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ABSORPTION

검색결과 637건 처리시간 0.028초

단일수치 평가방법에 따른 방음벽의 흡음성능 고찰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of Noise Barrier According to Single Number Rating Methods)

  • 김용희;이성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243-250
    • /
    • 2017
  • In this study, single number rating methods of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are discussed. After that the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of noise barriers which are classified by Korea Standard are analyzed according to several standards. The existing rating methods such as 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 SAA (sound absorption average) or ${\alpha}_w$ (weighted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from ASTM C423, KS F 3505 and ISO 11654 are introduced. The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of noise barrier is evaluated to compare NRC and ${\alpha}_w$ value. When the value is over 0.6 there are large variance between NRC and ${\alpha}_w$ value. As results, it is needed to unify single number rating methods of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for Korean standards on sound absorbing materials.

토양중 게르마늄 농도에 따른 벼의 생육 특성 및 게르마늄 흡수 (Growth Characteristics and Germanium Absorption of Rice Plant with Different Germanium Concentrations in Soil)

  • 이성태;이영한;최용조;이상대;이춘희;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0-44
    • /
    • 2005
  • 게르마늄의 약리효능이 알려짐에 따라 게르마늄이 강화된 기능성 농산물의 요구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게르마늄의 농업적 이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벼의 생육 및 게르마늄 흡수에 미치는 게르마늄처리 효과는 다음과 같다. 게르마늄을 0, 2.5, 5.0, 7.5 및 10.0 mg/kg으로 처리한 토양을 와그너포트에 넣어 벼를 재배한 결과, 게르마늄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게르마늄 독성의 증가로 초장, 수장, 수수 및 수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게르마늄 2.5 mg/kg 이상에서는 게르마늄 독성이 발생하였다. 게르마늄 처리농도가 증가 할수록 벼의 게르마늄 흡수량은 증가하였으나 벼의 게르마늄 이용률은 게르마늄 2.5, 5.0, 7.5 mg/kg 처리에서 각각 20.7, 12.5 및 7.5%로서 게르마늄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벼의 부위별 게르마늄 함량은 볏짚>왕겨>현미 순으로 높았다. 게르마늄 2.5 mg/kg 처리시 볏짚 왕겨 및 현미의 게르마늄 함량은 각각 103.4, 30.2 및 3.02 mg/kg 이었고, 볏짚과 왕겨에서는 게르마늄 무처리에서도 각각 2.9 및 3.9 mg/kg을 함유하고 있었다. 쌀의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게르마늄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Asx., Thr., Ser. 등 대부분 종류의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현미중 질소흡수량도 증가하였다.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 측정을 통한 흡습 진단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Absorption Diagnosis Method through Capacitance Measurement for Generator Stator Windings)

  • 김희수;배용채;기창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50-57
    • /
    • 2006
  • The water leak in water-cooled generator stator windings can generate the serious accidents such as insulation breakdown and it brings a generator to the unexpected sudden outage.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water absorption of them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power plant. Especially, the capacitance value which is measured for diagnosis is very small so the special diagnosis methods like stochastic theory are needed. KEPRI developed the water absorption test equipment and diagnosis technology for them. The developed diagnosis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real system and the results of water absorption test for stator windings are agreed to them of water leak test.

크로스 커패시턴스를 이용한 발전기 고정자 권선 절연물 흡습 측정 센서 (Water Absorption Sensor of Generator Stator Bar Insulation using Cross Capacitance)

  • 배용채;김희수;이두영;이욱륜;이래덕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10호
    • /
    • pp.1972-1977
    • /
    • 2011
  • The mechanical integrity of generator stator windings is one of the critical point because the electric power is generated and conducted to power system through these windings. To cool down the heat emitted from generator winding during its operation, a majority of generators use de-mineralized water characterized by high cooling efficiency. Contrary to such the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however, the damaged bar insulations attributed to the absorption of cooling water in the generator stator winding lead to highly time- and cost consuming efforts as well as to service deterioration due to unexpected forced outage of generator. It is described that the new design of water absorption sensor using cross capacitance for generator in power plant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water absorption diagnostics for generator stator bar insulation.

