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6초

PES-CTBN-PES 공중합체를 이용한 에폭시 수지의 강인성 향상 연구 (Toughening of Epoxy Resin with PES-CTBN-PES Triblock Copolymers)

  • 김형륜;명범영;송경헌;육종일;윤태호
    • 폴리머
    • /
    • 제25권2호
    • /
    • pp.246-253
    • /
    • 2001
  • 야민 말단기를 가지는 PES(6k) 올리고머와 상용 CTBN (1300$\circ$13)으로부터 분자량이 15000g/mol인 PES-CTBN-PES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에폭시 수지의 강인화제로 사용하였다. DDS를 경화제로 사용하였으며, 공중합체로 강인화된 에폭시 수지의 열특성, 강인성, 굴골 강도 및 내용매성을 측정하여, PES/CTBN 블렌드로 강인화된 에폭시 수지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공중합체는 용매의 사용없이 에폭시 수지에 40 wt%까지 첨가가 가능하였으며, 굴곡강도 및 내용매성의 저하 없이 40 wt%에서 2.21 mPa${\cdot}m^{0.5}$의 아주 높은 강인성을 보였다. 하지만 PES/CTBN 블렌드로 강인화된 에폭시 수지는 공중합체로 강인화된 시편보다 다소 낮은 강인성, 굴곡강도 및 내용매성을 보였다.

  • PDF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위한 개인환경서비스 연구 (A Research on Personal Environment Services for a Smart Home Network)

  • 노광현;김승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9권3호
    • /
    • pp.46-55
    • /
    • 2012
  • 최근에 ITU-R, ETSI, 3GPP, TTA 등의 표준화기구에서 개인환경서비스(PES : Personal Environment Service) 개념에 대해 폭넓게 논의되고 있다. 개인환경서비스는 WPAN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개인생활환경에 위치해 있는 다양한 가전기기가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담긴 프로파일을 교환하여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설정 및 제어하는 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PES 앱, PES 디바이스, PES 서버로 구성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PES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스마트폰 플랫폼은 안드로이드 2.2(Froyo) 버전이며, PES 디바이스는 갤럭시탭을 활용한 4가지의 모의 가전기기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운영한 결과 PES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M2M, D2D의 킬러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행동 분석 기반의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공과 좌우 양 발에 따른 여대생의 발 유형 분석 (The Differences in Foot Type According to Major in Left and Right Foo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 이경옥;김남희;김유련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9-23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foot type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academic major in both fee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16 female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lasses in Seoul. Dependent variables were students' field of study -specifically whether or not they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Analysis of students' foot type and Malalignment Syndrome were measured using Resting Calcaneous Stance Position (RCSP). There were five categories for RCSP angle: Severe Pes Planus (< $-5^{\circ}$), Pes Planus ($-3^{\circ}{\sim}-4^{\circ}$), Pes Rectus (${\pm}2^{\circ}$), Pes Cavus ($+3^{\circ}{\sim}+4^{\circ}$), Severe Pes Cavus (> $+5^{\circ}$). ${\chi}^2$ analysi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CSP for all subjects (432 feet) occurred at the following frequency: Pes Planus(43.9%), Pes Rectus(43.8%), and Pes Cavus(12.3%). These levels were different for physical education majors, with Pes Planus at 42.6%, Pes Rectus at 49.4%, and Pes Cavusat 8.0%. Non-physical education majors exhibited Pes Planus at 45.0%, Pes Rectus at 39.9%, and Pes Cavus at 15.1%. 15.3% (33 subjects) of all students had Malalignment Syndrome. In conclusion, 56.2% of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 foot deformity. There was nearly four times more Pes Planus than Pes Cavus. According to these results, exercise can be prescribed to alleviate foot deformities, especially supination. Severe pronation and supination problems appeared less amongst students not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us, although exercise might be one cause of foot deformity, it can also help resolve problems with over-supination.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understand and resolve the specific mechanism of over-supination.

