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G(polyethylene glycol)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23초

실리콘 잉곳 절삭시 발생하는 폐 PEG 색도 개선에 관한 연구 (Chromaticity Improvement of PEG Waste from Wire Sawing of Silicon Ingot)

  • 조윤경;정경열;심민석;이기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310-316
    • /
    • 2012
  • 활성탄소 분말과 탄소필터를 이용하여 실리콘 폐슬러리에서 회수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폐액의 색도 개선연구를 수행하였다. 활성탄소의 사용량, 흡착온도 및 흡착시간 변화에 따른 색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탄소필터를 사용할 경우 충진된 활성탄소의 재생에 따른 성능 저하 여부를 검정하였다. 활성탄소의 표면적은 색도 개선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흡착제 함량에 따른 색도 변화 결과로부터 흡착제의 최적 사용량은 100~150 mg-C/g-PEG이였다. 흡착제 양을 고정하고 흡착 온도를 상온에서 $100^{\circ}C$까지 변화시키면서 PEG의 APHA(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색 값을 관찰한 결과 폐 PEG의 색도 개선을 위해서는 $40{\sim}50^{\circ}C$ 온도에서 운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활성탄소필터의 운전 조건별 APHA 특성을 관찰하였고 APHA=53인 폐 PEG를 $APHA{\leq}10$로 정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흡착에 사용된 활성탄소필터는 증류수를 순환시켜 세척함으로써 큰 성능 저하 없이 효과적으로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구연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포도껍질 추출물에서 항산화물질과 포도당 분리 (Separation of Antioxidants and Glucose from Grape Skin Extract Using Polyethylene Glycol and Sodium Citrate)

  • 신은민;주영은;정수민;서재찬;김창준
    • 청정기술
    • /
    • 제29권2호
    • /
    • pp.109-11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포도껍질 추출물에서 항산화 물질과 당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다양한 유기용매를 추출용매로의 사용 가능 성을 조사하였다. 아세톤, 에탄올, DMSO 또는 DMF 사용 시 유기용매-추출물 혼합물은 단일 상으로 존재하였고 벤젠,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n-헥산을 추출물에 첨가 시 유기용매 상과 수용액 상으로 분리되었으나 색소물질은 여전히 수용액 상에 잔류하였다. 한편 폴리에틸렌 글리콜-2,000(PEG-2,000)과 구연산 나트륨을 추출물에 첨가 시, 혼합액은 세 개의 층으로 분리되었고 추출물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플라보노이드가 상층액으로 이동한 반면 추출물 포도당의 53%가 하층액으로 이동하였다. 하층액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지 않은 반면 상층액은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PEG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층액의 포도당 회수율이 증가하여 PEG-8,000을 첨가하여 얻은 하층액의 포도당 회수율은 가장 높은 67%였다. 플라보노이드 분리는 PEG-2,000 > PEG-8,000 > PEG-400 순서로 높았다. 그리고 PEG-2,000을 사용하여 얻은 상층액과 하층액의 플라보노이드 회수율은 각각 48과 0.2%였다. 아가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분리액이 효모균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추출물, 상층액, 및 하층액 첨가가 효모균 생장을 저해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감압 상태 순환유동층 반응기에서 플라즈마 그래프팅에 의한 미세입자 표면 개질 (Surface Modification of Fine Particle by Plasma Grafting i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Reactor under Reduced Pressure)

  • 박성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614-619
    • /
    • 2015
  • 미세입자의 플라즈마 표면 개질을 감압상태하의 순환유동층 반응기에서 수행하였다. 플라즈마에 의해 처리된 폴리스타이렌 입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로 표면에 그래프팅하였다. 표면 개질 전 입자와 플라즈마 처리된 입자 그리고 그래프팅된 입자의 특성은 각각 DPPH 방법, FTIR, SEM 그리고 접촉각 측정으로 분석하였다.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스타이렌 입자의 표면에 과산화물이 잘 형성되었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그래프팅 중합에 의해 플라즈마 처리된 입자 표면에 그래프팅이 잘 분산되었다. 따라서 감압상태의 순환 유동층 반응기에서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PEG-g-PS 입자를 성공적으로 형성할 수 있었다.

PEG 함량변화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formanc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PEG Contents)

  • 백형렬;한정희;이호;구할본;박경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78-181
    • /
    • 2008
  • A solar cell based on dye-sensitized photoelectric conversion was studi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amount of polyethylene glycol(PEG), added to the $TiO_2$ paste, on surface morphology of the $TiO_2$ films and on the solar cell performanc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was found to increase with PEG addition up to 20 % by weight of $TiO_2$ and then decrease with further addition due to the aggregation of $TiO_2$ nano particles in the $TiO_2$ film. In this study, the best result of dye-sensitized solar cell was the short circuit current(Isc) of $22.6mAcm^{-2}$, the open circuit voltage (Voc) of 0.73 V, the fill factor (ff) of 0.55 and the overall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eta}$) of 9.1 % under illumination with AM 1.5 simulated sunlight.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cidity and Polyethylene Glycol on Electrochemical Deposition of Trivalent Chromium Ions

  • Phuong, N.V.;Kwon, S.C.;Lee, J.Y.;Kim, M.;Lee, Y.I.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Fine pattern PCB 표면 처리 기술 워크샵
    • /
    • pp.47-48
    • /
    • 2011
  • The effect of solution acidity and organic additives, polyethylene glycol (PEG), on the trivalent chromium electroplating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the view point of solution stability, electroreduction of trivalent chromium ions and characterization of deposition layer.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fraction chromium complexes in the trivalent chromium bath containing formic acid is strongly depended on pH value. PEG molecules were stable in trivalent chromium bath containing formic acid via studies on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and UV-Vis. However, the presence of PEG molecules decreased the reductive current of hydrogen evolution, increasing of current efficiency higher about 10 % compared with solutions without PEG. Moreover, PEG additives developed the nodular morphology during electroreduction of trivalent chromium ions with the increase of solution acidity and enhanced its current efficiency by maintaining the consumption of complexant, formic acid, at a low spe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olution acidity was emphasized important, there, it controlled the formation of complexes in the solution, cathodic film (CF) during deposition, and properties of deposited layer. By electrochemical quartz crystal microbalance (EQCM), studies show that chromium electrodeposition occurs via the formation of intermediate complexes and adsorption on the cathode surface, which hinder the penetration of ions from bulk solution to the cathode surface.

