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SA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8초

PISA 2003 수학 문항 정답률 분석 (Analysis of the Korean Students' Responses on Mathematics Items in PISA 2003)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221-235
    • /
    • 2005
  • 이 글에서는 PISA 2003(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03)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이 낮은 정답률을 나타낸 문항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기로 한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국내 정답률이 국제 평균 정답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문항들과 국내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문항들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평가(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적 소양 수준 분석 (A Mathematical Literacy Profile of Korean Students in PISA)

  • 박경미;최승현;노국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91-311
    • /
    • 2002
  • The PISA(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supervised by OECD, is aimed at producing reliable and internationally comparab1e indicators of students' literacy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In mathematical literacy, Korean students ranked the 2nd out of the 32 participating countries in PISA. This result is very encouraging in the sense that the scores in the mathematical literacy is the forecasting indicator for the mathematical level of future citizens who are supposed to lead their countries in every fields. In contrast to the high performance in mathematics, Korean students possess extremely low level of interest in mathematics. On the other hand, Korea's highest top 5% students are not on a par with the best students in New Zealand, Japan, Swiss, Australia, and England. This finding urges Korean education to put serious efforts to pursue academic excellence. Overall, PISA results suggest that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effective and efficient. Korean education system should set goals to meet the world standard and the challenges of the lifelong teaming society.

  • PDF

PISA 2009에서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 및 독서방법과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ibrary Use Factor on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Factors of PISA 2009)

  • 박주현;사공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69-191
    • /
    • 2014
  • 이 연구는 OECD PISA 2009 원자료를 활용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영향력과 책무성을 확인하고 공교육의 내실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PISA 2009에 참여한 우리나라 만 15세 4,989명의 설문자료와 읽기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와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방문은 독서태도,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으며, 독서태도는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독서방법은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인과관계에 집단을 적용한 결과, 일부 개별 경로에서 집단이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PISA 문항을 활용한 예비 수학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Assessment Literacy Using PISA Items)

  • 이민희;임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57-175
    • /
    • 2015
  • 교사는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평가방법을 선택하고, 평가의도에 따라 적절한 평가문항을 개발하며, 학생들의 응답을 평가의도에 따라 해석할 수 있는 평가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수학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의 수학적 지식과 사고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전문성을 가져야 하는데, PISA의 삼차원 평가틀과 문항은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34시간 동안 이루어진 강의에서 예비 수학교사에게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과 수학적 과정, PISA 2012 평가틀의 맥락을 축으로 갖는 평가틀을 제시하고, 이 평가틀을 토대로 1, 2차에 걸쳐 문항을 개발하도록 하였다. 개발 문항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수학적 과정과 맥락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하고, 상세한 채점 기준을 개발하는 평가 전문성이 신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학생의 PISA ICT 능력 비교 연구 -2009년과 2012년 (A Study on ICT Competences of Korean Students Focus on PISA 2009 and 2012)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33-242
    • /
    • 2015
  •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학생들의 ICT 능력이 꼭 필요한 도구이다. 그래서 OECD PISA에서 학생들의 ICT 능력을 3년 주기로 조사하여 국가별로 비교하고 있다. 그 결과를 학교 교육에 반영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과 2012년 PISA ICT 통계자료를 분석한다. 분석 항목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이 가정에서 또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ICT 도구들을 이용할 수 있는 것과 학교에서 ICT 도구들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이다. 분석 도구는 평균값의 비율을 비교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는 2008년에는 학교에서 ICT 접근성은 5개 항목이 5개의 그룹별로 골고루 있었지만 2012년에는 5개의 항목 모두 매우 낮은 그룹이다. ICT 도구를 수업 등에 활용하는 것은 2009년도에 8개의 항목 중 한 개를 제외하고 최하위 그룹이었고 2012년도에는 8개 항목 모두 최하위 그룹이다. 우리나라는 2009년보다 2012년에 ICT 지표가 매우 떨어졌다.

