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L2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4초

Novel Linking Ligand Containing Sulfur-Donor Atoms and Its Compounds of Palladium and Silver

  • Lee, Hee-K.;Lee, Soon-W.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421-426
    • /
    • 2007
  • A linking ligand containing sulfur donor atoms in the terminal thiophene rings, 1,2-bis(thiophen-2-ylmethylene) hydrazine (L), was prepared by Schiff-base condensation. Ligand L reacted with [PdCl2(NCPh)2] to produce a molecular Pd compound [PdL2Cl2] (1). On the other hand, it reacted with AgNO3 and AgClO4 to produce a 2-D network [AgL0.5(NO3)] (2) and a 1-D polymer [AgL]ClO4 (3), respectively, whose structures are based on secondary intermolecular forces such as H-bonding, van der Waals interaction, and π-π stacking. Polymer 2 exhibited photoluminescence at room temperature in the solid state.

Huh7.5 간암 세포주의 HCV 항원제시에 의한 HCV 특이 T 림프구의 활성에 관한 연구 (The Activation of HCV-specific CD8 T Cells by HCV Peptide Pulsed Huh7.5 Cells)

  • 조효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2-347
    • /
    • 2011
  • 인체의 바이러스 감염 방어기전에서 T 림프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만성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일차적 복제장소인 간염 환자의 간에서 분리된 HCV 특이 T 림프구는 심각한 기능결핍을 보인다. 이러한 T 림프구 기능결핍의 이유로는 PD-1, CTLA-4 등 면역억제 물질의 발현, 또는 간에서 특이적으로 유도되는 면역내성(immune tolerance)이 있으나, 간세포(hepatocytes)와 HCV 특이 T 림프구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LA(human leukocyte antigen) A2+ 간암세포주(human hepatoma cell line; huh7.5)가 항원제시(antigen presentation)를 통해 효과적으로 HCV 특이 T 림프구를 활성화시키며 간암세포주(huh7.5) 표면의 PD-L (program death ligand) 1 발현은 T림프구의 활성을 감소시켜 면역조절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HCV 특이 tetramer 반응은 T 림프구의 과도한 활성으로 자기사멸(apoptosis)의 경로에 있음을 caspase 3 활성으로 확인하였고, 역시 PD-L1의 발현이 T 림프구를 자기사멸(apoptosis)로부터 구제하여 caspase 3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PD-L1과 간성(liver) T 림프구 표면의 PD-1 결합이 T 림프구의 자기사멸을 막고, 또한 그 기능을 회복시켜 만성 C형 간염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irst Example of Monometallic Palladium(II) Compound with Trans-Chelating Tridentate Ligand: Synthesis, Crystal Structure, and Characterizations

  • Tae Hwan Noh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4권3호
    • /
    • pp.110-115
    • /
    • 2023
  • The reaction of (COD)PdCl2 with new C3-symmetric tridentate L (COD = 1,5-cyclooctadien; L = 1,3,5-tris(picolinoyloxyethyl)cyanurate) in a mixture of acetone and dichloromethane produces single crystals consisting of unprecedented monometallacyclic [PdCl2(L)]. This cyclic compound arises from trans-chelation of two of three donating pyridyl groups of L, while the third pyridyl group remains uncoordinated.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data on L exhibited the major peak corresponding to [C27H24N6O9 + H+]+.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metry (FABMS) data on [PdCl2(L)], however, showed the mass peak corresponding to the L instead of the present palladium(II) compound species, due to the insolubility and dissociation in soluti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esent palladium(II) compound were fully characterized by means of infrared (IR)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thermal analysis,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SC-XRD) measurement.

Pd/Al2O3, Pd/Ag/Al2O3 분리막의 제조와 수소 투과 성능 평가 (Preparation of Pd/Al2O3, Pd/Ag/Al2O3 Membranes and Evaluation of Hydrogen Permeation Performance)

  • 이정인;신민창;장학룡;황재연;김억용;정창훈;박정훈
    • 멤브레인
    • /
    • 제32권2호
    • /
    • pp.116-125
    • /
    • 2022
  • 본 실험에서는 α-Al2O3 세라믹 중공사를 지지체로 사용하였고, 무전해 도금을 통해 Pd 및 Pd-Ag가 도금된 수소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Pd-Ag 분리막은 Pd와 Ag 합금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500℃, 10 h 동안의 annealing 과정을 거쳤으며, EDS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분석을 통해 Pd-Ag 합금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을 통해 제조된 Pd 및 Pd-Ag 도금층의 두께는 약 8.98, 9.29 ㎛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수소 분리막은 350~450℃, 1-4 bar의 범위에서 수소 단일 가스, 혼합가스(H2, N2)를 이용하여 수소 투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소 단일 가스에서 Pd와 Pd-Ag 분리막은 최대 각각 21.85, 13.76 mL/cm2·min의 flux를 가지며, 혼합가스에서는 450℃, 4 bar의 조건일 때, 1216, 361의 separation factor가 각각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을 이용한 생물학적 1,3-propanediol 생산 (Biological production of 1,3-propanediol using crude glycerol derived from biodiesel process)

