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STRUCTURE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8초

순천만 해안방풍림 조성을 위한 생태학적 식재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Planting Model for the Make Up of Coastal Windbreak Forest on Suncheon Bay in Suncheon-si, Korea)

  • 김도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9-104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planting model to make up of coastal windbreak forest on the Suncheon-bay in Sucheon-si, Korea. Make up of coastal windbreak forest in this site was needed for appropriate bioresource, biodiversity and ecological structure, and for conservation of the eco-tour resource and protection of human life and property by the unforeseen disaster from the coast. Based on the plant-social principle, the planting model of windbreak forest was developed to facilitate growth of trees, considering planting locations. The ecological planting model for the coastal windbreak was composed of warm temperate evergreen and windbreak forest which is spreading around the inland area in Korea. The horizontal forest style was composed of forest edge community and inner forest community, and the vertical forest style was composed of upper, middle, low and ground planting class. The target of the present model was quasi-natural forest, and the species of tree were selected based on the adaptability to surroundings depending on a goal to create a forest and forest style. To achieve both functions of wind break forest and visual effect in short period of time, small trees and seedlings were planted with high-density of 40,000/ha in an expectation of easy natural maintenance in the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is a suggestion for a guideline to create ecological coastal windbreak forest in the Suncheon-bay in which the harmony of human life and the ecological conservation is of great importance. Also, the ecological coastal windbreak forest model should be developed further through the long term monitoring after construction of forest.

Improvement of the Planting Method to Increase the Carbon Reduction Capacity of Urban Street Trees

  • Kim, Jin-Young;Jo, Hyun-Kil;Park, Hye-M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9-22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Urban street tre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arbon reduction in cities where greenspace is scarce. There are ongoing studies on carbon reduction by street trees. However, information on the carbon reduction capacity of street trees based on field surveys is still limited. This study aimed to quantify carbon uptake and storage by urban street trees and suggest a method to improve planting of tre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carbon reduction capacity. Methods: The cities selected were Sejong, Chungju, and Jeonju among cities without research on carbon reduction, consider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in Korea. In the cities, 155 sample sites were selected using systematic sampling to conduct a field survey on street environments and planting structures. The surveyed data included tree species,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diameter at root collar (DRC), height, crown width, and vertical structures. The carbon uptake and storage per tree were calculated using the quantification models developed for the urban trees of each species. Results: The average carbon uptake and storage of street trees were approximately 7.2 ± 0.6 kg/tree/yr and 87.1 ± 10.2 kg/tree, respectively. The key factors determining carbon uptake and storage were tree size, vertical structure, the composition of tree species, and growth conditions. The annual total carbon uptake and storage were approximately 1,135.8 tons and 22,737.8 tons, respectively. The total carbon uptake was about the same amount as carbon emitted by 2,272 vehicles a year.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basic unit to quantify carbon uptake and storage of street trees based on field surveys. To improve the carbon reduction capacity of street tre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lanning strategies such as securing and extending available grounds and spaces for high-density street trees with a multi-layered structure.

인천시 공개공지의 도심 녹지 기능 개선 방안 (Improvement Devices of Urban Center′s Green Function of the Public Open Space Attached Building in Incheon, Korea)

  • 조우;이용주;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8-267
    • /
    • 2003
  • 이 연구는 인천시 공개공지의 조성과 이용실태 그리고 식재 현황을 분석하여 도심 녹지로서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1994∼2002년 조성된 대형상업건물 10개소, 교통관련 건물 3개소, 공공기관 건물 2개소의 공개공지였으며, 우리나라와 유사한 공개공지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일본 오사카시와 가와사키시 공개공지의 식재지 구조를 인천시 연구대상지와 비교하였다. 인천시는 아직까지 공개공지를 도심 녹지로 보는 시각이 부족하였고 공개공지는 법적 의무만을 충족시키는 수준에서 조성되고 있었다. 공개공지의 도심녹지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첫째. 공개공지 식재지율을 어린이공원 수준인 40%로 늘려 소공원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공개공지의 수목 식재기반. 수종선정, 식재방법 등에 대한 사항을 인허가시 녹지관련 부서와 협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공개공지의 식재 기준으로 삼고 있는 '대지안의 조경 식재기준'을 현재 보다 상향 조정하여 녹지 질과 녹량을 증진시켜 환경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공개공지를 시민들이 쉽게 알아보고 이용할 수 있는 안내 사인의 설치 의무화가 요구된다. 다섯째, 공개공지가 본래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 전용되지 못하게 법적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인천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식재모델 연구(I) - 곰솔림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 (The Planting Models of Maritime Forest by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the Seaside, Incheon - A Case Study on Pinus thunbergil Community and P. densiflora Community-)