  • PDF

Role of polyethylene glycol (PEG) linkers: trends in antibody conjugation and their pharmacokinetics

  • Kondapa Naidu Bobba;Abhinav Bhise;Subramani Rajkumar;Woonghee Lee;Jeongsoo Yoo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5-164
    • /
    • 2020
  • Polyethylene glycol (PEG) has been the most commonly used polymer for the past few decades in the field of biomedical applications due to its gold standard stealth effect. PEGylation of antibody-drug conjugates, liposomes, peptides, nanoparticles, and proteins is done to improve their pharmaceutical efficacy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PEGylation of antibodies with various PEG linkers improves targeting ability by increasing the blood circulation time and thus enhances the biodistribution profiles. It also assists in minimizing the immediate capture by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effect of PEG linkers in an antibody conjugation and their pharmacokinetics in the field of biomedical imaging.

Polyethylene glycol(PEG)처리에 의한 국내산 소경재의 치수안정화에 관한 연구II - 환경재와 산공재의 비교 - (A Study on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Domestic Small-Diameter Logs by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 Comparison of Ring-Porous Wood and Diffuse-Porous Wood -)

  • 권구중;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8-1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소경재의 보다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PEG처리한 활엽수재의 환공재 4수종(신갈나무, 굴참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과 산공재 4수종(산벚나무, 물박달나무, 층층나무, 은사시나무)에 대한 치수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수축률은 공시수종 모두 PEG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고, 산공재가 환공재보다 낮았다. 중량증가율은 PEG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고, 산공재가 환공재 보다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었다. 벌킹효과는 PEG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분자량이 클수록 감소하였고, 산공재가 환공재보다 벌킹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공재가 환공재보다 높은 치수안정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PEG처리재의 치수안정효과는 목재의 구조(도관의 분포상태 및 타이로시스 존재유무)와 밀도에 크게 영향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적층 가공에서 적용 가능한 PLA-PEG 복합재료의 MD Simulation (MD Simulation of PLA-PEG Composites for Additive Manufacturing)

  • 함송희;전영준
    • 공업화학
    • /
    • 제34권3호
    • /
    • pp.285-290
    • /
    • 2023
  • 폴리젖산(poly-lactic acid, PLA)은 옥수수 분말이나 sugar beets와 같은 천연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생분해성 및 생체적 합성을 가진 친환경적인 재료로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적층가공에서 흔히 사용되는 석유로부터 추출된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의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PLA의 유리 전이 온도는 60 ℃로 비교적 낮아 열 저항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PLA는 취성이 강해 충격이 가해졌을 때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PLA의 결정화도 및 연성을 증가시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젖산에 조핵제 또는 가소제 등을 첨가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PEG (polyethylene glycol)은 PLA 사슬에 유동성을 주기 위해 가장 많이 연구된 가소제이나, PLA와 혼화되었을 때 자체적인 결정화가 진행되어 상온에서도 혼화물이 불안정해지며 상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PLA-PEG의 최적의 혼화 비율을 찾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가소제인 PEG를 첨가하였을 때 예측되는 두 물질 간의 혼화도를 Materials Studio 프로그램의 Molecular Dynamic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젖산과 PEG의 함량 변화에 따른 혼화도와 젖산의 거울상 이성질체인 L-lactic acid 및 D-lactic acid의 함량에 따른 혼화도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예측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처리에 의한 일본잎갈나무의 치수안정화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Japanese Larch by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 정재열;한규성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41-45
    • /
    • 2001
  • 본 연구는 목재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주입하였을 때 얻어지는 치수안정화 효과를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종은 일본잎갈나무(낙엽송, Larix kaempferi)이었고, 분자량이 각각 1000, 1500, 4000, 6000인 PEG를 각각 30%, 40%, 50% 수용액으로 하여 함침 처리에 사용하였다. 치수안정성은 항팽윤율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PEG 주입에 따른 중량중가율은 PEG 처리 농도 40%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PEG 분자량 1500 처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평균 분자량 1500이상이 되면, 분자량이 커질수록 중량증가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EG 처리재의 항팽윤율(ASE)은 PEG #1000 또는 PEG #1500 처리시 접선, 방사방향 모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PEG 분자량이 증가하면, ASE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황동 표면의 생물 부착 억제를 위한 접착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코팅 (Adhesive Polyethylene Glycol Coatings for Low Biofouling Copper-Zinc Alloy Substrates)

  • 이상우;신현호;권석준;류지현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3호
    • /
    • pp.105-111
    • /
    • 2023
  • 최근 귀금속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있어, 생물 부착 억제를 위한 코팅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패션 주얼리와 같이 피부에 밀착하여 접촉하는 악세사리나 귀걸이, 그리고 피어싱의 경우, 금속 표면의 오염으로 인하여 접촉 부위를 자극하거나 이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양 말단에 홍합의 접착 물질로 보고된 카테콜기를 도입하여 접착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합성하고, 이를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황동 표면에 코팅하여 생물 부착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접착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코팅된 황동 표면은 우수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낼 뿐 아니라, 단백질이나 세포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귀금속 산업 분야에 있어서 접착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