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C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7초

영지 버섯의 유리 아미노산 및 유도체에 관한 연구 (Free Amino Acids and Their Derivatives of Ganoderma lucidum)

  • 이현아;김병각;현진원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7-72
    • /
    • 2004
  • To find active components in Ganoderma lucidum, their free amino acid and free amino acid derivatives were analyzed. After extracting with hot water, the extracts were filtrated by three steps. So, supernatants below 10,000 dalton were obtained. Filtrates were derivativated with PITC (phenylthiocarbamyl) derivative reagent and PITC amino acid was obtained. Then, they were analyzed by RP-HPLC. 13 amino acids were analyzed in cultured Korean Nok-kak ji (one of Ganoderma lucidum), 15 amino acids in cultured Korean Ganoderma lucidum, 12 amino acids wild Ganoderma lucidum, 16 amino acids in cultured Taiwan Ganoderma lucidum.

  • PDF

돼지 난자에 있어서 제1극체 형성을 억제하는 난포액 성분

  • 오현주;이은주;양병철;장원경;박영식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12-12
    • /
    • 2002
  • 난포액은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나, 억제성분의 화학적 성질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자의 성축과 관련하여 제l극체의 형성을 억제하는 단백성 성분을 화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난포액 함유 난자성숙 억제 인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난포액을 methanol로 추출한 다음 Superose 12 및 Superdex column 을 이 용하여 gel filtration 을 실시하였다. 회수한 Superdex 분절을 PITC로 처리한 다음, Amino Acid Analysis column을 이용, 억제 인자를 동정하였다. (중략)

  • PDF

Effect of Proline on First Polar Body Formation in Porcine Primary Oocyte

  • Oh, H. J.;Lee, E. J.;B. C. Yang;W. K. Chang;Kim, J. S.;J. K. Lim;Y. K. Yeo;M. A. Della-Fera;Park, Y. S.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5-171
    • /
    • 2002
  • 난포액에는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는 인자를 함유하고 있으나 화학적 성질이 정확히 알려져 있지않다. 본 연구에서는 1차 난모세포에서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는 난포액 성분을 화학적으로 동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돼지 난포액을 methanol로 추출한 다음이 추출물을 Superose 12 및 Superdex column을 이용 연속적으로 분리하였으며, Superdex 분절은 PITC로 처리한 다음 아미노산 분석용 column을 이용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포액은 1차 난모세포에서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난포액에서 추출 분리한 Superdex분절 RV2.11 역시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분절 RV2.11은 proline으로 추정되며, proline은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난포액에는 난구세포의 해리와 제1극체의 형성을 억제하는 성분인 proline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는 성분일 것으로 추정된다.

LHRH 및 그 analogue인 〔D-Ala$^{6}$ LHRH의 효소적 분해산물의 확인 및 정량

  • 이미정;박정숙;한건;문동철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99-299
    • /
    • 1994
  • 펩타이드 약물의 일종인 LHRH 및 그의 analogue인 〔D-Ala$^{6}$)LHRH의 경점막 수송경로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들 약물을 점막 균질액과 배양시 점막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저자등은 LHRH 및 〔D-Ala$^{6}$〕 LHRH의 점막 균질액 중에서의 분해산물을 HPLC에 의해 정량하였다. 또한 PITC법에 따라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분해산물의 아미노산 조성을 밝히고 아울러 분해위치를 규명하였다. 즉 LHRH또는 〔D-Ala$^{6}$〕 LHRH를 직장, 비강 및 질점막과 일정시간 배양 후 시료를 HPLC에 주입하여 각 분해산물의 peak time에 용리액을 분획 수집하였다. 이것을 6N-HCl로 가수분해하여 유리아미노산으로 만들고 phenylisothiocyanate 유도체화 하여 PTC 아미노산으로 한후 아미노산 분석용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정량 하였다.