  • 권전오;이경재;장상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3-63
    • /
    • 2004
  • Planting models for restoration forest on the seaside have been demanded because coastal reclaimed land has increased for habitation sites, industrial complexes and new towns on the west seaside of Korea. The planting models have to consider endurance for ba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order to make a role to protect the urban space against the extreme seaside environment. The dominant species, relative impotance value, individuals and species number were analysed in natural forests that were exposed to extreme seaside conditions in Deokjeok island and Younghung island, Incheon. The native species such as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which survive on the seaside, were mainly recommended because the coastal reclaimed land had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Stable vegetation structures could be made by multi-layer planing by using these species. A diverse vegetation community could be made according to these planting models. The maritime forests made by these planting models might be more effective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a windbreak forest than alone tree, and the young trees below 3m height could easily adapt to these conditions.

식생 군집분석과 종간친화력 분석을 통한 서울형 다층구조 식재모델 제안 (Suggestions for Multi-Layer Planting Model in Seoul Area Based on a Cluster Analysis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 김민경;심우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6-127
    • /
    • 2010
  • 최근 생태환경 조성을 위한 다층구조 식재는 식생복원 등 환경사업뿐만 아니라 군락식재의 방법으로서 활용이 확산되고 있으나, 실제 조경 식재 설계에 있어 다층식재 기법을 활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숲 구조를 분석하여 다층식재 시 활용 가능한 기초적 다층 식재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생태분석프로그램인 PC ORD 4.0(MjM Soft, 2002) 프로그램을 활용, ISA(Indicator Species Analysis) 분석을 통한 적정 군집수를 설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팔배나무군락,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신갈나무-진달래군락, 선갈나무-노간주나무군락, 소나무-진달래군락, 선갈나무-철쭉나무군락 등의 7개의 자연 식생군락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상지에 출현한 빈도 10% 이상의 식물종간의 종간친화력 검정을 통하여, 자연식생에서의 수반종과 함께 수급 및 유통이 가능한 대체 유사종을 제시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한 7개 자연식생군락을 기초로 하여, 군락 내 종간 친화력이 있는 식물종을 재선정하여 조경 식재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다층식재 모델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다층식재 모델은 변환우점도 값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 목표피도를 제시함으로써 식재설계 시 폭넓게 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변구역 조성녹지의 탄소저감 효과 및 증진방안 (Effects and Improvement of Carbon Reduction by Greenspace Establishment in Riparian Zones)

  • 조현길;박혜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6-24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4대강 유역에 조성된 수변녹지를 대상으로 탄소의 저장 및 연간 흡수를 계량화하고, 수변녹지의 탄소저감 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조성방안을 모색하였다. 표본 선정한 40개소 연구 대상지의 녹지구조 및 식재기법은 흉고직경이 평균 $6.9{\pm}0.2cm$이고 식재밀도가 $10.4{\pm}0.8$주/$100m^2$로서, 소형 수목의 저밀 단층식재로 대표된다. 식재수목에 의한 단위면적당 탄소의 저장량과 연간 흡수량은 각각 평균 $8.2{\pm}0.5t/ha$, $1.7{\pm}0.1t/ha$/년이고,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유기물함량과 단위면적당 탄소저장량은 각각 $1.4{\pm}0.1%$, $26.4{\pm}1.5t/ha$이었다. 대상지의 수목과 토양은 1ha당 약 61kL의 휘발유 소비에 상당하는 탄소량을 저장하고, 수목은 해마다 1ha당 3kL의 휘발유 소비에 기인한 탄소배출량을 상쇄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 탄소저감은 식재 후 5년 이상~10년 미만 생장한 효과로서 식재수목의 생장과 더불어 훨씬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 대상지와 상이한 식재기법의 조성모델들을 선정하여 향후 30년 동안 수목생장에 따른 연간 탄소흡수량의 변화를 비교 시뮬레이션하였다. 그 결과, 경과년도별 누적 탄소흡수량은 식재규격이 더 크고 식재밀도가 더 높은 다층 군식의 생태식재모델에서 저밀 단층식재인 대상지보다 10년 및 30년 경과시 각각 약 1.9배, 1.5배 더 많았다. 수변녹지의 탄소저감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규격이 상대적으로 큰 수목을 혼식하는 다층 군식, 속성수를 포함하여 연간 생장률이 양호한 자생수종의 중 고밀 식재, 식재수종의 정상적 생장에 적합한 토양조건 구비 등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는 조성 초기단계인 수변녹지 사업에서 수질보전 및 생물서식에 부가하여 탄소흡수원의 역할을 제고하기 위한 실용적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일본 고베시(神戶市)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 구조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Style of Street Green Spaces on Port Island, Kobe, Japan)

