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GC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8초

Salicylate가 성체줄기세포의 골분화에 미치는 영향 (Salicylate Can Enhance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Periosteum-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김보규;이아람;이보영;심성보;문동규;황선철;변준호;우동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55-1460
    • /
    • 2018
  • 최근 들어 급속한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골관절염과 골다공증 등의 퇴행성 골질환 환자수도 동반하여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고령화에 따른 골관련 질환의 새로운 제어와 치료법 개발을 위해 성체줄기세포의 골세포 분화유도를 활용한 재생의학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또한 관련 연구에서 줄기세포의 분화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인산화가 중요하다고 알려지고 있다. 흥미롭게도 최근 연구에서 아스피린의 주성분인 salicylate가 동물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성체줄기세포에서 salicylate가 골세포분화나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을 유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골막 유래의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하여 골세포분화나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에 대한 salicylate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골막 유래 성체줄기세포의 골세포 분화유도 과정에 동반한 salicylate 처리는 잘 알려진 골세포분화 표지자인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본 연구에서 얻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alicylate가 줄기세포로부터 골세포로의 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골세포 분화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 생합성도 salicylate 처리에 의해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이나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이 성체줄기세포의 골세포 분화과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이 골세포분화나 재생의학의 새로운 조절 물질로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Effects of maternal undernutrition during late pregnancy on the regulatory factors involved in growth and development in ovine fetal perirenal brown adipose tissue

  • Yang, Huan;Ma, Chi;Zi, Yang;Zhang, Min;Liu, Yingchun;Wu, Kaifeng;Gao, Fe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7호
    • /
    • pp.1010-1020
    • /
    • 2022
  • Objectiv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ternal undernutrition during late pregnancy on the expressions of genes involved in growth and development in ovine fetal perirenal brown adipose tissue (BAT). Methods: Eighteen ewes with singleton fetuses were allocated to three groups at day 90 of pregnancy: restricted group 1 (RG1, 0.33 MJ metabolisable energy [ME]/kg body weight [BW]0.75/d, n = 6), restricted group 2 (RG2, 0.18 MJ ME/kg BW0.75/d, n = 6), and a control group (CG, ad libitum, 0.67 MJ ME/kg BW0.75/d, n = 6). The fetuses were removed at day 140 of pregnancy. Al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analysis of variance procedure. Results: The perirenal fat weight (p = 0.0077) and perirenal fat growth rate (p = 0.0074) were reduced in RG2 compared to CG. In fetal perirenal BAT, the protein level of uncoupling protein 1 (UCP1) (p = 0.0001) was lower in RG1 and RG2 compared with CG and UCP1 mRNA expression (p = 0.0265) was decreased in RG2. The protein level of myogenic factor 5 (Myf5) was also decreased in RG2 (p = 0.0001). In addition, mRNA expressions of CyclinA (p = 0.0109), CyclinB (p = 0.0019), CyclinD (p = 0.0015), cyclin-dependent kinase 1 (CDK1) (p = 0.0001), E2F transcription factor 1 (E2F1) (p = 0.0323), E2F4 (p = 0.0101), and E2F5 (p = 0.0018) were lower in RG1 and RG2. There were decreased protein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 (p = 0.0043) and mRNA expression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α (C/EBPα) (p = 0.0307) in RG2 and decreased PPARγ mRNA expression (p = 0.0008) and C/EBPα protein expression (p = 0.0015) in both RG2 and RG1. Furthermore, mRNA expression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BMP4) (p = 0.0083) and BMP7 (p = 0.0330) decreased in RG2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co-activator-1α (PGC-1α) reduced in RG2 and RG1. Conclusion: Our observations support that repression of regulatory factors promoting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results in the inhibition of BAT maturation in fetal perirenal fat during late pregnancy with maternal undernutrition.

