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L-5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1초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봉합술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pair)

  • 김경택;손성근;김철홍;강민수;이철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1
    • /
    • 2007
  • 목적: 후방 십자 인대의 골편을 포함하지 않은 대퇴 부착 부 견열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일차 봉합술의 추시 결과를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봉합술을 시행한 13례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8.7{\pm}11$개월이었다. 평균 나이는 $28.2{\pm}6$세로 남자 8례, 여자 2례였다. 모든 예에서 최종 추시 시 Lysholm and Gillquist 점수 및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criteria를 이용하여 평가 하였으며, 후방 전위 검사로 후방 불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후방 부하 측면 방사선 사진으로 경골의 후방 전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Lysholm and Gillquist 점수는 평균 $94.5{\pm}2.6$,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criteria에 따른 결과는 4례에서 A(normal), 6례에서 B(nearly normal)이었다. 후방 전위 검사 상 5례에서 grade I의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으며, 5례에서 grade II의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다. 후방 부하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경골의 후방 전위는 평균 $3{\pm}2.3mm$ 이었다. 결론: 후방 십자 인대의 골편을 포함하지 않은 대퇴 부착 부 견열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일차 봉합술은 후방 불안정성을 줄이고 기능적 회복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이중고리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 - 예비 보고 - (Anatomic Double-Bund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Allograft - Preliminary Report -)

  • 임홍철;유재철;한상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3
    • /
    • 2002
  • 목적 : 후방십자인대 손상과 치료에 대한 기전과 처치 및 재건에 대한 여러 가지 술식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이중 고리 아킬레스 동종이식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본원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수술한 후방십자인대 손상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아킬레스 동종이식건으로 만든 두 개의 건 다발을 이용하여 대퇴골측은 대퇴골 이중 터널(dual femoral tunnel) 방법으로 고정하였고, 경골측은 한 개의 터널로 고정하는 관절경적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이상 추시 관찰하였으며, 결과는 Lysholm Knee Score와 KT-2000관절 계측기를 이용한 도수 최대 전위 검사법으로 건측과 비교하여 안정성 여부 및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8명을 1년 이상 추시한 결과 이식건 파열이 관찰되었던 한 례를 제외하고는 불안정성을 보이지 않았다. 술 후 감염 등의 중대한 합병증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으며 다만 한 예에서 술 중 이식골의 골절이 있었고 다른 한 예에서 술 후 부적절한 보호로 인한 이식건의 파열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후방십자인대 손상에 대한 아킬레스 동종이식건으로 만든 두 개의 건 다발을 이용한 대퇴골 이중 터널 고정술은 이전의 방법들에 비해 생역학적으로 안정적인 방법으로 간주되나 보다 장기적인 추시 관찰 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래를 이용한 발효주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Manufacturing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ine using Hardy Kiwi Fruit (Actinidia arguta))

  • 박경록;홍성욱;김영준;김수재;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7-334
    • /
    • 2013
  •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다래를 이용하여 발효주의 제조공정을 확립하였다. 다래과실의 수율 향상을 위하여 후숙기간을 5일로 정하고, 효소제 처리는 0.1% cytolase PCL5를 2시간 처리하였을 때 과즙 수율이 53.5%로 무처리구보다 약 2.4배나 수율이 증가하였다. 다래 발효주 제조시 강한 신맛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산처리는 0.1%(w/v) $CaCO_3$를 최적농도로 선정하였다. 다래과실을 파쇄한 후, 각각 가수하여 25%(v/w) 처리구(hardy kiwi wine 25)와 50%(v/w) 처리구(hardy kiwi wine 50)를 준비하였다. 각각 처리구에 설탕을 첨가하여 $24^{\circ}brix$ (252 g/l)로 보당하였고 0.1%(w/v) $CaCO_3$, 0.1%(v/v) cytolase PCL5 효소제, 메타중아황산 칼륨(200 ppm)을 첨가한 후, 주모($1.5{\times}10^7$ cell/ml)를 접종하여 $20^{\circ}C$에서 2주 동안 발효하였다. 숙성은 $4^{\circ}C$에서 8주 동안 진행하면서 다래 발효주의 pH와 총산도는 각각 pH 3.4-3.7과 1.12-1.21%로 유지하였다. 알코올 함량과 환원당은 14.3-14.4%와 15-16 g/l로 유지하였다. 다래 발효주의 주요 유기산과 유리당은 citric acid (6.6-6.7 g/l)와 fructose (2.5-2.7 g/l)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phenethyl alcohol, ethyl acetate, acetaldehyde 등이 검출되었다. 다래 발효주의 관능평가 결과, 맛과 향, 종합적인 기호도 모두 hardy kiwi wine 50에서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유화-확산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ε-카프로락톤) 나노/마이크로캡슐의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Properties of Poly(ε-caprolactone) Nano/Microcapsules Prepared by Emulsion-diffusion Method)

  • 김혜인;정천희;박수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9-238
    • /
    • 2010
  • Poly($\varepsilon$-caprolactone) nano/microcapsules(nmcPCL) containing phytoncide oil were synthesized by emulsion diffusion method using ethyl acetate and poly(vinyl alcohol) (PVA) as an organic solvent and an emulsion stabilizer respectively. The influence of the degree of saponofication of the PVA and the weight ratio of core to wall materials was investigated to design nanocapsules in terms of particle size, morphology, and emulsion stability. The encapsulated nmcPCL were characterized by FT-IR spectrometry, particle size analyz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ean size of nanocapsules prepared with PVA with a degree of saponofication of 87% was smaller than those of PVA with a degree of saponofication of 98.5% and the mean particle size of the capsu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re/shell ratio.

