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2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24초

두 종류의 Precision Lingual Arch(PLA)로 구치부 교차교합 치료시 발생할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의 차이를 Calorific Machine으로 실험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 700TH MOVING EFFECTS OF TWO PRECIS10N LINGUAL ARCHS(PLA) FOR CORRECTION OF POSTER10R SCISSOR BITE BY THE CALORIFIC MACHINE)

  • 전윤식;노준;서문석;박인권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9-41
    • /
    • 1998
  • 교정치료란 동적인(dynamic)진료행위 임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교정장치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정적인(static)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왔다. 대부분의 교정의들은 동일한 치료목표를 위해 여러 종류의 장치가 제시될때 과연 어떠한 장치가 상대적으로 치료결과 및 치료기간 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가를 알고 싶어한다. 이에 본 저자들은 구치부 교차교합 해결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PLA중 Burstone식 PLA(single force응용)와 구치직립식 PLA(couple기전 응용) 간의 치아이동 기전과 치아이동 시간의 상대적 차이를 규명하고 얻어진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교실에서 개발, 제작한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실험한 후 정상치와 경사치의 이동양상과 치아이동시간을 계측하여 paired t-test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1. 구치직립식 PLA가 Burstone식 PLA 보다 경사치의 정출량과 치근의 수평이동량이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p=0.0000). 2. 구치직립식 PLA 사용시 정상치 (upright molar)의 치아이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3475) Burstone식 PLA는 미미한 양(0.2mm)이지만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001). 3. 경사치의 치아이동시간이 Burstone식 PLA의 경우 약 17.8분 정도 소요되었으나 구치직립식 PLA는 3.8분으로 나타났다(P=0.0001).

  • PDF

Phospholipid polymer can reduce cytotoxicity of poly (lactic acid) nanoparticles in a high-content screening assay

  • Kim, Hyung Il;Ishihara, Kazuhiko
    •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Bioengineering
    • /
    • 제1권2호
    • /
    • pp.95-10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poly (lactic acid) (PLA) nanoparticles. We used a water-soluble, amphiphilic phospholipid polymer, poly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co-n-butyl methacrylate) (PMB30W), as a stabilizer for the PLA nanoparticles. The PLA nanoparticles and PMB30W-modified PLA (PLA/PMB30W)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evaporating tetrahydrofuran (THF) from its aqueous solution. Precipitation of the polymers from the aqueous solution produced PLA and PLA/PMB30W nanoparticles with a size distribution of $0.4-0.5{\mu}m$. The partial coverage of PMB30W on the surface of the PLA/PMB30W nanoparticles was confirm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dynamic light-scattering (DLS). A high-content automated screening assay (240 random fields per group) revealed that the PLA nanoparticles induced apoptosis in a mouse macrophage-like cell line (apoptotic population: 73.9% in 0.8 mg PLA/mL), while the PLA/PMB30W nanoparticles remained relatively non-hazardous in vitro (apoptotic population: 13.8% in 0.8 mg PLA/mL). The reduction of the apoptotic population was attributed to the phosphorylcholine groups in the PMB30W bound to the surface of the nanoparticle. In conclusion, precipitation of PLA in THF aqueous solution enabled the preparation of PLA nanoparticles with similar shapes and size distribution but different surface characteristics. PMB30W was an effective stabilizer and surface modifier, which reduced the cytotoxicity of PLA nanoparticles by enabling their avoidance of the mononuclear phagocyte system.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에 미치는 PLA2 및 PAF와 영향 : In vitro에서의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 및 Apoptosis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Inhibition of PLA2 and PAF on the Neutrophilic Respiratory Burst and Apoptosis)

  • 이영만;김상경;박윤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6호
    • /
    • pp.887-897
    • /
    • 2000
  • 연구배경 : 급성호흡부전증후군(ARDS)의 병인론을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 및 apoptosis 의 관정에서 PLA2 및 PAF의 역할과 연관하여 알아보았다. ARDS의 원인 중 산소기의 역할이 주로 염증성 cytokine 및 지질분자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내독소에 의한 PLA2, PAF의 작용 및 이에 따른 호중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유착, 산소기에 의한 pulmonary surfactant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방법 : PMA로 자극된 호중구에서 PLA2 및 PAF의 억제에 따른 산소기 형성의 변화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으며 내독소에 의한 호중구에서의 PLA2활동도의 변화, lysoPAF remodelling에 미치는 PLA2 및 PAF의 억제의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또한 내독소 및 PMA에 의해 자극된 상태에서의 PLA2 및 PAF의 억제가 호중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았다. 호중구에 의한 조직의 손상은 혈관내피세포로의 호중구의 유착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작용에 PLA2 및 PAF가 미치는 영향을 호중구 유착검사를 통하여 알아보았고 형태학적으로는 산소기와 pulmonary surfactant의 결합을 확인하였다. 결론 : ARDS 시의 호중구의 역할은 PLA2 및 PAF의 작용에 의한 산소기 형성 및 염증성 지질분자의 생성을 통해 조작의 손상을 유발하는 듯하며 이때 PLA2의 억제는 호중구의 apoptosis의 증가 및 산소기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또한 호중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유착을 감소시켰다. PAF의 억제는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의 감소 및 호중구의 유착을 억제하여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Role and Action Mechanism of Secretory phospholipase $A_2$ in Macrophage Activation