Factors of Korean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 Shin, Dong-Hee;Ro, Koog-Hya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93-905
    • /
    • 2001
  • Korean students ranked the 3rd out of 32 participating countries in the first cycle of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science field, which assessed 15-years-old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PISA developed several variables such a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family wealth, and cultural possess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on scientific literacy. On the other hand,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science study were not given much attention, partly because science was the minor area in the first cycle of PISA. Therefore, PISA Korea developed a series of variables to collect data on students' learning motives and out-of-school activities in science as a national op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Korea was found to be one of the PISA participating countries with the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least influenced by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family wealth, and parents' cultural possession. Second, the degree of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similar to the overall tendency of PISA. Third, the most crucial learning motive for Korean students was their desire to develop scientific thinking abilities or obtain science knowledge. On the other hand, choosing jobs in the field of science or parental expectation was the least important learning motive. In particular, the motive for scientific lear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Therefore, the higher the students achievement, the stronger the motive for scientific learning in order to develop their ability to think scientifically or acquire science knowledge. Fourth, Korean students were shown to participate very little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other than watching TV programs related to science. Whatever the activities may be, the more actively involved students are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the higher their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Fifth, Korean girls were rather passive compared to boys in all areas, including science learning motive and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The gender difference was especially more pronounced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with wider gaps in such activities as reading scientific books or articles and visiting science-related web sites.

  • PDF

영역기반 윤곽선 기법과 표면 분할 유동모델에 기반한 근위 등속 표면적 기법을 이용한 혈류량 추정 (Blood Flow Rate Estimation using Proximal Isovelocity Surface Area Technique Based on Region-Based Contour Scheme and Surface Subdivision Flow Model)

  • 진경찬;조진호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38권1호
    • /
    • pp.45-52
    • /
    • 2001
  • PISA 방법은 주로 승모판에서 역류하는 혈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PISA isotach의 기하학적 모양에 대한 모델링에 관한 것이다. PISA의 일반적인 유동모델은 isotach의 표면이 수식적으로 반구이거나 비반구임을 가정하여 계산된 것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영역기반방법으로 isotach를 추정한 후, 타원체의 높이에 기초한 실제적인 표면분할 유동모델을 이용하여 유체량을 추정하였다. 제안한 밥법을 평가하기 위해, $30cm^3/sec-60\;cm^3/sec$의 실제 유량을 가지는 동적인 180개의 유동영상에 대해서 기존 방법들과 비교하였다. 실험한 결과, 반구 유동모델의 유체량 평균이 $29\;cm^3/sec$로 실제 유체량 평균보다 35%정도 적게 추정을 하였고, 제안한 방법의 평균은 $45\;cm^3/sec$으로 비반구 유동모델의 평균과 같았고, 유체량 변화파형도 유사한 결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심층 분석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387-401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에 이루어진 대표적인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인 PISA와 TIMSS-R의 성취도를 표준화하여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를 비롯한 영어권 국가들이 각각 유사한 성취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다 체계화하기 위해 PISA의 결과를 문항반응이론에 의해 분석하여 국가별, 문항별 난이도를 조사하였다.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하여 각 국가의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어렵고 쉬운 문항을 판별한 결과, 30개 중 16개의 문항에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가 각각 동일한 성취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취 경향의 유사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가 각각 강세를 보인 문항들을 추출하여 그 공통점을 탐색하였다. 미국과 호주의 학생들은 열린 구성반응형 문항을 해결하는데 상대적으로 능숙하고, 한국과 일본의 학생들은 함수와 통계 영역의 문항에서 성취 수준이 높지 않으며, 형식화된 수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문항일수록 한국과 일본 학생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ISA 검사 결과에서 드러난 만15세 한국 학생들의 온실효과에 대한 대안적 개념 (Korean Fifteen-Year-Olds' Alternative Conceptions on the Greenhouse Effect Revealed in PISA Test Result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68-67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PISA 검사결과를 토대로 온실효과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만 15세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전형적인 학생개념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온실효과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학생들의 대안적인 개념에 비추어 볼 때, 현재 우리나라의 만15세 학생들의 온실효과에 대한 이해 수준을 온실효과의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온실 효과를 초래한 원인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산화탄소 이외에 지구의 온도 상승에 기여하는 요인들 우리나라 학생들은 프레온 가스, 매연, 수증기, 메탄 등을 지적하였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온실효과와 오존층 파괴가 인과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과 교수 학습에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