자가 또는 동종 이식물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의 결과 (The Result of the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Autogenous or Allogenous Graft)

  • 전재균;김의순;최보열;윤창훈;이정웅;선두훈;문명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4-79
    • /
    • 2001
  • 목 적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로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임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추시상 후방 불안정의 재발 여부와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 및 동종 이식물을 이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본원에서 수술 치료한 총 34례의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환자 중에서 전외측 다발만을 관절경적으로 재건술을 시행하고 12개월 이상 최종 추시가 가능했던 25례 중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1례를 제외한 24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4례 중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군(11례),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I군(7례),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II군(6례)으로 하였다. 평가 방법은 24례 모두를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knee ligament standard evaluation form,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하여 세 집단을 비교하였으며 전 후방 안정도의 측정을 위해서 $KT-2000^{TM}$ knee ligament arthrometer MED metric, USA(KT-2000)를 사용하였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검정법을 이용하여 세 집단을 비교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 IKDC 최종 평가상 B(거의 정상)이상은 전체 24례 중 11례$(46\%)$로 만족스러운 결과는 아니었고, KT-2000으로 측정시 양측 비교하여 6mm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는 제 I군 4례$(36\%)$, 제 II군 2례$(29\%)$, 제 III군 2례$(33\%)$에서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다.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한 평가 결과는 제 I군이 평균 78점 (fair), 제 II군이 75점(fair), 제 III군이 76점(fair)이었다. 재료에 따른 각 군간의 객관적, 주관적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시 불안정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단독 손상을 제외하고는 관절경적 재건술이 보편화 되는 추세이나, 보다 정확한 수술 술기와 동반 손상에 대한 치밀한 치료 계획이 요구되며, 새로운 시도와 그에 따른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골 Inlay 방법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합병증 (Complications of PCL Reconstruction using Tibial Inlay Technique)

  • 김명호;박희곤;유문집;변우섭;심상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8-133
    • /
    • 2004
  • 목적: 경골 Inlay 방법으로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합병증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4년 1월까지 경골 Inlay방법으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57명 58예를 대상으로 수술의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남자가 50명, 여자는 7명이며, 평균 연령은 35세(15$\~$73세)였다. 후방 십자 인대 단독 손상은 28예, 슬관절내 동반 손상이 있는 경우가 30예였다. 원인 별로는 교통 사고가 39예로 가장 많았고, 운동 손상이 7예, 넘어진 손상이 7예, 기타 5예였다. 추시 검사는 술 후 4주, 3개월, 6개월, 1년째 외래 방문을 하게 하였다. 분석 방법은 슬관절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KT-2000TM 슬관절 계측기 및 긴장 방사선 촬영을 사용하였고, Lysholm Knee Score와 임상적 합병증을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전 Lysholm Knee Score는 평균 43.2점에서 최종 추시상 87.9점으로 향상되었다 $KT-2000^{TM}$ 슬관절 계측기 검사 상 수술 전 평균 8.75 mm(6.2$\~$l4.3 mm)에서 최종 추시상 3.41 mm (2.1$\~$l0.6 mm)로 향상되었다. 수술 중 합병증으로 슬와 동맥 파열과 동반된 구획 증후군이 1예에서 발생되었으며, 슬개골 골절 1예, 20$^{\circ}$ 이상의 굴곡 운동 범위 감소가 2예, 근위 경골부의 고정 나사가 경골 전면부에 돌출되는 경우가 2예에서 있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동요 관절이 11예, 슬개골 골절이 1예, 슬관절의 신전 운동 범위 제한이 5예 및 굴곡 운동 범위 제한이 13예에서 관찰되었으며, 슬관절 주위 통증 21예, 무릎을 꿇을 때 통증이 8예 관찰되었다 결론: 경골 Inlay 방법으로 자가 골-슬개건 -골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되어 수술 및 수술 후 재활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Synthetic Polyester Prosthetic Ligament 보강술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 (Treatment of Ruptur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using Augmentation of the Synthetic Polyester Prosthetic Ligament)