  • PDF

효모단백질내의 셀레늄 분포 및특정단백질내의 셀레노메티오닌 분석 (The Distribution of Selenium in Proteins of Saccaromyces Cerevisia and Analysis of Selenomethionine in Specific Protein)

  • 심희영;안상욱;안용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3-369
    • /
    • 2003
  • 효모를 최적 배양조건에서 키운후 $1.14{\times}10_-3 M$의 셀레늄을 배양액에 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효모를 얻는다. 효모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약 $0.1{\%}$(w/w)이상의 셀레늄을 함유하는 고농도의 셀레늄-효모를 얻었고 세포벽에 부착된 무기셀레늄은 세척후 MBRT과정으로 확인하였다. MBRT에서 15분 이상 푸른색이 지속되는 결과로 무기이온의 세포벽 흡착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셀레늄이 함유된 효모를 초음파로 분해한 후 $80{\%}(NH_4)_2SO_4$ 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부분 정제하였고 ICP-AES로 측정된 효모내의 셀레늄 농도와 비교하였을 때 약 $60.6{\%}$의 셀레늄이 단백질 내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전기이동으로 단백질을 분리하여 확인한 결과 많은 양이 발현된 단백질 띠에서는 상대적으로 셀레늄의 농도가 높았다. 그중 47 kDa 단백질의 경우 69.5 ${\mu}$g Se/g의 농도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 단백질을 PVDF 막에 electroblotting하여 분리하였고 이를 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아미노산들을 PITC와 반응시켜 유도체를 얻었다. 아미노산유도체들을 HPLC로 분리 확인한 결과 셀레노메티오닌의 상대적인 비율이 총아미노산의 $2{\%}$로 얻어졌다. 이러한 셀레늄은 단백질과 킬레이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이 셀레늄의 유기체인 셀레노메티오닌으로 효모 내에서 생합성 된다고 볼 수 있다.

톨루엔 흡입이 뇌내 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 Contents in Rat Brain by Toluene Inhalation)

  • 이선희;신대섭;김부영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1호
    • /
    • pp.91-96
    • /
    • 1995
  • The effects of toluene inhalation on the contents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s in rat brain were investigated and blood toluene concentrations inducing changes of behavior and amino acid neurotransmitter contents in rat brain were observed. Male wistar rats were exposed to toluene vapor (single dose : 1700, 5000 and 10000 ppm for 2 hrs, repeated dose : 1700 and 5000 ppm for 2 hrs/day$\times$6 days). Toluene concentrations in blood and the inhalation chamber were assayed by GC with headspace sampler. HPLC method following PITC derivatization was used to measure the amino acid contents in brain tissues such as frontal cortex, caudate, hippocampus, cerebellum and brain stem.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levels were increased by single inhalation of toluene (5000 ppm) in all the brain areas assayed in this experiment. In caudate and cerebellum, taurine levels were decreased by single inhalation of low dose toluene (1700 ppm), but increased by repeated administration. At high blood toluene concentration, GABA levels were increased in all the brain areas assayed in this experiment and the increasing extents of inhibitory amino acid contents measured in caudate and hippocampus were greater than those of excitatory amino aci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s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 contents in brain by exposure to toluene may modulate toluene-induced behaviors.

  • PDF

황체호르몬 유리호르몬(LHRH)의 경점막 수송: 토끼 점막균질액 중에서 $[D-Ala^6]$ LHRH의 효소적 분해 특성 및 중쇄지방산염의 안정화 효과 (Transmucosal Delivery of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LHRH): Enzymatic Proteolysis of $[D-Ala^6]$ LHRH and Inhibitory Effect of Medium Chain Fatty Acid Salts in Rabbit Mucosa)

  • 박정숙;정연복;한건
    • 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2-210
    • /
    • 1994
  •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mucosal delivery of $[D-Ala^6]$ LHRH, a potent analogue of LHRH, enzymatic proteolysis of $[D-Ala^6]$ LHRH and inhibitory effect of medium chain fatty acid salts(MFA) were studied using rabbit mucosal homogenate. $[D-Ala^6]$ LHRH incubated in homogenates of rectal(RE), nasal(NA) and vaginal(VA) mucosa were assayed by HPLC. The degradation of $[D-Ala^6]$ LHRH followed the first order kinetics. The degradation products were found as $[D-Ala^6]$ $LHRH^{1-7}$(m-i), to a lesser extent, $[D-Ala^6]$ $LHRH^{1-9}$(m-ii) and $[D-Ala^6]$ $LHRH^{1-3}$(m-iii) by the method of amino acid analysis(PITC method). The formation of$[D-Ala^6]$ $LHRH^{1-7}$ was not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but inhibited by sodium tauro-24,25-dihydrofusidate, suggesting that endopeptidase 24.11(EP 24.11) cleaves the $Leu^7-Arg^8$ bond of $[D-Ala^6]$ LHRH and is the primary $[D-Ala^6]$ LHRH degrading enzyme. The patterns of $[D-Ala^6]$ LHRH degradation indicated that EP 24.11 exists in each mucosal homogenate with the order of RE>NA>VA. MF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teolysis of $[D-Ala^6]$ LHRH. The addition of sodium caprate(1.0%) or sodium laurate(0.5%) to the each mucosal homogenate completely protected $[D-Ala^6]$ LHRH from the degradation.

