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 제도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3초

환경가스조절 포장이 키토산 및 $CaCl_2$로 코팅 처리된 양송이 버섯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the Quality of Chitosan and $CaCl_2$ Co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 이진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08-1314
    • /
    • 1999
  • 버섯의 MAP 효과를 $CaCl_2$ 및 chitosan 코팅과 더불어 행하여 이들이 저장중 미치는 품질 변화 효과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포장 필름으로서는 PD941, PD961 및 기존의 램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구로는 물 세척 구를 선정하였다. 포장 내부의 공기조성을 살펴본 결과 모두 $1{\sim}3$일 사이에 최고의 $CO_2$ 농도에 도달하였으며 이후부터는 필름의 투과성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랩 포장구를 제외하고 코팅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보였다. $O_2$ 농도 역시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OTR에 의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어 다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크게 코팅제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많았다. 호흡률에 있어서 저장하기 전의 무 처리구와 대조구(물 세척구) 및 코팅 처리구는 $155{\sim}175\;mgCO_2/kg/hr$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랩 포장구$(143{\sim}181\;mgCO_2/kg/hr)$와 PD941$(142{\sim}169\;mgCO_2/kg/hr)$ 포장구 역시 6일 저장 후에도 시료구 간의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PD961 포장구의 호흡률은 $CaCl_2(245\;mgCO_2/kg/hr)$, 키토산$(226\;mgCO_2/kg/hr)$, 물 세척구$(192\;mgCO_2/kg/hr)$로 놀게 나타났으며, 이는 PD961 포장용 적내의 낮은 산소 농도로 6일 저장후에도 신선도가 유지되어 호흡이 왕성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숙도는 코팅과 포장필름의 가스투과도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같은 포장재 처리 시료구 간의 비교를 해봤을 때 랩, PD941은 물 세척구는 모두 3.9, $CaCl_2$ 처리구는 각각 3.6, 4.4로 모두 숙도가 진행되어진 반면 키토산 처리구는 2.9, 2.5 이들보다 낮은 값을 유지하고 있었다. PD961 포장 처리구는 최종 숙도가 1.25로 초기와 큰 차이가 나지 많았다 따라서 버섯에 있어서 외형의 보존효과는 코팅효과도 가능하나 포장재의 선택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키토산 코팅처리구는 포장재 전반적으로 대조구나 $CaCl_2$처리 시료구에 비하여 낮은 L 값을 보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Delta}E$ 값도 다른 시료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여 키토산 코팅 처리는 버섯의 색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중량 감소는 램 포장구에서 많이 일어났으며 PD961은 10% 이하의 중량감소율을 보인다. 본 실험 결과로 보아 버섯 저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포장 재질과 코팅제의 선택이라고 사료된다.

  • PDF

항암 면역 치료제에 관한 최근 임상 정보 (Updates to Clinical Information on Anticancer Immunotherapy)

  • 최은주;양재욱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5-75
    • /
    • 2018
  • Objective: Over the last several years, immunotherapy has become one of the most promising therapeutic options for cancer.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updates on cancer immunotherapy focusing on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such as programmed cell death-1 (PD-1), programmed death-ligand 1 (PD-L1), and cytotoxic T-lymphocyte-associated antigen 4 (CTLA-4) inhibitors, which have received attention as new anticancer therapeutic agents. Methods: A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on PubMed to identify high-impact papers on cancer immunotherapy from 2010. The most recent data on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have been included highlighting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to recently approved immunotherapeutic agents. Results: In various cancers, immune checkpoints are a means for cancer cells to evade the immune system. Furthermore, CTLA-4 and PD-L1 can be overexpressed, allowing malignant cells to evade T-cells. Numerous clinical trials have been performed to seek appropriate indication of these products in various cancer types. Among them, the most conspicuous types are melanoma, non-small-cell lung cancer, and head and neck cancer. The approval of ipilimumab by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commenced a new era of cancer immunotherapy. This was followed by the approval of nivolumab and pembrolizumab. Currently, combination therapies are being investigated for various cancer type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reviewed recently reported scientific and clinical evidence for currently approved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Although these novel checkpoint inhibitors are ever evolving for cancer therapies, there exist limitations that need to be overcome, indicating the necessity for further studies aiming to improve their efficacy, toxicity, and cost.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소나무(Pinus densifiora Sieb. et Zucc.)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 임용숙;박경남;배만종;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62-468
    • /
    • 2001
  • 천연성 항균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 40mg/$m\ell$를 첨가한 TSB에서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 Bacillus subtilis KCTC 1021, Bacillus megaterium KCTC 3007 그리고 Vibrio parahaemolticus ATCC 17802는 대조구에 비해 4에서 6 log cycle 그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Saimonalla typhimurium ATCC 14028 와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21541는 그 성장이 억제되지 않았다. 소나무 추출액의 식품 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 40mg/$m\ell$, 120mg/$m\ell$를 첨가하며 돈육 분쇄육 저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소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돈육 분쇄육 저장성 실험을 위해 pH, 총균수, 대장균수, 내냉성균수, gram 음성 균수를 측정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pH 측정결과, 저장 20일에 대조구는 육의 부패 수준인 5.88로 육이 부패됨을 알 수 있었으나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 처리구의 pH는 거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육의 부패를 지연시킴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소나무 에탄올 추출액 첨가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균증식 억제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내냉성균수와 gram 음성 균수의 증식 억제도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쇄육에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하여 햄버거 패티를 제조 후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 40mg/$m\ell$ 첨가구의 맛, 향, 종합적 기호성을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분쇄육 저장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를 생산하는 새로운 효모의 선별 및 저해물질 최적 생산조건 (Screening New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Producing Yeast and Optimization of Production Condition)