  • 전선애;강철희;공성욱;상병인;엄영순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413-41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통성 혐기성 세균인 K. pneumoniae DSM2026 K. pneumoniae DSM4799를 이용하여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에서 발생된 폐글리세롤로부터 1,3-PD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폐글리세롤은 전처리 없이 이용하여 폐글리세롤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회분식 발효에서 폐글리세롤을 사용한 경우 순수 글리세롤에 비해 $1.1{\sim}2.5$배 향상된 1,3-PD 증가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은 순수 글리세롤보다 효과적인 1,3-PD 생산 기질로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배양액에서 글루코스 첨가 유무에 따른 1,3-PD의 생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글루코스에 의해 미생물의 성장이 30% 증가된 반면, 1,3-PD의 생산량은 글루코스가 첨가되지 않은 배양액에서 $1.3{\sim}2.9$배 정도 증가되었다. 또한 1,3-PD 발효 부산물인 2,3-BD 생산량은 글루코스 첨가시 $6{\sim}9\;g/L$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회분식 배양에서는 글루코스 미첨가시 폐글리세롤로부터 26 g/L의 1,3-PD가 생성되었으며, 이는 순수글리세롤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 $2{\sim}3$배 높은 생성량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이 효과적으로 1,3-PD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가격경쟁력이 있는 생물학적 1,3-PD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Ni Addition on the Microstructures and Magnetic Properties of Fe70-xPd30Nix High-Temperature Ferromagnetic Shape Memory Alloys

  • Lin, Chien-Feng;Yang, Jin-Bi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7권2호
    • /
    • pp.86-95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ding a third alloying element, Ni, to create $Fe_{70-x}Pd_{30}Ni_x$ (x = 2, 4, 6, 8 at.% Ni) ferromagnetic shape memory alloys (FSMAs). The Ni replaced a portion of the Fe. The $Fe_{70-x}Pd_{30}Ni_x$ alloys were homogenized through hot and cold forging to gain a ~38% reduction in thickness, next they were solution-treated (ST) with annealing recrystallization at $1100^{\circ}C$ for 8 h and quenched in ice brine, and then aged at $500^{\circ}C$ for 100 h. Investigation of the microstructures and magnetostriction indicated that the greater Ni amount in the $Fe_{70-x}Pd_{30}Ni_x$ alloys reduced saturation magnetostriction at room temperature (RT). It was also observed that it was more difficult to generate annealed recrystallization. However, with greater Ni addition into the $Fe_{70-x}Pd_{30}Ni_x$ (x = 6, 8 at.% Ni) alloys, the $L1_0+L1_m$ twin phase decomposition into stoichiometric $L1_0+L1_m+{\alpha}_{bct}$ structures was suppressed after the $500^{\circ}C$/100 h aging treatment. The result was that the $Fe_{70-x}Pd_{30}Ni_x$ (x = 6, 8 at.% Ni) alloys maintained a high magnetostriction and magnetostrictive susceptibility (${\Delta}{\lambda}{_\parallel}{^s}/{\Delta}H$) after the alloys were aged at $500^{\circ}C$ for 100 h. This magnetic property of the $Fe_{70-x}Pd_{30}Ni_x$ (x = 6, 8 at.% Ni) alloys make it suitable for application in a high temperature (T > $500^{\circ}C$) and high frequency environments.

글리세롤을 함유한 유지산업 부산물의 1,3-propanediol 발효 (1,3-Propanediol Fermentation using the by-Products from Fat Industry)