  • Baek, Suk-Hwa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179-180
    • /
    • 2002
  • The phospholipase $A_2$($PLA_2$) family represents a diverse group of enzymes that hydrolyze sn-2 fatty acid from the cell membrane. Several mammalian cytosolic $PLA_2$ and secretory $PLA_2$(s$PLA_2$) have been characterized and classified into different families. At present, 12 distinct sPLA$_2$s have been identified in mammals and classified into different groups, depending on their primary structures as characterized by the number and position of cysteine residues. (omitted)

  • PDF

Mediation of Intracellular $Ca^{2+}$ in the Phospholipase $A_2-induced$ Cell Proliferation in Human Neuroblastoma Cells

  • Kim, Jung-Ae;Lee, Yong-S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4호
    • /
    • pp.411-417
    • /
    • 1998
  • The role of phospholipase ($A_2\;PLA_2$) in tumor cell growth was investigated using SK-N-MC human neuroblastoma cells. 4-Bromophenacyl bromide (BPB) and mepacrine (Mep), known $PLA_2$ inhibitors, suppressed growth of the tumor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a significant cytotoxicity. Melittin (Mel), a $PLA_2$ activator, enhanced the cell grow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fashion. The growth-enhancing effects of Mel were significantly reversed by the co-treatment with $PLA_2$ inhibitors. In addition, Mel induced intracellular $Ca^{2+}$ release from internal stores like as did serum, a known intracellular $Ca^{2+}$ agonist in the tumor cells. Intracellular $Ca^{2+}$ release induced by these agonists was significantly blocked by $PLA_2$ inhibitors at growth-inhibitory concentrations. Arachidonic acid (AA), a product of the $PLA_2-catalyzed$ reaction, induced cell growth enhancement and intracellular $Ca^{2+}$ release. These effects of AA were significantly blocked by BAPTA/AM, an intracellular $Ca^{2+}$ chelato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dulation of $PLA_2$ activity may be one of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cell growth in human neuroblastoma cells. Intracellular $Ca^{2+}$ may act as a key mediator in the $PLA_2-induced$ growth regulation.

  • PDF

APP 핵제를 첨가한 PLA 필름의 등온결정화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Isothermal Crystallization Characteristics of PLA Film by Adding APP as a Nucleation Agent)

  • 김규선;김문선;김병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582-58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ammonium phosphate (APP)를 핵제로 사용한 PLA 필름에 대한 결정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PLA 필름의 결정화도와 결정크기는 Scherrer 식을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결정화속도 상수는 Avrami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시료는 2단계 과정을 거쳐 제조되었다. 먼저 APP를 1, 5, 10 wt% 첨가한 필름을 각각 제조하고 130, 140, $150^{\circ}C$에서 어닐링시켜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순수한 PLA 필름의 결정화도는 평균 4.6%였으며 APP를 1, 5, 10 wt% 첨가한 필름의 평균 결정화도는 각각 12.2, 47.7, 50.0%였다. 순수한 PLA 필름의 평균 결정크기는 28.0 nm였으며 APP를 1, 5, 10 wt% 첨가한 필름의 평균 결정크기는 26.8, 24.0, 19.0 nm였다. APP를 1 wt% 첨가한 PLA 필름의 130, 140, $150^{\circ}C$ 어닐링 온도별 결정화속도 상수는 각각 2.12, 3.86, 0.27로, $140^{\circ}C$에서 어닐링시킨 PLA 필름의 결정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순수한 필름, 5, 10 wt% 첨가한 필름보다 높았다.

