2{\pm}8.2%$, $73.6{\pm}5.5%$$95.6{\pm}2.8%$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PB-MNCs네의 T림프구 분리는 nylon wool column법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단기간의 운동 및 식이 조절이 비만아동의 질소 평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ercise and Diet Control Program on Nitrogen Balance in Obese Children)

  • 박소앙;이성숙;최인선;오승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6호
    • /
    • pp.637-644
    • /
    • 2001
  • 본 연구는 운동 및 식이 조절이 비만 아동의 질소 평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8~12세의 비만한 초등학교 남자 아동을 대상으로 3일간은 대조기간 1주일간은 운동을 부하하되 에너지는 제한하지 않는 운동기간 및 그 후 1주일간은 운동부하와 동시에 에너지를 제한하는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으로 나누어 대상자의 체중 및 체성분을 측정하고, 또한 에너지 섭취량, 질소 평형 및 CHI를 측정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1일 평균 총 에너지 섭취량은 대조기간, 운동기간 및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별로 각각 평균 2,152 $\pm$ 138kca1, 1,861 $\pm$ 138kca1 및 1,368 $\pm$ 87kca1이었다. 체중은 대조기간에 비하여 운동기간 및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 별로 각각 평균 1.2 $\pm$ 0.2kg 및 1.8 $\pm$ 0.3 kg 감소되었데, 이 중 지방 조직은 각각 평균 1.0 : 0.3kg 및 1.5 $\pm$ 0.5kg 감소되었고 무지방 조직은 각각 평균 0.2 $\pm$ 0.4kg 및 0.3 $\pm$ 0.4kg 감소되었다. 1일 질소 섭취량은 대조기간, 운동기간 및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별로 각각 평균 9.1 $\pm$ 0.7g, 9.1 $\pm$ 0.8g 및 7.1 $\pm$ 0.5g 이었는데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기간별로 각각 평균 1.3 $\pm$ 0.2g, 0.9 $\pm$ 0.1g 0.7 $\pm$ 0.1 이었으며 소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기간별로 각각 평균 6.7 $\pm$ 0.6g, 6.6 $\pm$ 0.5g 및 6.7 $\pm$ 0.6g 이었다.

  • PDF

전통 고추장의 맛성분 (Studies on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 신동화;김동한;최웅;임대관;임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156
    • /
    • 1996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조미식품인 고추장의 품질개선과 담금 방법을 과학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하여 전국의 각 가정에서 담은 55점의 전통 고추장을 수집하여 맛성분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유리당은 glucose $(8.21{\pm}5.62%)$와 maltose $(6.95{\pm}7.27%)$가 대부분이고 fructose $(1.88{\pm}1.27%)$와 sucrose $(1.05{\pm}1.21%)$가 소량 존재하였다. 유기산은 succinic acid $(901.83{\pm}826.23\;mg%)$, citric acid $(484.16{\pm}242.89\;mg%)$, lactic acid $(381.63{\pm}367.88\;mg%)$ 함량이 많았고 acetic acid, oxalic acid, formic acid는 소량 존재하였다. 고추장 중의 총 유리 아미노산은 64.35 mg%이었으며, proline $(10.66{\pm}6.27\;mg%)$, glutamic acid $(9.27{\pm}10.97\;mg%)$, aspartic acid $(9.14{\pm}5.84\;mg%)$, lysine $(6.19{\pm}6.66\;mg%)$, serine $(5.72{\pm}3.79\;mg%)$함량이 많았다. 핵산 관련물질은 CMP가 $42.90{\pm}28.16\;m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hypoxanthine $(6.86{\pm}3.45\;mg%)$, IMP $(5.59{\pm}5.84\;mg%)$, inosine $(4.58{\pm}6.91\;mg%)$, GMP $(3.36{\pm}3.93\;mg%)$순이었으며 AMP나 UMP는 소량 존재하였다.