Betulin Targets Lipin1/2-Meidated P2X7 Receptor as a Therapeutic Approach to Attenuate Lipid Accumulation and Metaflammation

  • Dou, Jia-Yi;Jiang, Yu-Chen;Hu, Zhong-He;Yao, Kun-Chen;Yuan, Ming-Hui;Bao, Xiao-Xue;Zhou, Mei-Jie;Liu, Yue;Li, Zhao-Xu;Lian, Li-Hua;Nan, Ji-Xing;Wu, Yan-Li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0권3호
    • /
    • pp.246-256
    • /
    • 2022
  •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potential mechanism of betulin (BT), a pentacyclic triterpenoid isolated from the bark of white birch (Betula pubescens), against chronic alcohol-induced lipid accumulation and metaflammation. AML-12 and RAW 264.7 cells were administered ethanol (EtOH), lipopolysaccharide (LPS) or BT. Male C57BL/6 mice were fed Lieber-DeCarli liquid diets containing 5% EtOH for 4 weeks, followed by single EtOH gavage on the last day and simultaneous treatment with BT (20 or 50 mg/kg) by oral gavage once per day. In vitro, MTT showed that 0-25 mM EtOH and 0-25 µM BT had no toxic effect on AML-12 cells. BT could regulate sterolregulatory-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lipin1/2, P2X7 receptor (P2X7r) and NOD-like receptor family, pyrin domains-containing protein 3 (NLRP3) expressions again EtOH-stimulation. Oil Red O staining also indicated that BT significantly reduced lipid accumulation in EtOH-stimulated AML-12 cells. Lipin1/2 deficiency indicated that BT might mediate lipin1/2 to regulate SREBP1 and P2X7r expression and further alleviate lipid accumulation and inflammation. In vivo, BT significantly alleviated histopathological changes, reduce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triglyceride (TG) levels, and regulated lipin1/2, SREBP1,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α/γ (PPARα/γ) and PGC-1α expression compared with the EtOH group. BT reduced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factors and blocked the P2X7r-NLRP3 signaling pathway. Collectively, BT attenuated lipid accumulation and metaflammation by regulating the lipin1/2-mediated P2X7r signaling pathway.

The Philippines Coconut Genomics Initiatives: Updates and Opportunities for Capacity Building and Genomics Research Collaboration

  • Hayde Flandez-Galvez;Darlon V. Lantican;Anand Noel C. Manohar;Maria Luz J. Sison;Roanne R. Gardoce;Barbara L. Caoili;Alma O. Canama-Salinas;Melvin P. Dancel;Romnick A. Latina;Cris Q. Cortaga;Don Serville R. Reynoso;Michelle S. Guerrero;Susan M. Rivera;Ernesto E. Emmanuel;Cristeta Cueto;Consorcia E. Reano;Ramon L. Rivera;Don Emanuel M. Cardona;Edward Cedrick J. Fernandez ;Robert Patrick M. Cabangbang;Maria Salve C. Vasquez;Jomari C. Domingo;Reina Esther S. Caro;Alissa Carol M. Ibarra;Frenzee Kroeizha L. Pammit;Jen Daine L. Nocum;Angelica Kate G. Gumpal;Jesmar Cagayan;Ronilo M. Bajaro;Joseph P. Lagman;Cynthia R. Gulay;Noe Fernandez-Pozo;Susan R. Strickler;Lukas A. Mueller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30
    • /
    • 2022
  • Philippines is the second world supplier of coconut by-products. As its first major genomics project, the Philippine Genome Center program for Agriculture (PGC-Agriculture) took the challenge to sequence and assemble the whole coconut genome. The project aims to provide advance genetics tools for our collaborating coconut researchers while taking the opportunity to initiate local capacity. Combination of different NGS platforms was explored and the Philippine 'Catigan Green Dwarf' (CATD) variety was selected with the breeders to be the crop's reference genome. A high quality genome assembly of CATD was generated and used to characterize important genes of coconut towards the development of resilient and outstanding varieties especially for added high-value traits. The talk will present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e project as published in various papers including the first report of whole genome sequence of a dwarf coconut variety. Updates will include the challenges hurdled and specific applications such as gene mining for host insect resistance and screening for least damaged coconuts (thus potentially insect resistant varieties). Genome-wide DNA markers as published and genes related to coconut oil qualitative/quantitative traits will also be presented, including initial molecular/biochemical studies that support nutritional and medicinal claims. A web-based genome database is currently built for ease access and wider utility of these genomics tools. Indeed, a major milestone accomplished by the coconut genomics research team, which was facilitated with the all-out government support and strong collaboration among multidisciplinary experts and partnership with advance research institutes.

