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남아 있는 인대를 보존하고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 Kim, Yeung Jin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 Chae, Soo Uk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 Kim, Jong Yun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 Kim, Byung Soo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김영진 (원광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 채수욱 (원광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 김종윤 (원광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 김병수 (원광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Puropse: To evaluate the outcome of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allograft tendon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or elongated ligame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4 to March 2010, we performed PCL reconstruction with Achilles tendon allografts in 22 complete rupture patients. Mean age was 31.5 years. 14 cases were male and 8 cases were femal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 years and 7 months, range from 1 year to 6 years and 4 months. Subjective and objective parameters were utilized in analyses, such as the mean range of motion, post. drawer test,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core,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Results: Postoperative Lysholm knee score, IKDC scores, Tegner activity scale, and posterior displacement by the Telos stress test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tate. Conclusion: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allograft tendon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and posterior stability.

목적: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 파열시 잔존하는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10년 3월까지 후방십자인대 완전 파열로 진단되어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는 3년 7개월(1년~6년 4개월)이었다. 수술시 연령은 평균 31.5세 이었으며, 성별은 남자가 14례, 여자가 8례였다. 운동 가능 범위, 후방 전위 검사, Telos stress 방사선 검사,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ittee (IKDC)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서 술 후 기능 평가, 2차적 관절경 검사 등을 시행하여 주관적 및 객관적 지표로 삼았다. 결과: 슬관절 안정성에 대한 이학적 검사인 후방 전위 검사, 최종 추시 시에 후방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core 등은 통계학적 의의가 있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파열시 잔존하는 인대의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은 양호한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 회복을 얻을수 있는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