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 입자상 물질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4초

대기 중 PM-10 오염원의 정량적 기여도 추정을 위한 PMF 모델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PMF Model for Estimating Quantitative Source Contributions of Ambient PM-10)

  • 황인조;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63
    • /
    • 2003
  • 대기 중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에 대한 오염원의 영향을 확인하고 기여도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수용방법론 (receptor methods)이 이용되고 있다. 수용방법론은 각종 응용통계학을 기반으로 한 계량화 학적 분석기술로서, 일반대기 중 수용체에서 가스상ㆍ입자상 오염물질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후,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원을 확인하고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대기오염 관리를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통계적 방법이다. 또한 수용방법론은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의 분석에 다각도로 응용할 수 있으며, 합리적인 대기오염 관리를 유도하는 기초기술이라 할 수 있다(황인조 등, 2001). (중략)

  • PDF

DPF내 포집된 입자상 물질의 산화율 산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stimation of Oxidation Rate of PM inside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 심범주;박경석;조규희;이형준;민병두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98-103
    • /
    • 2013
  • Conventional method to estimate mass of particulate matter accumulated in diesel particulate filter is to us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filter. Then measured pressure difference should be compared that of clean condition which is no particulate matter accumulated in DPF. During regeneration soot oxidation is also estimated by same method. This methodology, however, has demerit on accuracy because of pressure difference deviation of clean DPFs and pressure difference caused by non-carbon based PM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caused by carbon based PM. This study suggests new methodology to estimate accumulated soot oxidation rate through exhaust gas characteristics during regeneration. Results, more high accuracy of soot oxidation was obtained by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fuel mass an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nd oxygen.

부산지역 PM2.5와 PM10 입자조성에 관한 연구 (A Comparison of PM2.5 and PM10 particles in Pusan Area)

  • 진보경;김창환;최금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4
    • /
    • 2000
  • 최근 대기중 입자상 물질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고 있으며, TSP에서 PM10으로 기준이 강화되는 등 미세입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호흡범주의 입자에 대한 규제를 목적으로 PM2.5에 대한규제가 미국등 몇 개국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PM2.5에 대한 각종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SP 나 PM10 에 대한 각각의 연구들은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PM2.5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하며 PM10 과 PM2.5 의 상호비교를 고찰한 논문도 그리 많지 않다. (중략)

  • PDF

제주 고산에서 측정한 $PM_{2.5}$ 에어로졸의 원소성분 특성연구 (Characteristics of Elemental Composition of $PM_{2.5}$ Aerosols Measured at Gosan, Jeju)

  • 류성윤;김정은;정현록;김영준;한진석;문광주;공부주;안준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34
    • /
    • 2003
  •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상 물질은 보통 입경에 따라 2.5$\mu\textrm{m}$ 이하의 미세입자와 2.5$\mu\textrm{m}$ 이상의 조대입자로 나눌 수 있다. 조대입자는 토양 및 해염, 꽃가루, 화산재 및 토양 먼지와 같이 자연발생원에서 주로 생성되며,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미세입자는 화석연료의 연소, 자동차의 배출가스 및 화학물질의 제조공정 등의 인위적 발생원에서 주로 방출되며, 또한 이들 1차 생성분진과는 달리 대기중에서 황산가스나 휘발성 유기화합물 둥이 응축과정을 거쳐 가스상에서 입자상으로 변환되어 생성된 2차 입자도 환경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략)

  • PDF

제주도 고산지역 $PM_{2.5}$ 미세입자 중의 유기산 함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Organic Acids in $PM_{2.5}$ Fine Particles Collected at Kosan, Cheju Island)

  • 고선영;강창희;김원형;신찬성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3-324
    • /
    • 2001
  • 입자크기가 2.5$\mu\textrm{m}$ 이하의 미세입자는 화석연료의 연소, 자동차 배출가스, 화학물질 제조과정 등과 같이 인위적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오염물질과 기체상 오염물질(SO$_2$, NOx, VOCs 등)이 입자상으로 전환된 2차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입자는 황산염, 강산, 암모늄, 질산염, 유기화합물, 중금속 등을 포함하고 있고 호흡시 폐 내부까지 깊숙히 흡수되기 때문에 피해가 크고, 또 오염지역의 경우 시정장애를 일으켜 가시도에도 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군산 산단의 PM10 중 금속성분과 이온성분의 크기 분포 (Size Distribution of Metals and Ionic Species of $PM_{10}$ in Industrial Complex of Gunsan(Korea))