  • 손승원;전시현;박진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1-125
    • /
    • 2002
  • 목적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서 synthetic polyester ligament를 이용한 관절경적 보강술을 시행한 후 임상 결과 및 방사선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synthetic polyester ligament(ABC ligament, Surgicraft, U.K )를 이용하여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60예를 대상으로 후방 부하 방사선 촬영 및 KT-2000관절계측기를 이용하여 후방 안정성에 대해 평가를 하였고, Lysholm knee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후방 부하 방사선 촬영상 후방 전위의 정도는 건측에 비해 술 전 평균 13.2 mm에서 술 후 평균 3.6 mm로 개선되었고, KT-2000 관절계측기를 이용한 검사상 후방 전위는 건측 평균 3.2 mm, 환측 평 균 3.9 mm이었고, Lysholm knee score는 술 전 평균 49.2점에서 술 후 평균 84.3점으로 평균 33점 증가하였다. 결론 : synthetic polyester ligament를 이용하여 손상된 후방 십자 인대를 관절경적 보강술로 치료하고 장기 추시 관찰하여 자가 이식건을 이용한 경우의 임상적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 인조 인대 보강술은 하나의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 PDF

남아 있는 인대를 보존하고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 김영진;채수욱;김종윤;김병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4-60
    • /
    • 2011
  • 목적: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 파열시 잔존하는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10년 3월까지 후방십자인대 완전 파열로 진단되어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는 3년 7개월(1년~6년 4개월)이었다. 수술시 연령은 평균 31.5세 이었으며, 성별은 남자가 14례, 여자가 8례였다. 운동 가능 범위, 후방 전위 검사, Telos stress 방사선 검사,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ittee (IKDC)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서 술 후 기능 평가, 2차적 관절경 검사 등을 시행하여 주관적 및 객관적 지표로 삼았다. 결과: 슬관절 안정성에 대한 이학적 검사인 후방 전위 검사, 최종 추시 시에 후방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core 등은 통계학적 의의가 있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파열시 잔존하는 인대의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은 양호한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 회복을 얻을수 있는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감탕나무속(Ilex L.) 식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A Numerical Taxonomy of Korean Ilex (Aquifoliaceae))

  • 황승현;박선주;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01-418
    • /
    • 2007
  • 한국산 감탕나무속 식물 8분류군 24집단으로부터 32개의 형태형질을 조사하였고, 수리분류학적분석을 실시하여 속내 분류군들의 한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주성분분석결과, 주성분 1, 2, 3이 전체분산값 기여도의 67.0%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분산값에 대한 기여도는 주성분 1, 2, 3이 각각 31.5, 21.1, 14.4%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주성분 분석 1, 2, 3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형질들은 꽃받침, 꽃잎, 약, 암술 및 열매의 형태 등의 생식형질과 엽병과 엽연의 형태, 소지의 모용, 잎의 지속성 등의 영양형질 등으로 나타났다. 주성분적재값을 기초로 2차원 공간배열을 실시한 결과, 한국산 감탕나무속은 감탕나무, 호랑가시나무, 완도호랑가시나무, 먼나무, 대팻집나무와 민대팻집나무, 그리고 꽝꽝나무와 좀꽝꽝나무로 6개의 유집군을 형성하였다. 주성분분석결과, 취급된 분류군들은 종 집단간의 비교적 명확한 한계를 보이며 독립적인 배열을 나타내어 수리분류학적 연구는 감탕나무속 분류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리분류학적 연구결과에 의한 형태학적 식별형질을 기초로 새로운 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Biomimetic characteristics of mussel adhesive protein-loaded collagen membrane in guided bone regeneration of rabbit calvarial defects

  • Song, Woong-Kyu;Kang, Joo-Hyun;Cha, Jae-Kook;Lee, Jung-Seok;Paik, Jeong-Won;Jung, Ui-Won;Kim, Byung-Hoon;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8권5호
    • /
    • pp.305-316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compatibility and barrier function of mussel adhesive protein (MAP)-loaded collagen membranes in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Methods: Eight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used. Four circular defects (diameter: 8 mm) were created in the calvarium of each animal. The def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1) a negative control group, 2) a cyanoacrylate (CA)-loaded collagen membrane group (the CA group), 3) a MAP-loaded collagen membrane group (the MAP group), and 4) a group that received a polycaprolactone block with MAP-loaded collagen membrane (the MAP-PCL group). Specimens were harvested at 2 weeks (n=4) and 8 weeks (n=4) postoperatively for observational histology and histometric analysis. Results: In the histologic analysis, MAP was completely absorbed without any byproducts. In contrast, some of the CA adhesive remained, showing an inflammatory reaction, at 8 weeks. In the MAP-PCL group, the MAP-loaded collagen membranes served as a barrier membrane despite their fast degradation in GB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mount of new bone between the MAP-PCL and MAP groups ($1.82{\pm}0.86mm^2$ and $2.60{\pm}0.65mm^2$,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MAP-loaded collagen membrane functioned efficiently in this rabbit calvarial GBR model, with excellent biocompatibilit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ssess clinical applications in defect types that are more challenging for GBR than those used in the current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