  • PDF

정상인(正常人) 및 당뇨병환자(糖尿病患者)에서의 경구당부하시(經口糖負荷時) 혈중(血中) Insulin과 C-Peptide의 변동(變動) (A Study of the Insulin and the C-Peptide Responses to Oral Glucose Load in Nondiabetic and Diabetic Subjects)

  • 이명철;최성재;김응진;민헌기;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32
    • /
    • 1977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insulin and the C-peptide rseponse to oral glucose loads in normal and diabetic subjects and to establish the effects of the obesity. In this study, the authors have measured plasma insulin and C-peptide by means of radioimmunoassay in 10 nonobese normal, 5 obese normal, 13 nonobese moderate diabetic patients, 9 obese moderate diabetic patients and 9 severe diabetic patien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10 nonobese normal subjects, the plasma insulin level at fasting state and at 30, 60, 90, and 120 min after oral glucose loads were $15.7{\pm}3.4,\;48.3{\pm}9.8,\;40.4{\pm}6.7,\;37.4{\pm}6.5\;and\;26.0{\pm}4.2uU/ml(Mean{\pm}S.E.)$ and C-peptide were $1.9{\pm}0.3,\;3.9{\pm}0.6,\;6.3{\pm}0.6,\;5.7{\pm}0.5\;and\;4.0{\pm}0.5ng/ml$. The change of C-peptide was found to go almost parallel with that of insulin and the insulin value reaches to the highest level at 30 min whereas C-peptide reaches to its peak at 60min. 2. The plasma insulin level in 5 obese normal subjects were $38.9{\pm}12.3,\;59.5{\pm}12.3,\;59.2{\pm}17.1,\;56.1{\pm}20.0\;and\;48.4{\pm}17.2uU/ml$ and the C-peptide were $5.5{\pm}0.4,\;6.8{\pm}0.5,\;7.9{\pm}0.8,\;7.9{\pm}0.8\;and\;7.8{\pm}2.0ng/ml$. The insulin response appeared to be greater than nonobese normal subjects. 3. In 13 nonobese moderate diabetic patients, the plasma insulin levels were $27.1{\pm}4.9,\;44.1{\pm}6.0,\;37.3{\pm}6.6,\;35.5{\pm}8.1\;and\;34.7{\pm}10.7uU/ml$ and the C-peptide levels were $2.7{\pm}0.4,\;4.9{\pm}0.7,\;6.5{\pm}0.5,\;7.0{\pm}0.3\;and\;6.7{\pm}1.0ng/ml$. There was little significance compared to nonobese normal groups but delayed pattern is noted. 4. In 9 obese moderated diabetic patients, the plasma insulin levels were $22.1{\pm}7.9,\;80.0{\pm}19.3,\;108.0{\pm}27.0,\;62.0{\pm}17.6\;and\;55.5{\pm}10.1uU/ml$ and the C-peptide levels were $5.2{\pm}0.4,\;8.0{\pm}1.0,\;10.4{\pm}1.6,\;10.4{\pm}1.7\;and\;10.1{\pm}1.0ng/ml$ and its response was also greater than that of nonobese moderate diabetic patients. 5. The plasma insulin concentrations in 9 severe diabetic subjects were $8.0{\pm}3.8,\;12.1{\pm}3.5,\;16.8{\pm}4.6,\;19.6{\pm}5.2\;and\;15.0{\pm}5.0uU/ml$ and the C-peptide levels were $1.6{\pm}0.3,\;2.4{\pm}0.4,\;4.1{\pm}0.6,\;4.0{\pm}0.8\;and\;4.5{\pm}0.7ng/ml$ and the insulin and C-peptide responses were markedly reduced in severe diabetic groups. 6. There were-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s of patients on the magnitude of total insulin or C-peptide areas, the insulinogenic index and the C-peptide index.