MPEG-2 기반영상 GOP 단위 편집을 위한 PES 시스템 영역에서의 스트림 접함 방법 (Splicing Techniques in the PES System Layer for the Editing at a GOP Module of The MPEG-2 based Images)

  • 김동준;최윤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55-361
    • /
    • 2002
  • 본 논문은 MPEG-2 시스템 스트림 영역에서의 접합(splicing)이 MPEG-2 비디오 화면의 손상 없는 재생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기존의 접합은 MPEG-2 시스템의 TS 영역에서 수행하고 있는데, 비디오 문제로 한정시킨 영상편집의 관점에서 보면, 화면의 깨짐이 없는 임의의 픽처에서의 접합을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MPEG-2 시스템의 PES 영역에서의 비디오 화면을 고려한 접합을 다룸으로서 상위의 TS와 PS에서 동일한 목적의 접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자각 다른 두 PES 스트림의 접합 시 발생하는 문제와 이로 인해 비디오 화면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PES 영역에서 직접 비디오 화면의 재생시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의 원인을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PES 패킷의 헤더 정보 중 PES 패킷 길이 필드 값을 이용하면, PES 패킷의 상태와 관계없이 GOP 단위의 접합을 보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열차제어 장치용 실시간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me Synchronization for Programmable Electronic Systems of Train Control)

  • 강신주;이종우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7호
    • /
    • pp.1019-1023
    • /
    • 2014
  • The issue of safety insurance in PES(Programmable Electronic Systems) has been provoked because PES is difficult to define failure modes which are appeared in many different ways. But the PES applications extend rapidly in various areas. One of the solutions for PES safety insurance is voting which PES is used by comparing the outputs of several PES. The time synchronization of the PES is necessary for this reliable voting. The voting must be carried out with the outputs from same time inputs.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time synchronization of the PES. In this paper, we discussed two modes of the time synchronization which are mutual synchronization of several PES and using UTC(Universal Time Clock).

Sonoanatomic Variation of Pes Anserine Bursa

  • Imani, Farnad;Rahimzadeh, Poupak;Gharehdag, Farid Abolhasan;Faiz, Seyed Hamid Reza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6권3호
    • /
    • pp.249-254
    • /
    • 2013
  • Background: The pes anserine bursa lies beneath the pes anserine tendon, which is the insertional tendon of the sartorius, gracilis, and semitendinosus muscles on the medial side of the tibia, but it can lie in different sites in the medial knee. Accurate diagnosis of the position of the bursa is critical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goa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onoanatomic variations of the pes anserine bursa in the medial knee. Methods: One hundred seventy asymptomatic voluntee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Using ultrasound imaging (transverse approach, 7-13 MHz linear array probe) the sonoanatomic position of the pes anserine bursa and its relation to the pes anserine tendon were evaluated. Additionally, we evaluated the sonoanatomic variation of the saphenous nerve. Results: The position of the pes anserine bursa was between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and the pes anserine tendons in 21.2%/18.8% (males/females) of subjects; between the pes anserine tendons and the tibia in 67.1%/64.7% (m/f); and among the pes anserine tendons in 8.2%/12.9% (m/f).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ition of the bursa existed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 saphenous nerve was found within the pes anserine tendons in 77.6%/74.1% (m/f) of subjects, but outside the pes anserine tendons in 18.8%/15.3% (m/f). Visibility of sonoanatomic structures was not related to either gender or BMI. Conclusions: Ultrasound provides very accurate information about variations in the pes anserine bursa and the saphenous nerve. This suggests that our proposed ultrasound method can be a reliable guide to facilitate approaches to the medial knee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objectives.