  • 곽정인;한봉호;노태환;곽남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74
    • /
    • 2015
  • 본 연구는 일본 고베시(神戶市) 해안 매립도시인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별 도로 유형, 주변 토지이용, 식재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녹지량이 풍부한 가로녹지 식재기법 사례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포트아일랜드(총면적 826ha)는 일본 내에서도 최초의 인공섬으로 항만시설과 본격적인 도시기능시설을 겸비한 해상문화도시이다. 연구대상지내 $55{\sim}285m^2$ 면적의 조사구 11개소를 설정하여 조사 한 결과,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는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평지형의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인접한 도로의 폭에 따라 지형구조가 변화하였다. 인접한 도로의 차선이 많아서 소음, 공해물질 등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은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등의 지형구조와 광폭의 다층구조 녹지대를 조성하였고, 도로차선이 적은 지역인 경우, 평지형의 지형구조와 화관목 위주의 관목을 식재하여 가로띠녹지를 조성하였다. 인접한 토지이용은 공공기관, 공동주택지, 주상복합지, 상업업무지 등이었고, 식재개념은 중로(4차선)의 경우 완충+경관기능, 소로(2차선)의 경우 경관기능이었다. 식재종은 대만풍나무, 녹나무, 조구나무, 참죽나무, 담팔수, 은행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종가시나무, 향나무, 목련, 철쭉류, 동백나무, 꽃댕강나무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식재밀도는 교목층 0.02~0.08(0.04)주/$m^2$, 아교목층 0.02~0.08(0.04)주/$m^2$이었고, 녹피율은 교목층 40.0~173.7(93.0)%, 아교목층 2.1~79.8(34.9)%, 관목층 17.9~64.2(4.13)%이었다.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3{\sim}6.67(4.13)m^3/m^2$, 아교목층 $0.02{\sim}2.01(0.85)m^3/m^2$, 관목층 $0.14{\sim}0.58(0.26)m^3/m^2$이었다.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녹피율은 서울시 주요 가로녹지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고, 특히 관목층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우리나라 주요 가로녹지와 비교하였을 때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 조성되고 있는 해안 매립기반 도시의 가로녹지 조성 시 지형구조, 식재구조, 식재기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로녹지 조성기법 사례지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열환경 완화를 통한 주택지내 쾌적성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Comfortable Following the Thermal Environment Migration in Detached Housing Area)

  • 류지원;정응호;호야노 아키라;김대욱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51-59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thermal comfort level of detached housing area by reducing the impact of thermal environment. The study focused on reducing surface temperature that is generated in buildings and adjacent spaces as a result of sensible heat load and presented a proposal on implementing planting method considering its outdoor condition and structure and composed materials. To perform the study, we utilized 3D-CAD to examine the outdoor condition and structure and composed materials that impact on surface temperature and conducted space design after reflecting climatic elements in simula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In reviewing temperature distribution of Heat Island Potential (HIP) of buildings and adjacent spaces, in case where green coverage ratio is increased, there was a $6^{\circ}C$ temperature difference and in regard to changes in the thermal environment in detached housing area, in case where rooftop planting, surface improvement, planting, and overall green coverage ratio is increased, there was a $10^{\circ}C$ temperature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difference in temperature in detached housing area following the changes in 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