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 pip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1초

PE 이종강관의 소방용 배관 적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iping Feasibility of PE Compound Pipe for Fire Protection Service)

  • 박정화;오천영;곽지현;손봉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55-61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소방용 배관의 부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계소화설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Polyethylene (PE) 이종강관을 수계소화설비배관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실제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이종배관에 대한 관련시험기준이 없어 국내외 기술자료 및 시험기준을 비교분석하여 적합한 화재시험기준을 선정하여 PE 이종강관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배관의 성능시험에 채택한 화재시험기준은 합성수지배관과 금속배관의 두 가지의 화재시험기준을 적용하였고 총 6차례의 화재실험을 실시하여 배관성능을 평가하였다. 소방용합성수지배관의 시험기준을 적용한 1, 2차의 화재시험결과 이음쇠와 배관에서 파손이나 변형이 없었으며 5분간 내압시험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누수가 없었다. 금속배관시험기준을 적용한 화재실험은 총 4회를 실시하였으며 1, 2차 실험은 습식설비를 모사한 것으로 화재시험결과는 PE 이종강관에서 누설이나 파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또한 PE 재질의 이탈 등 손상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단, 건식설비를 모사한 3, 4차의 화재시험결과 소화수가 방출되기 이전에 PE 이종강관에서 파열,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실험결과 습식설비를 모사한 화재시험의 경우 PE 이종강관의 융착성, 변형, 파손 등 배관의 성능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스퀴즈오프에 따른 PE배관의 손상평가 연구 (A Study on the Damage Evaluation of Polyethylene Pipe by Squeeze-off)

  • 서호성;이화영;이재훈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
    • /
    • 2023
  • 시공 편의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PE배관은 국내 도시가스 분야에서 지하 매설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E배관은 유지·보수 공사 중 가스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많은 현장에서 스퀴즈오프를 활용하고 있다. 스퀴즈오프란 PE배관을 압착하여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방법을 말하며 물리적인 힘에 의해 배관의 변형이 일어나는 공사의 특성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퀴즈오프에 따른 PE배관의 손상방지를 위해 압축률에 따른 손상평가 및 기밀시험을 통해 적정한 압축의 범위와 사용 압력, 관경 등의 스퀴즈오프 작업 절차에 반영될 주요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PE배관 손상평가를 위한 압축 실험은 압축률(20%~40%)과 사용압력 (2.8kPa, 25kPa, 70kPa), 관경(63mm, 90mm, 110mm)을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다. 압축률에 따른 손상평가 결과, 과도한 압축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압축률인 45%(110mm), 73%(63mm)인 배관에서 파손이 발생하였다. 또한, 스퀴즈오프 작업 중 기밀시험은 Ar(아르곤)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실험결과 70kPa의 조건과 110mm 의 배관 조건에서 누출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밀유지를 위한 스퀴즈오프는 25kPa이하의 사용압력 및 90mm 배관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배관에서 작업을 실시해야하며 PE배관의 손상방지를 위한 적정 압축률은 30%임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내용을 도시가스용 PE배관의 스퀴즈오프 작업 절차에 반영할 예정이다.

온도와 압력이 가스용 폴리에틸렌관의 용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Weldability of Polyethylene Pipe for the Supply of Gaseous Fuels)

  • 김영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97-103
    • /
    • 1996
  • The welding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 pipe for gas varying temperature and pressure is analyz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is very important to studying the weldability of PE pipe as well as is useful for its welding data. The specimens have the same welding conditions. Experimental data of the bead width, height and thickness for PE welding are measured with tool projector, Experimental results for PE welding Indicated that temperature more than pressure have influence on the weld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optimal PE welding within the limits of $210^{\circ}C$ and 15kg/$cm^2$ have high welding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other conditions. These results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safety and to reliable welding components of PE gas pipe.

  • PDF

EWT를 고려한 지중열교환기 파이프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Pipe Materials Considering EWT)

  • 류형규;정민호;이병석;최현준;최항석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18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n optimum pipe material (PVC vs. PE) design & selection for open loop ground heat exchangers. Heat exchange efficiency and/or workability, and the need for trench insulation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EWT (cooling mode) of each system. CFD simulations for the PVC and PE pipe with the same inner diameter show similar EWT. This is because the PVC pipe has a small thickness but a low thermal conductivity as compared to the PE pipe, and thus these two properties tend to offset each other. However, a hypothetically insulated pipe led to a meaningful drop of EWT. This means pipe insulation is of importance in performance of ground heat exchangers. From analyzing climate data and system operation, it is not advantageous to insulate trench pipes due to construction difficulties and ground temperature characteristics that are seasonally varied.

지중매설 폴리에틸렌 관의 장기거동 예측 (Prediction of Long-Term behavior of polyethylene pipe buried underground)

  • 이재호;김빈;윤수현;김응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2
    • /
    • 2017
  • Most of existing buried pipes are composed of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pipes have many problems such as aging, corrosion, leaking, etc. The polyethylene (PE) pipes have advantag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lastic pipes buried underground are classified into a flexible pipe. National standard that has limited the long-term vertical deformation of the pipe to 5% for flexible pipes including PE pipe. This study presents a prediction for the long-term behavior of the polyethylene pipe based on ASTM D 5365. This prediction method is presented to estimate by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from the initial deflection measurement data. We predict the behavior of long-term performance on the double-wall pipe and multi-wall pip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E pipe will be sound enough more than 50 years if the compaction of soil around the pipe is more than 95% of the standard soil compaction density.