  • 강민구;김하근;이성훈;임성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4-197
    • /
    • 2011
  • 항고혈압 효능이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고혈압 예방 소재를 개발하고자 한국 식품연구원에서 분리, 동정한 48종의 효모들의 PD broth 배양 농축물들을 대상으로 angiotensin 전환효소(ACE) 저해활성을 조사하여 활성이 우수한 효모들을 선정한 다음 ACE 저해물질의 생산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Saccharomyces cerevisiae Y183-3 균주의 PD broth 배양 농축물이 71.8%의 가장 높은 ACE 저해활성을 보여 최종 우수 균주로 선발하였다. 그리고 이 Y183-3 효모를 $30^{\circ}C$에서 36시간 PD broth에 배양했을 때 ACE 저해물질이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해상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중량물의 Tagline 제어를 위한 다물체계 동역학 시뮬레이션 및 실험 (Multibody Dynamic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Study on the Tagline Control of a Cargo Suspended by a Floating Crane)

  • 구남국;이규열;권정한;차주환;함승호;하솔;박광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3-2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해상 크레인이 인양하는 중량물의 운동 감쇠를 위하여 Tagline을 이용한 PD제어를 수행하였다. 해상 크레인 및 중량물을 각각 6자유도 운동을 하는 강체로 가정하고 뉴턴의 제 2법칙에 따라 운동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중량물의 운동을 감쇠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으로 Tagline을 사용 하였고, 해상 크레인의 Deck에 설치한 Winch로 Tagline의 장력을 조절하였다. 장력을 조절하는 제어 알고리즘으로는 PD제어를 사용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치적 제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1/100 Scale의 모형 해상 크레인을 제작하고 실험을 통해 제어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검증 하였다. 제어 시뮬레이션과 모형 시험 수행 결과 Tagline을 이용한 제어가 중량물의 운동을 감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륜 이동로봇의 균형 제어를 위한 시간지연 제어기의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f a Time-delayed Controller for Balancing Control of a Two-wheel Mobile Robot)

  • 조성택;정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3-2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두 바퀴 구동 이동로봇(이륜이동로봇)의 균형제어에 대해 논한다. 이륜이동로봇은 두 바퀴로 구동되며 균형을 유지하면서 목표점으로 이동하는 이동로봇이다. 선형제어기인 PD제어기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지만 강건한 제어를 위해서 비선형제어인 시간지연제어기를 사용하였다. PD제어기와 시간지연 제어기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이륜이동로봇에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로봇의 각도를 위해 시간지연제어방식, 위치제어를 위한 시간지연제어방식, 그리고 각도와 위치 제어를 위한 시간지연제어 방식 등 3가지로 나누어서 실험을 시행하였다. 제어기의 이득값을 달리하며 실험을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항암작용 가능성이 있는 10-Membered Enediyne의 선구물질인 14-Membered Phenylthio Enediyne Lactone의 합성 (Synthesis of 14-Membered Phenylthio Enediyne Lactone : A Precursor of the Potential Enediyne Antitumor Antibiotics)