배양액중의 무기영양, 인산통도가 수도, 대맥의 철흡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neral Nutritions and Phosphorus Concentration in Culture Solution to the Ferrous Absorption of Rice and Barley)

  • 박경배;하호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20
    • /
    • 1978
  • 배양액중 무기영양, 인산농도가 수도, 대맥의 철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도는 영남조생, 대맥은 밀양 006를 공시하였다. 실험1은 각종무기영양(N, $P_2O_5$, K, Ca, Mg)이 결핍된 배양액에서, 시험 II는 철, 인산농도가 철은 0,50,100,200,300ppm, 인산은 0,50,100ppm의 배양액에 35일묘를 이용하여 15일간 처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 대맥의 철전이율은 무기영양중 가이, 인산결핍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대맥은 수도보다 높았다. 2. 수도, 대맥의 무기영양함량은 (p, K, Mg, Mn) 철저농도보다 철고농도에서 생육한 것이 감소되었다. 3. 수도, 대맥의 철함량은 배양액중 철농도가 높을수록 많았으며 특히 수도근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배양액중 인산농도가 증가될수록 철함량은 감소되었다. 4. 철과잉증은 배양액중 인산이 공존하지 않을 경우 수도는 100 ppm, 대맥은 50 ppm 철농도에서 나타났으며, 공존할 경우 수도는 300ppm, 대맥은 100ppm 철농도에 서 나타났다. 5. 수도는 배양액중 철농도와 철전이율과는 정의 유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대맥은 부의 회귀곡선이었다. 6. 이상의 결과로 철은 수도보다 대맥의 생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PDF

LED 식물공장에서 산란 유리 이용에 의한 상추(Lactuca Sativa L.)의 군락 광분포, 광합성 및 생장 향상 (Improvement of Canopy Light Distribution,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Lettuce (Lactuca Sativa L.) in Plant Factory Conditions by Using Filters to Diffuse Light from LEDs)

  • 강우현;장범;이준우;손정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84-93
    • /
    • 2016
  • 인공광 식물공장은 조명에 많은 전력이 소요되므로 광이용효율의 향상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의 LED 광원에 산란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광이용효율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실험에는 Haze factor 40%와 80%의 산란 유리가 적용된 두 가지 처리구와 산란 유리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를 두었다. 3-D 광선추적기법을 이용하여 상추 작물의 군락 광분포를 분석하였으며 군락 광합성률은 밀폐 아크릴 챔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처리구 별로 16주의 상추를 수경재배 방식으로 28일간 재배하여 생장량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작물의 상단부에 광량이 집중되었고 대조구에서 작물 상부에 광량 핫스팟이 발생하며 처리구에 비하여 광이용효율이 감소하였다. 총 광 흡수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효 광 흡수량은 처리구에서 더 높았고 산란광의 비율이 높은 처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작물의 군락 광합성률과 생장량은 산란 유리를 사용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산란 유리의 이용을 통해 상추의 군락 내 광분포가 개선되었고 군락 광합성률 및 생장량이 증가하여 식물공장의 광이용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습식 나노화 공정기술 적용 식물 영양제를 살포한 사과의 칼슘과 마그네슘 이동 및 흡수율 비교 (Comparison of the Migration and Absorption of Calcium and Magnesium in Apple Leaves Sprayed with Plant Nutrients Prepared by Wet Nano-grinding Technology)

  • 박재령;김은경;이승현;정일경;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69-77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습식 나노화 공정 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한 식물영양제를 이용하여 사과 잎에 흡수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의 이동 경로 및 흡수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습식 나노화 공정을 통해 불용성 칼슘과 마그네슘을 나노화 처리한 식물영양제의 성분 함량 및 이동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 영양제 살포 후 2주, 4주 및 8주 경과 후 잎자루, 잎몸, 옆면으로 구분하여 SEM, EDS 촬영을 통해 분석하였다. 잎자루는 식물 영양제 살포 후 4주차부터 증가하여 8주차에서는 1,115%까지 증가했으며, 사과 잎몸의 경우 2주차의 미살포구에 비해 살포 후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4주 이후부터는 증가하였으며, 4주차의 뒷면 증가율이 539%로 가장 높았다. 또한, 잎몸의 옆면은 미살포구에 비해 살포구 모두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4주차에 673%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살포구가 미살포구에 비해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점점 증가하여 나노화 식물영양제의 불용성 칼슘과 마그네슘 성분이 사과의 잎자루에서 잎몸까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 습식 나노 공정 기술을 통해 제조된 식물영양제를 활용하면 사과 이외의 다른 작물 에서도 칼슘과 마그네슘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식물영양제 이외에도 천연물이나 바이오산업에도 나노 공정 기술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Phytoremediation Potential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Mesta (Hibiscus sabdariffa L.), and Jute (Corchorus capsularis L.) in Arsenic-contaminated Soil

