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ult of the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Autogenous or Allogenous Graft

자가 또는 동종 이식물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의 결과

  • Chon Je-Gy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 Kim Eui-S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 Choi Bo-Ye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 Yoon Chang-H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 Lee Jeong-Wo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 Sun Doo-H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 Moon Myung-Sa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and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using BPTB(bone patellar tendon bone) autograft(Group I : 11 cases), Achilles tendon allograft(Group II : 7 cases) and BPTB allograft(Group 111.6 case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the result of 24 patients who had been managed with arthroscopic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graft materials such as BPTB autograft, Achilles tendon allograft and BPTB allograft. Twenty-four patients(average age, 37 years) with PCL rupture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more than one year(average, 31 months) after having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IKDC ligament standard evaluation form, using $KT-2000^{TM}$ knee ligament arthrometer and also evaluated Lysholm knee scoring scale. Results : The final evaluation was nearly normal in 11 patients($45\%$ in Group I, $43\%$ in Group II, $50\%$ in Group III). The corrected posterior sagging was abnormal(side to side difference more than 6mm) in 8 patients($36\%$ in Group I, $29\%$ in Group II, $33\%$ in Group III).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by IKDC scale. Conclusion : Comparing with other reports, our overall results were not satisfactory. And also, we could not find any remarkable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evaluate new surgical approaches as well as improved techniques for capsular and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목 적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로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임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추시상 후방 불안정의 재발 여부와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 및 동종 이식물을 이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본원에서 수술 치료한 총 34례의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환자 중에서 전외측 다발만을 관절경적으로 재건술을 시행하고 12개월 이상 최종 추시가 가능했던 25례 중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1례를 제외한 24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4례 중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군(11례),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I군(7례),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를 제 III군(6례)으로 하였다. 평가 방법은 24례 모두를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knee ligament standard evaluation form,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하여 세 집단을 비교하였으며 전 후방 안정도의 측정을 위해서 $KT-2000^{TM}$ knee ligament arthrometer MED metric, USA(KT-2000)를 사용하였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검정법을 이용하여 세 집단을 비교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 IKDC 최종 평가상 B(거의 정상)이상은 전체 24례 중 11례$(46\%)$로 만족스러운 결과는 아니었고, KT-2000으로 측정시 양측 비교하여 6mm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는 제 I군 4례$(36\%)$, 제 II군 2례$(29\%)$, 제 III군 2례$(33\%)$에서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다.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한 평가 결과는 제 I군이 평균 78점 (fair), 제 II군이 75점(fair), 제 III군이 76점(fair)이었다. 재료에 따른 각 군간의 객관적, 주관적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시 불안정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단독 손상을 제외하고는 관절경적 재건술이 보편화 되는 추세이나, 보다 정확한 수술 술기와 동반 손상에 대한 치밀한 치료 계획이 요구되며, 새로운 시도와 그에 따른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