  • 김성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5-406
    • /
    • 2003
  • 현재 우리나라 입자상물질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은 공기역학적 직경 10 $\mu\textrm{m}$ 이하인 PM$_{10}$ 기준이 연평균 70 $\mu\textrm{g}$/㎥ 및 일평균 150 $\mu\textrm{g}$/㎥이다. 그러나 영국의 PM$_{10}$ 기준은 24시간 평균 50 $\mu\textrm{g}$/㎥로 강화하여 입자상물질에 의한 건강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EPAQS, 1995). 분진은 공기역학적 직경 2.5 $\mu\textrm{m}$를 기준으로 미세입자와 거대입자로 나누어지는 쌍극분포의 형태(Whitby et al., 1972)를 나타내며, 분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많은 연구를 통해 10 $\mu\textrm{m}$ 이하의 입자가 호흡성 분진으로 인체에 더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Emison, 1988). (중략)

  • PDF

가솔린과 바이오 에탄올 혼합 연료의 엔진 및 차량 모드 주행시의 입자상 물질 배출 특성 (Particl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gasoline and bio ethanol blend in the engine and vehicle mode test)

  • 고아현;이형민;최관희;박심수;이영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B
    • /
    • pp.3102-3107
    • /
    • 2008
  • This paper was focused on the particulate matter (PM) on the gasoline and bio ethanol. Bio ethanol as a clean fuel is considered one of the alternative fuels that decreased the PM emission from the vehicle. Particle formation in SI engine was depended on the fuel and engine operating condition. In this paper,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behaviors were analyzed by DMS500 (Differential Mobility Spectrometer) and CPC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instrument which was recommended by PMP (Particle Measurement Programme). Particle emissions were measured with various engine operating variables such as air excess ratio ($\lambda$), spark timing and intake valve opening (IVO) at part load condition. In vehicle test, the number of particulate matter was analyzed with golden particle measurement system, which was consist of CVS (Constant Volume Sampler), particle number counter and particle number diluter.

  • PDF

GDI 엔진의 냉각수온에 따른 연소성능 및 입자상 물질 배출 특성 (Dependence of Nanoparticl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Gasoline Direct Injection Engines on Coolant Temperature)

  • 이효근;최관희;명차리;박심수;박종일;한승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2호
    • /
    • pp.131-1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GDI 엔진의 냉각수 온도에 따른 연소 및 배출가스 특성을 연구하였다. 엔진에서 나오는 입자상 물질의 수와 크기 분포는 DMS-500 장비로 측정하였다. 배기포트 에 장착된 CLD-400 과 HFR-400 을 통해 NOx 및 THC 의 배출 특성을 연소주기 별로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낮은 냉각수온에서 5~10 nm 의 입자상 물질이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THC 또한 낮은 냉각수온에서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연소실 내 연료의 액막현상 때문이다. 그리고 NOx 는 높은 냉각수온에서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내부 EGR 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THC 와 NOx 그리고 입자상 물질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냉각수온을 빠르게 올리는 EMS 변수 설정 필요하다.

전기적 방법을 이용한 $PM_{2.5}$ 실시측정기술 (Development of Electrical Method for $PM_{2.5}$ Measurement)

  • 이윤정;이규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92
    • /
    • 2000
  •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은 기후변화 및 시정감소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인체의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입자크기가 작은 미세입자는 폐의 깊은 곳에 침착되어 인체의 호흡기 건강에 매우 유해하다. 1995년 우리나라에서 PM10을 대기환경기준에 포함시킨 것도 이러한 미세입자의 인체에의 악영향을 고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더 미세한 입자로서 폐에 큰 침착률을 보이고 실질적으로 호흡기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입자인 PM/sub 2.5/에 눈을 돌려 규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승용 디젤 엔진의 후처리 시스템 적용에 따른 나노입자 배출 맵 구축 및 저감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Particle Emission Contour Construction &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 Efficiency of Exhaust-Treatment System of Diesel Engine)

  • 고아현;황인구;명차리;박심수;최회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8호
    • /
    • pp.755-760
    • /
    • 2010
  • 본 연구는 승용 디젤엔진의 입자상 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것으로써, 엔진에서 배출된 입자상 물질이 배기관 및 후처리장치인 디젤산화촉매와 매연여과장치를 통과할 때의 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후처리장치 각각 전 후단 및 배기관에서 직접 측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엔진회전속도 및 부하조건에서 측정함으로써 입자상 물질 배출 맵을 구축하였으며, 디젤산화촉매 및 매연여과장치의 입자상 물질 저감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배기재순환율과 연료분사시기를 변경시켜 입자상 물질의 배출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모든 시험에서 입자상 물질을 5~1000nm 크기까지 측정할 수 있는 DMS500을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