  • PDF

광주지역 학교주변 길거리 음식 중 당, 나트륨, 인공감미료 함량 실태조사 (A Survey on Total Sugar, Sodium and Artificial Sweetener Contents of Light Meals from the School Zone in Gwangju)

  • 양용식;김종필;강경리;서계원;조배식;홍삼재;최계선;김은선;박종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5-390
    • /
    • 2009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total sugar, sodium, and artificial sweetener contents of light meals from the school zone in Gwangju, from November, 2008 to April, 2009. A total of 100 samples were tested. HPLC/ELSD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otal sugar contents and AAS for sodium contents. Total sugar amounts were the sum of both mono-and disaccharide according to nutritional information standard defin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y the form of total sugar content(sodium content): $5.7\;{\pm}\;1.9%$($4.6\;{\pm}\;1.6\;mg/g$) for Tteokbokki, $7.6\;{\pm}\;5.1%$($5.4\;{\pm}\;2.7\;mg/g$) for Chicken(skewed), $15.4\;{\pm}\;3.2%$($3.0\;{\pm}\;0.9\;mg/g$) for Bun(fish-shaped), $0.6\;{\pm}\;0.3%$($3.7\;{\pm}\;1.0\;mg/g$) for Sundae, $0.9\;{\pm}\;0.3%$($7.4\;{\pm}\;1.4\;mg/g$) for Oden(with broth), $20.5\;{\pm}\;6.2%$($2.9\;{\pm}\;0.6\;mg/g$) for Waffle, $6.8\;{\pm}\;2.2%$($4.7\;{\pm}\;1.0\;mg/g$) for Hotdog, $14.2\;{\pm}\;2.8%$($3.1\;{\pm}\;1.6\;mg/g$) for Hotteok, $6.6\;{\pm}\;2.1%$($3.9\;{\pm}\;0.6\;mg/g$) for Toast, $10.1\;{\pm}\;3.7%$($2.3\;{\pm}\;0.7\;mg/g$) for Fry(sweet potato), $1.6\;{\pm}\;0.7%$($4.0\;{\pm}\;0.7\;mg/g$) for Fry(etc), and $9.3\;{\pm}\;2.4%$($4.0\;{\pm}\;0.6\;mg/g$) for Doughnut. In addition, sodium saccharin, one of the artificial sweeteners, was tested. Among 60 samples from February to April, 2009, 11 samples had sodium saccharin(6.7~101.0 mg/kg).

능력검정에 의한 우량 종봉 선발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superior breeding colonies of Apis mellifera based on performance-testing)

  • 손영익;차용호;최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9권
    • /
    • pp.17-22
    • /
    • 2001
  • 본 연구는 여왕별의 능력검정 및 선발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1999년 11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상주시 내서연 능암리 산 246번지에 있는 양봉장에서 서양종 봉군(Apis millifera)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99~2000 월동 기간 중 월동 전 후의 벌통무게는 $22.6{\pm}2.6kg$$20.1{\pm}2.6kg$로서 월동기간 중 벌통 무게 감소량은 $2.5{\pm}0.7kg$였다. 월동 2차 연도인 2000~2001 월동 기간 중 월동 전 벌통무게는 $22.6{\pm}2.3kg$이었으나 월동기간 중 벌통무게는 $2.3{\pm}0.6kg$이 감소되었다. 아까시꿀 채밀 직전에 조사된 착봉소비 매수는 2000년 5월 22일에 $13.1{\pm}4.6$매였으나, 2001년 5월 21일에는 $16.0{\pm}3.8$애였고, 계상이용율은 2000년에 50%이었으나 2001년에는 98.5%이었다. 아카시 유밀기에 있어서 2차에 걸쳐 채밀한 군당 평균 채밀량은 2000년에는 $12.7{\pm}8.6kg$이었으나 2001년에는 비선발군에서 $14.2{\pm}7.6kg$ 그리고 검정선발여왕벌 봉군에서 $23.5{\pm}4.9kg$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