다양한 표면개질을 이용한 폴리에테르설폰 막의 친수성 향상 (Enhanced Hydrophilicity of Polyethersulfone Membrane by Various Surface Modification Methods)

  • 박소정;황준석;최원길;이형근;허강무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205-21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을 연소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분리 및 회수하기 위한 고분자 분리막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물리 화학적 표면개질 방법을 사용하여 PES 평막 표면의 친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균일한 PES 평막을 제조한 후 친수성 향상을 위한 개질 방법으로 산처리, 블렌딩 및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표면개질을 하였고, 표면 특성을 비교하였다. PES 평막 표면의 특성 변화는 ATR-FTIR, XPS, SEM 및 접촉각 측정을 통해 관찰하였다. 황산을 이용한 산처리 방법과 양친매성 고분자를 이용한 블렌딩 방법에 의해 개질된 PES 평막에서는 접촉각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Ar 플라즈마 처리를 한 경우, 플라스마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ES 표면의 친수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다양한 표면개질 방법 중 플라즈마 방법을 적용하여 PES 표면을 처리하는 것이 PES 막 표면의 친수성 향상에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PES 서비스 시스템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PES Service System Architecture)

  • 오종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5B호
    • /
    • pp.471-4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기본 개념이 창안된 개인 환경 서비스(Personal Environment Service: PES)의 시스템과 프로토콜 구조에 대해 확장된 방안이 제안되었다. PES는 스마트폰과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는 대표적인 모바일 컨버전스 서비스로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그러나 초기부터 시스템 구조에 대해 충분히 연구되지 않으면 효과적인 실용화 가능성이 낮아진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PES 서비스 시스템과 프로토콜 구조는 향후 본격적인 연구개발 단계에서 좋은 참조 내용이 될 것이다.

CTBN-PES Block Copolymer에 의한 에폭시 수지의 강인화 연구 (Enhancing Fracture Toughness of Epoxy Resins with CTBN-PES Block Copolymer)

  • 김형륜;육종일;윤태호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2-176
    • /
    • 1999
  • 에폭시 수지의 강인성 향상을 위하여 양말단에 아민 반응기를 가지는 PES-CTBN-PES triblock copolymer를 합성하여 이를 에폭시 수지의 강인화제로 사용하였으며 경화제로는 p-DDS(p-dichlorodiphenylsulfone)를 사용하였다. 또한 공중합체에 의한 물성 향상효과를 CTBN과 PES-NH$_2$의 블렌드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강인화된 에폭시 수지의 물성은 강인성 및 굴곡특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열특성은 DSC, TGA, 및 DMA에 의해 실시되었다. 그리고 강인화된 에폭시 수지의 강인성 향상 mechanism을 규명하기 위하여 파단면을 SEM으로 분석하여 상분리 거동을 고찰하였다. 높은 유리전이온도와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고성능 기능성 폴리설폰(PES-NH$_2$)과 상용 액상 고무 첨가제인 CTBN을 이용하여 합성된 공중합체를 강인화제로 사용함으로써 열안정성, 탄성률 및 내식성의 감소없이 에폭시 수지의 쳐대 단점인 강인성을 최적 수준으로 개선시킬 수 있었으며 공중합체의 에폭시 수지에 대한 우수한 용해도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되었다.

  • PDF

Polyethersulfone과 ZnO 나노입자로 조성된 혼합기질막의 제조와 특성 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xed Matrix Membrane Consisting of Polyethersulfone and ZnO Nanoparticles)

  • 이승훈;이민수;염경호
    • 멤브레인
    • /
    • 제26권6호
    • /
    • pp.463-469
    • /
    • 2016
  • Polyethersulfone (PES) 고분자 상변환막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PES 고분자에 나노 크기의 ZnO 무기입자를 함침시킨 혼합기질막(mixed matrix membrane)을 제조하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PES-ZnO 혼합기질막은 ZnO 나노입자를 PES 대비 최대 0.375 wt%의 낮은 비율로 첨가시킨 PES-ZnO-NMP(N-methyl-1-pyrrolidone)로 이루어진 캐스팅 용액을 사용하여 상변환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기질 막의 물성과 특성은 막의 단면구조 관찰, 접촉각 측정, 인장강도 측정, 순수 투과량 측정 및 BSA 단백질 용액의 한외여과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 결과 혼합기질 막은 PES 고분자 matrix에 함유된 ZnO 나노입자로 인해 막의 친수성이 증가하여 막오염 발생이 억제되어 투과량이 증가하였다. ZnO 나노입자는 혼합기질막의 제조에 있어 막오염의 발생 억제와 투과량 증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무기물 첨가제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