  • Uddin Nizam, M.;Wahid-U-Zzaman, M.;Mokhlesur Rahman, M.;Kim, Jang-Eok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1-120
    • /
    • 2016
  • BACKGROUND: Arsenic (As)-contaminated groundwater used for long-term irrigation ha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by adding As to soils. Phytoremediation potential of fiber crops viz., kenaf (Hibiscus cannabinus L.), mesta (Hibiscus sabdariffa L.), and jute (Corchorus capsularis L.) was studied to clean up As-contaminated soil.METHODS AND RESULTS: Varieties of three fiber crop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Seeds of kenaf, mesta, and jute varieties were germinated in As-contaminated soil. Uptake of As by shoo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y root in the contaminated soil. In As-contaminated soil, kenaf and mesta varieties accumulated more As, than did jute varieties. In the plant parts above ground, mainly the shoots, the highest As absorption was recorded in kenaf cv. HC-3, followed by kenaf cv. HC-95. Kenaf varieties produced more biomass. In terms of higher plant biomass production, and As absorption, kenaf varieties showed considerable potential to remediate As-contaminated soil.CONCLUSION: The overall As absorption and phytoremediation potentiality of plant varieties were in the order of kenaf cv. HC-3 > kenaf cv. HC-95 > mesta cv. Samu-93 > jute cv. CVE-3 > jute cv. BJC-7370. All varieties of kenaf, mesta, and jute could be considered for an appropriate green plant-based remediation technology in As-contaminated soil.

미나리(Oenanthe stolonifera DC.)를 이용한 Bentazon의 생물학적 분해 (Bioremediation Bentazon using Minari(Oenanthe stolonifera DC.) Plant.)

  • 신중두;이명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7-211
    • /
    • 1997
  • Bentazon의 잔류를 제거하기 위한 미나리의 생물학적 정화능력을 검정코자 $^{14}C-Bentazon$의 흡수(uptake)와 이행(translocation), 그리고 분해(metabolism) 실험을 통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잎에 처리한지 2일 후에 있어서 $^{14}C$의 21%가 처리된 잎에서 관측되었고, 66%는 잎 표면을 물로 세척한 곳에 잔류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13%는 epicuticular wax층에서 발견되었다. Bentazon을 처리한 잎으로부터 $^{14}C$의 79%가 검출되었으며, 뿌리에는 9%만이 검출되어 잎으로부터 뿌리로의 이행은 매우 적었다. 처리한 2일후에 $^{14}C$의 methanol 추출물 분석에서 잎에 처리된 제초제의 60% 이상이 모든 식물체 부위에서 분해되었다. 본 실험에서 발견된 주요 bentazon의 분해물(Metabolites)은 bentazon이나 6-hydroxy 혹은 8-hydroxy bentazon 보다 덜 이온화(Polar)된 알려지지 않은 신 물질(unknown compound)이었다.

  • PDF

Multi Axis DOAS를 이용한 대기미량 물질 원격 측정 (Remote Sensing of Atmospheric Trace Species using Multi Axis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 이철규;김영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1-151
    • /
    • 2006
  • 태양광을 광원으로 하고 천정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고도각을 이용하는 자외선/가시광선영역에서의 흡수분광학이 최근에 지상용 대기원격 측정에 개발되어오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지표부근에 존재하는 대기 미량 물질의 공간적 분포가 유추될 수 있다. 대기질 측정기술 중 하나인 MAX-DOAS (Multi-axis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기술은 광원으로서 태양산란광을 이용하고, 다양한 고도각에서 태양산란광을 기록하고 분석을 통하여 대기 중 미량 물질을 측정한다. 광주과학기술원 환경모니터링 신기술 연구센터에서 개발된 MAX-DOAS 시스템은 9004년 1월, 5월, 10월에 각각 도시대기, 화산플룸, 화력발전소 플룸의 측정에 적용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SO_2,\;NO_2,\;BrO,\;O_4$를 정량분석하기 위하여 기록된 MAX-DOAS 스펙트럼은 자외선/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고유 흡수스펙트럼을 이용한 DOAS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 되었다. 그 결과는 Slant Column Density (SCD)로 표현되었다. 플룸 측정의 경우에서는 플룸 속에 포함된 $NO_2,\;SO_2$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플룸의 진행방향과 수직적인 방향에서 MAX-DOAS 스캔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하여 얻은 단면적을 토대로 $SO_2,\;NO_2$ 농도가 계산되었다. 화산플룸에서 $SO_2$는 580ppbv, 화력발전소 플룸에서 $NO_2$는 337ppbv, $SO_2$는 227ppbv 로 계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