PE 배관의 인장시험 동안 발생한 AE 특성 (AE characteristic of PE pipe under tensile test)

  • 정정환;남기우;안석환;박인덕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0-133
    • /
    • 2002
  • Polyethylene pressure pipe has been used with a gas pipe material because of workability and stability etc.. Researches on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 pressure pipe are carried out, but there are rare. In this study, the tensile test was performed on polyethylene pipe. From the tensile test, AE signals were detected and estimated in real time. Also, the time-frequency analysis of AE signals was analyzed. From test results, PE pipes were displayed typical stress-strain curves oj semi-crystalline polymer. As result analyzed AE signals, could divide stress-strain curves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ages. In the elastic region, signals were not detected. Low amplitude distributions of 30-35dB appeared after yielding, and high amplitude distributions of 30-60dB appeared with increased extension. From the time-frequency analysis of AE signals, the frequency band of 100kHz appeared mainly. Also, the frequency band of 300kHz appeared before the necking phenomenon spreads into the whole region, and the frequency band of 500kHz appeared on extension earlier.

  • PDF

수도용 강관의 도복장 재료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Properties of Wrapping Material of Steel Pipe for Water Supply)

  • 이현동;이지은;곽필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1-3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생산되는 강관의 도복장 재료 및 방법별로 관체 시편을 이용하여 도복장강관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도복장강관의 원관의 물성 및 화학조성의 분석결과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다. 강관의 도복장 재료의 물성시험 결과, 블론아스팔트와 콜타르에나멜은 비용이 저렴하고 기계적 성질은 매우 우수하나, 유기용매에 녹는 단점을 지니고 있고, 도복장강관이 도복장재료로서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껍게 도복할 경우, 강관 자체의 하중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당김강도 시험과 음극박리 시험결과, PE-3층 도복장방식이 우수하였으며, PE의 도복장방법에 따라서는 압출식(T-Die) 3층 폴리에틸렌(PE 3-Layer)이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PE Fluidized)보다 당김강도가 강하며 음극박리 면적도 작았다. 압출식(T-Die) 3층 폴리에틸렌(PE 3-Layer)은 기계적 특성, 열적 특성 모두 우수하였고, 내화학성도 뛰어났다. 액상에폭시는 수지 선정과 경화 조건에 따라서 도장재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시험에서 사용된 폴리우레탄은 강관과의 접착력도 에폭시에 비하여 낮았으며, 수분 흡수율은 에폭시 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폴리우레탄을 도복장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레탄의 기본물성과 최적의 도장조건을 도출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실험한 시편 중에서는 현재 압출식으로 제조한 PE-3층 도복장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앞으로 기타 다른 도복장재료와의 추가 검증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E배관의 융착 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sion Welding Strength of PE pipe)

  • 전흥원;김용수;태순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21
    • /
    • 2002
  • At present the Polyethylene piping, on supporting LNG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disposition which are anti-corrosion flexible and so on. However, it has a few kinds of risk which are the possibility of piping leak, the character of easily corroded and so on. For giving solu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eriment the intension of the PE pipe after melted and when it is melting, the condition which are temperature and pressure is changed. the melting condition in temperature and pressure is adapted identically. After melting, it's joint is tested as intension. The result is that the effect of temperature in intension is more effective than pressure. In $210^{\circ}C$, $20kg/cm^{2}$ condition, the melting intension has the highest. Compare to the Butt melting joint and the Saddle melting joint, the former was $214kg/cm^{2}$ and the latter was $50kg/cm^{2}(bead\;2{\sim}3mm)$ and $73kg/cm^{2}(bead\;5{\sim}7mm)$. It means that the Butt melting method has more intensive than saddle. Consequently, the result shows that the liability and safety when pipe melting method is used will improve in pipe installation.

기계식 이음 PE관의 응답변위법 기반 내진성능평가 요령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Mechanically Jointed PE Pipeline by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 박동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23-32
    • /
    • 2023
  • 지진 시 매설 PE관은 파단시 신장율이 우수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진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 융착식 PE관의 응답변위법 기반 내진성능평가 절차를 제안한 바 있으나, 기계식 이음 PE관에 대한 절차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식 이음 PE관의 응답변위법 기반 내진성능평가 절차를 제시하였다. 기계식 이음 PE관의 경우 분절관의 평가 절차를 따르며, 관체 발생응력, 이음부 신축변형률 및 이음부 휨 각도 평가를 수행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지반의 축방향 변형률 산정에 필요한 지반의 불균질성 계수를 도입하였다. 지반 액상화 우려가 있는 지반에 대한 측방 변위 및 재압밀 침하량 계산 방법도 함께 제안하였다. 국내 지반 환경을 고려한 민감도 해석 결과, 일정 품질이 확보된 기계식 이음 PE관은 지반 액상화를 고려하지 않을 때, 양호한 구조적 지진 안전성을 보였다. 본 절차는 주로 소규모 관경의 배관 접합에 사용하는 기계식 접합 매설 PE관의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R램프를 이용한 PE파이프 접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pipe bonded by IR lamp)

  • 김숙환;이종섭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319-320
    • /
    • 2004
  • 1960년대에 Engineering 폴리에틸렌(Polyethylene, 기후 PE로 표기함) 수지가 소개된 이후 현재까지 PE수지는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어왔다. 또한, PE 수지파이프는 내식성이 뛰어나고 가볍고 유연성(flexibility)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