  • PDF

십자화과 채소 유래 isothiocyanates의 넙치 어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isothiocyanates from cruciferous vegetable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in olive flounder)

  • 고미옥;고정연;김미보;임상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86-892
    • /
    • 2015
  • 십자화과 채소의 주요 성분인 10종의 isothiocyanates(ITCs)와 무 가수분해물을 대상으로 6개의 넙치 어병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ITCs의 화학적 구조와 항균성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항균활성은 sulforaphane, sulforaphene, PEITC, erucin, BITC, iberin, I3C가 높았으며, AITC, PITC, HITC는 낮았다. 어병 세균별로 ITCs에 대한 민감성은V. harveyi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E. tarda, P. damselae, S. parauberis, S. iniae, V. ichthyoenteri 순으로, 그람음성균이 그람양성균에 비하여 민감성이 높았다. 무가수분해물의 최소저해농도(MIC)는 S. iniae에 대해서 0.250 mg/mL(raphasatin의 농도)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S. parauberis는 0.438 mg/mL, E. tarda와 V. harveyi는 0.500 mg/mL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ITCs의 화학구조에 따른 어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aliphatic ITCs 중에서는 sulforaphene, sulforaphane, erucin, iberin의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benzene ring을 함유하고 있는 aromatic ITCs 중에서는 PEITC과 BITC이 가장 항균활성이 높았다. 이중결합이 없는 sulforaphane은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sulforaphene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대부분의 균주에 대해서 높았다. Thiol group을 가지고 있는 erucin은 sulfinyl group을 가지고 있는 sulforaphane에 비하여 일부균주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탄소사슬의 길이가 긴 PEITC는 탄소사슬의 길이가 짧은 BITC에 비하여 4가지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십자화과 유래 ITCs는 넙치 어병 항균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종동맥판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성 평가에 관한 연구 (Flow Cytometric Analysis of Endothelial Cell Viability in Arterial Allograft)

  • 임창영;홍은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53-558
    • /
    • 1997
  • 동종동맥판은 심장판막질환, 선천성 심기형 및 대동맥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판막도관으로 사용 되고 있다. 이 때 동종동맥 판의 장기성적을 좌우하는데 있어서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성이 중요한 역활을 할 것이다.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보존방법으로 보존처리된 성돈의 대동맥판 및 대동맥 벽을 collagenase로 분해시켜서 순수한 내퍼세포군을 획득한 뒤, 혈관내피세포에 특이한 친화성을 갖는 GSA-FTTC(Criffonia simplicifolia agglutininfluorescein isothiocyanate)와 반응시켰다. 이 내피세포군을 세척한 다음, 살아있는 세포에는 침착되지 않는 Pl(Ropidium iodide)와 반응시켰다. 이렇게 처리된 내피세포군을 Row Cytometry 로 분석하여 GSA-FTIC(+), Pl(-) 인 세포를 생육성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동종동맥판은 $4^{\circ}C의$ 멸균용액에 24시간 담궈 멸균처리를 한 후, 2개군으로 나누어 (1군)은 $4^{\circ}C$ RPM 1640 with HEPES buffer cultlue medium with 10% fetal bovine uTm 용액에 1~14일간 보존하였고 (2군)은 냉동보존을 하였다. 조직의 획득과정과 멸균과정에서 각각 22.8%와 24.4%의 생육성이 소\ulcorner되었다. (1군) 에서는 14일의 보존기간 동안 11.9%의 생육성감소가 일어났고 (2군) 에서는 13.7%의 생육성감소가 일어났다. 이 실험의 결과로 동종동맥 판의 보존처리과정 초기에 대부분의 생육성소실이 일어나며, 14일간의 냉장보존이나 냉동보존 후에도 약 40%의 생육성이 보존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혈관내피세포가 판막에서 얻어진 경우나 동맥벽에서 얻어진 경우에서 생육성의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