  • 김기동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3-110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10-membered enediyne(6)의 선구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14-membered phenylthio enediyne lactone을 성공적으로 합성할 수 있었다. 14-membered lactone은 Ireland-Clasisen rearrangement에 의해 10-membered enediyne(11)으로 변환되며 이물질(11)은 최종물질(8)로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14-membered enediyned lactone(23)은 DCC/PTSA/Pyridine 하에 enediyne hydroxyl acid(22)의 락톤화 반응에 의해 합성되었다. Enediyne hydroxyl acid는 Pd(0) 촉매하에 methyl pentynoate(19)와 enyne alcohol(17)을 cis-1,2-dichloroethylene과 연속적으로 coupling 반응을 하여 좋은 수득율로 얻을 수 있었다. 그 때 필요한 enyne alcohol(17)은 vinyltin(12)을 출발물질로 하여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 PDF

전이금속-Zeolite Y 촉매에서의 n-Butane 및 1-Butene의 반응 (Reactions of n-Butane and 1-Butene on Transition-Metal-Zeolite Y Catalysts)

  • 전학제;박상언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22-426
    • /
    • 1977
  • Zeolite Y를 합성하여 Co, Ni 및 Pd 이온으로 이온교환하고 수소기류중에서 환원함으로서 전이금속-Zeolite Y 촉매를 얻었다. 이들 Co-, Ni-, Pd-Y와 La-이온교환한 Y(LaY) 촉매에서의 1-butene 및 n-butane의 분해반응을 micro-catalytic pulse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1-Butene 분해반응에 있어서는 Ni-, Co-, Pd-Y 및 LaY 모두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고 1-butene 분해반응에 대한 활성은 촉매상의 금속성분과는 큰 관계없이 산성 성분만이 주로 관련되고 있는것 같다. LaY에서는 $400^{\circ}C$에서 n-butane 분해반응에 대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소량의 1-butene을 가함으로써 분해반응이 촉진되었다. Ni- 및 Pd-zeolite Y에서는 n-butane의 분해반응이 현저하게 일어났다. 분해반응에 대해서는 수소에 의한 환원온도가 높고 또 금속성분 함량이 많은 것이 활성이 높았다. n-butane 분해반응에 있어서는 금속성분에서의 butene으로의 탈수소반응이 첫 단계인 것으로 본다. Ni-Y에서는 1-butene과 수소 혼합반응물 및 n-butane의 분해생성물이 모두다 C_1$뿐이었다. n-butane은 Ni-Y에서는 butene으로 탈수소되고 이어서 C_1$으로 hydrocracking 되는 반응과정을 밟고 있다고 본다.

  • PDF

Renal epithelial cells에서 oxidant에 의한 apoptosis에 미치는 황금(黃芩)의 영향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 on Oxidant-Induced Apoptosis in Renal Epithelial Cells)

  • 이동준;윤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5-85
    • /
    • 2004
  • 목적 : 黃芩(황금)과 黃芩(황금)의 주요 flavonoid 성분인 baicalein이 신장세뇨관 상피세포에서 산화제에 의한 apoptosis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신장세뇨관 상피세포주인 opossum kidney (OK) 세포를 유기산화제인 t-butylhydroperoxide (tBHP)에 노출시켜 apoptosis를 일으킨 후 관련된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tBHP는 농도에 의존하여 apoptosis를 유발시켰는데, 이러한 효과는 黃芩(황금)과 baicalein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방지 되었다. tBHP에 의한 OK 세포사는 항산화제인 Trolox와 N-acetylcysteine에 의해 방지 되었다. tBHP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subfamily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를 활성화시켰다. ERK 억제제인 PD98059와 U0126은 tBHP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였다. tBHP에 의한 ERK 활성화는 U0126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黃芩(황금)과 baicalein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철착염제인 deferoxamine은 tBHP에 의한 세포 사망과 ERK 활성화를 방지하였다. tBHP에 의한 세포 사망은 casopase 억제제인 BOD-U-FMK와 zDEVD-FMK에 의해 방지되었다. 결론 : 黃芩(황금)은 산화제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는데, 이는 kinase 억제, 항산화제 역할 및 철착염제의 작용에 기인하지 않았다. 黃芩(황금)의 이러한 효과는 산화제에 의관 신부전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

Matlab을 이용한 유압모터-부하계의 위치제어 (Position Control of Hydraulic Motor-Load System using Matlab)

  • 이명호;박형배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76-8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n effective control system for a hydraulic motor-load system using matlab. The Hydraulic control system consists of a hydraulic pump, a hydraulic proportional control valve, hydraulic pipelines, a hydraulic motor and a load system. The simulation models were verified by 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with measured data from the real hydraulic proportional position control system. In order to compensate the nonlinear friction characteristics in a hydraulic motor-load system, a discrete time PD controller and Friction torque observer has been appl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