  • 김철호;김승환;김세정;박건규;이상기
    • KSBB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255-260
    • /
    • 2002
  • 순수 글리세롤 대신에 유지산업 부산물로써 고농도의 글리세롤이 포함된 폐액을 이용하여 1,3-PD 생산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1,3-PD의 경우 혐기성 조건에서만 생성되므로 글리세롤을 1,3-PD로 전환하는 여러 미생물 중에서 절대 혐기성 균주보다 다루기 쉽고 배양하기 좋은 통성 혐기성 균주인 Klebsiella pneumcniae와 Citrobacter freundii을 비교하여 폐액의 최종 글리세롤 농도가 25 g/L일 때 1,3-PD의 수율과 균주 생육이 좋은 Klebsiella pneumoniae를 선택하였다. 1,3-PD 생산의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폐액의 글리세롤농도를 25 g/L으로 조정하였을 때 폐액에 포함된 다른 성분의 저해를 적게 받으면서 생산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질소원으로는 corn steep powder를 1%(w/v) 첨가하였을 때 수율이 가장 높았다. 배양액을 발효조 배양에서 pH는 6.0일 때 1,3-PD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pH가 6.0이하로 낮아졌을 때 균주가 성장하지 못하고 사멸하였다. 발효 최적온도는 $35^{\circ}C$였으며 pH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한 인산염의 첨가는 효과가 없었다. 그리고 순수 글리세롤의 비교 실험에서 글리세롤 최종농도가 2.5%일 때 1,3-PD으로 수율을 보면 폐액은 53%, pure 글리세롤은 51%로 거의 비슷하였다. 글리세롤 최종 농도가 5.0%로 조정한 했을 때 1,3-PD 수율은 글리세롤함유 폐액 및 순수글리세롤의 기질농도를 2.5% 사용했을 때 보다 모두 낮아졌다. 산업적으로 비누 세제산업 부산물로 생성되는 글리세롤함유 폐액을 1,3-PD 생산에 사용하기 위해서 폐액의 글리세롤농도를 2.5% 조정했을 때 1,3-PD 수율이 순수 글리세롤을 사용했을 때와 비슷하게 생성됨을 알수 있었다. 앞으로 고농도 폐액에서 생육저해가 없이 1,3-PD을 생산할 수 있는 돌연변이 균주의 개발과 유가배양 및 연속 배양에서 최적 배양조건을 찾아야 할 것이다.

The Effect of Different Light Quality on the Change of Membrane PD of the Guard Cell in Tradescantia virginiana L.

  • Lee, Joon-Sang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89-92
    • /
    • 2004
  • The effects of different light quality on the change of membrane potential difference (PD) of the guard cell in the intact leaf have been investigated. The mombrane PD was about -5.5 mV by white light of 600 $\mu$moles $m^{-2}\; s^{-1}$. The mean PD of change caused by red light was about -5.2 mV at the light intensity of 80 $\mu$moles $m^{-2}\; s^{-1}$. Membrane PD of guard cells in response to blue light was saturated at low light intensity. However, red and green light enhanced the change of membrane PD of guard cells with increasing intensity. In green light the biggest change of memrane PD was around -4 mV, whereas, with blue light the change of of memrane PD was around -2 mV. Accordingly, the membrane PD of guard cell showed the different degree of hyper-polarization by each wavelength.

Ethylenebis (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 과 유사화합물을 리간드로 하는 팔라듐 (II) 착물의 합성 및 성질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alladium (II) Complexes with Ethylenebis (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 and Its Analogue)

  • 김수한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90-495
    • /
    • 1985
  • 팔라듐(II)의 새로운 착물인 $[Pd((ieaa)_2-en)]$ 및 [PdCl((ieaa)-l-pn)]을 합성하였다. 여기서 $(ieaa)_2-en$과 (ieaa)-l-pn은 각각 N,N'-ethylenebis(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 및 l-N-(2-aminopropyl)-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을 표시한다. 합성된 이들 팔라듐(II) 착물들은 전자흡수(AB) 스펙트럼, 원이색성(CD) 스펙트럼, C-13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 및 라만스펙트럼등의 측정결과를 기초로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염화팔라듐(II)과 ethylenediamine을 첨가한 isonitrosoethylacetoacetate (ieaa)와의 반응에서 생성된 팔라듐착물에서는 $(ieaa)_2-en$형의 Schiff 염기, 한편 ethylenediamine 대신 l-propylenediamine을 사용한 비슷한 반응으로 생성된 착물에서는 (ieaa)-l-pn형의 Schiff염기로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형성의 차이를 사용된 diamine의 입체화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 PDF

Syntheses and Spectroscopic properties of Palladium(II) Complexes with Bidentate Aminophosphine of N,N-Dialkyl-N'-diphenylphosphinodiaminoethane

  • Doh, Myung-Ki;Kim, Bong-G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4호
    • /
    • pp.198-202
    • /
    • 1988
  • Several new palladium(II) complexes of aminophosphines, $(Pd(L)X_2)$, (L = $Ph_2PNH$ ++ $NR_2$; R = $CH_3(L_1)$, $C_2H_5(L_2)$ : X = Cl, Br, I, and NCS) that contain two different donor atoms of nitrogen and phosphorus as ${\pi}$-electron acceptor,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conductivity measurement, ir, and UV/Vis-spectra. For the dithiocyanatopalladium(II) complexes with aminophosphines,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ocyanate group trans to phosphorus is coordinated as Pd-NCS mode and the one trans to nitrogen as Pd-SCN mode, and the aminophosphines form six-membered chelate ring. The spectra of dihalogenopalladium(II) complexes with aminophosphines show that the band maxima are shifted to the short wavelengths as the concentration is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