  • PDF

한국재래닭(오계)의 유리화 동결 시 생존율에 미치는 Ethylene Glycol(EG)과 Propylene Glycol(PG)의 영향 (Effect of Ethylene Glycol(EG) and Propylene Glycol(PG) on the Viability of Frozen-thawed Primordial Germ Cells(PGCs) on Korean Native Chicken(Ogye) by Vitrification)

  • 김현;김동훈;한재용;최성복;고응규;도윤정;성환후;김성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7-205
    • /
    • 2013
  • 동결 닭 원시생식세포의 생식계열 키메라를 이용한 생체에의 복원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닭 원시생식세포의 동결보존기술의 향상에 의해 동결 및 융해 후의 많은 생존세포를 확보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닭 원시생식세포는 배양 5.5일령의 닭 원시생식선으로부터 채취하고, MACS 방법에 의해서 순수 닭 원시생식세포를 분리했다. 15% 각각의 EG를 동결보호제로 사용한 처리군이 각 군의 농도에 상관없이 유의적(p<0.05)으로 PG 처리군보다 동결 및 융해 후의 세포의 생존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10% EG 처리군에서 85.63%로 동일한 농도의 PG 처리군(66.81%)보다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한편, 상업용 닭(한협3호)에서도 오계와 비슷한 경향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유리화 동결에 있어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인 10% EG이 최적의 동결 보호제로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백지에서 추출한 oxypeucedanin hydrate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관련 근생성 효과 (Effects of oxypeucedanin hydrate isolated from Angelica dahurica on myoblast differentiation in association with mitochondrial function)

  • 송은주;허지원;장지희;권윤주;정윤희;김민정;김성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53-64
    • /
    • 2024
  • 본 연구는 근생성 효능을 가진 천연화합물을 발굴하고자 oxypeucedanin hydrate가 근생성과 미토콘드리아에 미치는 영향 및 항암제 유도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대한 완화효과를 C2C12 근원세포와 zebrafish 모델을 통해 각각 확인하였다. 그 결과, oxypeucedanin hydrate는 다핵의 근관세포의 수와 분화말기 표지자인 Myh4의 발현량을 증가시켰고 근육단백질 분해 인자인 MuRF1과 MAFbx의 발현량은 감소시켰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조절인자인 Pgc1α, Tfam과 전자전달계 구성인자인 Sdha, Cox1의 발현은 증가시키고, 미토콘드리아 융합인자인 Opa1의 발현 또한 증가시킴과 동시에 미토콘드리아 분열을 표지하는 Drp1의 발현은 감소시켰다. 한편 zebrafish 모델을 통해 항암제 유도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 oxypeucedanin hydrate는 항암제에 의해 유도된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완화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oxypeucedanin hydrate가 미토콘드리아 기능 증진을 매개로 근원세포 분화 촉진 및 근육 단백질 분해 저하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oxypeucedanin hydrate가 근생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잠재적인 유효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기술 성숙도 및 의존도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망 융합 기술 발굴 방법론 (Discover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Using Network Analysis of Maturity and Dependency of Technology)

  • 최호창;곽기영;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1호
    • /
    • pp.101-124
    • /
    • 2018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기존 기술들의 융합(Convergence)을 통해 형성되고 있다. 또한 가까운 미래에 출현하게 될 유망한 융합 기술을 예측함으로써 변화하는 기술 지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많은 기관과 연구자들은 미래 유망 융합 기술 예측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i) 고정된 기술 분류 기준을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기술 분야의 동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 (ii) 예측 모형 수립 과정에서 주로 범용성 네트워크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기술의 융합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고유 특성을 활용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iii) 유망 분야 예측 모형의 정확성 평가를 위한 객관적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 등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 토픽 모델링을 통해 기존의 고정된 분류 기준이 아닌 실제 기술시장의 동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기술군을 도출하고, (ii) 기술 성숙도 및 기술군 간 의존 관계에 따라 각 기술군의 융합적 특성을 반영하는 잠재 성장 중심성(Potential Growth Centrality) 지표를 산출하였으며, (iii) 잠재 성장 중심성에 근거하여 예측한 유망 기술의 성숙도 증가량을 시기별로 측정하여 예측 모형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제안 방법론의 성능 및 실무 적용 가능성의 평가를 위해 특허 문서 13, 477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한 잠재 성장 중심성에 따른 예측 모형이 단순히 현재 활용되는 영향도 기반의 예측 모형에 비해 최대 약 2.88배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