Arachidonic Acid Mediates Apoptosis Induced by N-Ethylmaleimide in HepG2 Human Hepatoblastoma Cells

  • Lee, Yong-S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4호
    • /
    • pp.379-387
    • /
    • 2009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N-ethylmaleimide (NEM) induces apoptosis through activation of $K^+$, $Cl^-$-cotransport (KCC) in HepG2 human hepatoblastoma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role of phospholipase $A_2$ ($PLA_2$)-arachidonic acid (AA) signals in the mechanism of the NEM-induced apoptosis. In these experiments we used arachidonyl trifluoromethylketone ($AACOCF_3$), bromoenol lactone (BEL) and p-bromophenacyl bromide (BPB) as inhibitors of the calcium-dependent cytosolic $PLA_2$ ($cPLA_2$), the calcium-independent $PLA_2$ ($iPLA_2$) and the secretory $PLA_2$ ($sPLA_2$), respectively. BE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NEM-induced apoptosis, whereas $AACOCF_3$ and BPB did not. NEM increased AA lib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ch was markedly prevented only by BEL. In addition AA by itself induced $K^+$ efflux, a hallmark of KCC activation, which was comparable to that of NEM. The NEM-induced apoptosis was not significantly altered by treatment with indomethacin (Indo) and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 selective inhibitors of cyclooxygenase (COX) and lipoxygenase (LOX), respectively. Treatment with AA or 5,8,11,14-eicosatetraynoic acid (ETYA), a non-metabolizable analogue of AA, significantly induced apoptosi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A liberated through activation of $iPLA_2$ may mediate the NEMinduced apoptosis in HepG2 cells.

생분해성 플라스틱 식생매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Plastic Vegetation Mats)

  • 박진오;김하석;이세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12-1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산업분야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LA(Poly Lactic Acid)를 사용하여 개발된 식생매트의 생분해기간에 따른 인장성능을 비교하였다. 시험방법은 한국산업표준(KS)에서 정한 방법을 준용하였다. 단일소재로 제작된 PLA 매쉬 및 PLA 플라스틱으로 실험한 두꼐, 인장강도 및 분자량은 5개월 생분해 기간에 반비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LA 매쉬의 두께는 11.2%~13.4% 수준까지 두께가 증가하였으며 PLA 매쉬의 인장강도는 32.4%~55.4% 수준까지 감소하였다. PLA 플라스틱의 인장강도 및 분자량도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PLA 매쉬, 부직포(씨앗포함) 및 황마네트로 혼합 구성된 식생매트의 인장시험결과는 특정한 경향성을 보이지 못하였다.

Phosphatidylcholine의 분해에 의한 Hela 세포와 Gelatin 기질과의 상호작용의 유도 (Hydrolysis of Phosphatidyicholine to Initiate HeLa Cell Adhesion to a Gelatin Substratum)

  • 전장수;이영섭;하만준;김찬길;강신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7-464
    • /
    • 1995
  • 인간의 상피세포로부터 유래된 암세포의 일종인 HeLa 세포는 거의 모든 기질분자에 부착하지만 spreading은 오직 collagen 혹은 gelatin에서만 일어난다. HeLa 세포의 spreading은 오직 collagen 결과 활성화된 phosphoipase $A_2$(PLA$_2$)에 의한 arachidonic acid(AA)의 형성으로 유도된다. PLA$_2$에 의해 분해되는 인지질을 확인하기 위해 각종 인지질의 농도변화를 spreading 과정에서 측정한 결과 단지 phosphatidylcoline 만이 감소하였으며, 또한 다양한 lysophospholipids 중 lysophosphatidylcholine 만이 spreading 과정에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phosphatidylcoline이 PLA$_2$에 의해 분해되어 AA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PLA$_2$의 활성화는 세포질 CA$_2$+의 농도변화 및 세포질 pH의 알칼리화에 기인하지 않으며, 또한 pertussis 혹은 cholera toxin-sensitive G protein 역시 PLA$_2$활성화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폴리락타이드, D-폴리락타이드의 활성과 입체복합체 폴리락타이드의 제조 및 특성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L-lactide)(L-PLA), Poly(D-lactide)(D-PLA) and Stereocomplex-poly(lactide)(PLA))

  • 김지현;제갈종건;송봉근;신채호
    • 폴리머
    • /
    • 제35권1호
    • /
    • pp.52-5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L-lactide, D-lactide를 단량체로 하여 tin 2-octoate, lauryl alcohol을 각각 촉매와 개시제로 사용하여 촉매량(0.5~1.0 wt%)과 개시제의 양(0.5~0.1 wt%)을 달리하여 $140^{\circ}C$에서 lactide의 고리개환중합으로 고분자량의 L-PLA와 D-PL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LA는 $M_n$ : 30000~90000 g/mol의 다양한 분자량이 나타났으며 합성된 L-PLA와 D-PLA를 이용해 조성비를 다르게 하여 stereocomplex-PTA를 제조하였다. Stereocomplex-PLA의 용융점, 열분해온도, 열적 안정성은 단열고분자 L-PLA, D-PLA보다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이성질체 L-PLA, D-PLA 분자간 인력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예상한 수 있었고 XRD를 통해 모폴로지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단일고분자와 stereocomplex-PLA는 상이하게 변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계적 강도를 측정하여 L-PLA, D-PLA보다 stereocomplex-PLA의 최대응력과 변형률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