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제품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5초

할인점 PB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와 선호도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Perceived Value and Preference toward the Private Brand of the Discount Store)

  • 김종의;한동여;김소리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5-56
    • /
    • 2006
  • PB제품은 NB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 때문에 주로 경제성 추구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가의 프리미엄급 PB제품도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PB제품의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제품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과연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PB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품질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둘째, PB제품의 지각적 품질과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가 PB제품 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PB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한 후 PB에 대한 마케팅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 하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PB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풍부하고, PB제품을 사용해 본 후 만족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PB제품의 품질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유통업체의 점포이미지는 PB제품의 품질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PB제품의 지각적 품질과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모푸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이 금전효용가치보다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B제품 선호도에는 동일 점포에 입점되어 있는 NB제품의 경쟁력(부의 영향), PB제품 경험 후 태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 그리고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PB제품의 선호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PB제품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라 하더라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수준 여하에 따라 PB제품의 판매가치가 크다고 지각될 때에만 PB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PH의 연구자와 유통업계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형할인점 PB제품 속성이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the PB Products attribute of the Large-sized Discount Stores on the Consumer Attitude and the Purchase Behavior)

  • 한동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51-60
    • /
    • 2015
  • 최근 대형할인점을 중심으로 PB제품의 매출액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요즈음은 고가의 프리미엄 PB제품이 등장하면서 유통업체의 매출액이 급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PB제품의 어떤 속성이 PB제품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PB제품의 속성요인으로 점포이미지, 지식 및 정보, 품질지각, 경제적 가치 등이 PB제품 경험 후의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PB제품의 경험 후 태도가 구매행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는 PB제품의 다양한 속성 중에서 점포이미지, 정보 및 지식, 경제적 가치 등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PB제품 경험 후의 태도는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PB제품의 구매선호도 영향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B(Private Brand) Products Preference)

  • 박영근;김창완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9권
    • /
    • pp.189-201
    • /
    • 2002
  • 최근 유통시장의 개방과 외국의 대형 유통업체의 국내 진출과 대형 도 소매점의 등장등으로 인해 국내외 유통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IMF 체제 이후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실용적이고, 합리적이며 가치 지향적인 구매 행동이 증대되고 있고, 제품의 가치를 고려해서 보다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려는 계획구매가 증가하고 있다. NB제품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경쟁우위만을 지니고 있던 과거의 전통적인PB 제품개념과는 달리 품질면에서 NB와 유사하거나 혹은 그보다 더 월등하면서도 가격면에서는 다소 저렴한 PB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PB제품은 수입 및 라이센스 브랜드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고객의 욕구에 대한 탐색 및 개발전략도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으로는 PB제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선택한 변수 들, 즉 가격의식성, 정보탐색 경험 품질지각 등이 PB제품 구매선호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PB제품의 실제 구매경험이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자료들을 토대로 연구가설들을 실증분석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PB제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대형 도 소매업체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PB제품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하이테크 신제품 구매에 있어 브랜드 혹은 성능 위주의 제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연구

  • 김상훈;임재연;박현정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65-19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하이테크 제품 선택에 있어 브랜드와 제품 성능의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는데 있다. 영향 요인들은 크게 제품 요인과 소비자 요인으로 분류하였는데, 제품 변수로는 제품의 평가 용이성과 제품의 혁신성을 고려하였고, 소비자 요인으로는 소비자 관여도, 소비자 지식, 소비자 혁신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제품의 쾌락성/이성성 정도와 제품의 노출 정도에 의해 4가지 제품군으로 분류하여, 제품의 유형이 변수들의 영향력에 미치는 조절적 역할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대한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테크 제품 전반적으로 소비자 혁신성, 소비자 지식, 제품 평가의 용이성, 제품의 혁신성이 제품 선택에 있어서 브랜드의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지식수준이 낮을수록, 소비자 혁신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평가 용이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혁신성이 낮을수록 브랜드 위주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의 쾌락성 정도에 따라서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달라지는데, 쾌락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나, 실용재의 경우에는 제품 평가의 용이성과 제품 혁신성, 그리고 소비자 혁신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의 노출 정도에 따라서 공공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 제품 평가 용이성, 제품 혁신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개인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지식과 제품 평가 용이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PB제품의 선호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PB제품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라 하더라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수준 여하에 따라 PB제품의 판매가치가 크다고 지각될 때에만 PB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PH의 연구자와 유통업계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가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다. 먼저, 대형유통점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감독과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지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

  • PDF

유통업체의 기업이미지가 PB제품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Distributor's Corporate Image on Consumer Behavior Towards PB Products)

  • 김문정;오영애;김기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4호
    • /
    • pp.83-91
    • /
    • 2011
  • 유통산업의 세계화와 경쟁격화로 유통업체 상표(Private Brand: PB)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유통업체 상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선행요인들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유통업체의 이미지가 PB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소비자의 직업에 따라 PB제품에 대한 지각된 품질에 차이는 어떠한지 확인하였다. 셋째, PB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직업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통업체의 이미지를 확인하고자 요인분석 결과 윤리성, 신뢰성, 안정성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요인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윤리성과 안정성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신뢰성은 PB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통업체의 기업이미지가 PB제품에 대한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안정성은 PB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윤리성과 신뢰성은 PB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통업체의 기업이미지가 PB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에서는 윤리성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성과 안정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의 직업에 따른 PB제품의 지각된 품질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유통업체를 가장 활발하게 이용하는 주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대학생 그리고 직장인 순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소비자의 직업에 따라 PB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한 결과, PB제품에 대한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세미나 - PB의 브랜드.패키지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and and package design for private brand)

  • 정성환
    • 월간포장계
    • /
    • 통권248호
    • /
    • pp.94-104
    • /
    • 2013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는 학문적, 사회적 발전을 위한 연구, 학술 단체로서 국가와 기업의 효과적 브랜드 구축을 위한 연구와 학술발표 및 사회현장에서의 브랜드 및 브랜드디자인의 실질적 사례발굴과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제27호에 게제된 내용이다. 연구 목적은 온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많은 유통업체에서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PB브랜드, 상품, 패키지의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대형 마트, 대형 마트의 전체 매출의 75%를 차지하고 3대 대형 마트의 그로서리(Grocery) 제품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 자료 등을 연구 분석하고 PB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고 결론에 도달하였다. 연구를 통해 PB가 변화하고 있는 유통환경, 소비환경, 소비자의 의식에서 대응하고 PB의 순기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제품 패키지 디자인의 큰 변화의 요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B가 가격 할인이라는 경쟁력만으로 강력한 NB들과 자사의 한정된 유통공간에서 경쟁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PB가 가지고 있는 한계는 대부분 관여도가 낮은 Me-too 제품으로 저렴한 가격을 유지해야 하며 적극적인 프로모션 활동에 제한이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PB브랜드는 다양한 상품군을 제품의 속성, 가격 등을 중심으로 한 네이밍과 레터마트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NB브랜드에 비해 전략적인 부분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다. PB는 프리미엄 브랜드로의 필연적으로 확장되어야 하는데 반해 브랜드 전략에 한계가 있음도 확인하여 PB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은 전략적이고, 차별화된 메시지와 정보, 확장성을 고려한 디자인과 특정한 방법으로 제한된 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한 연구와 주관적인 제언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할인점 PB패션제품의 제품유형, POP 메시지 프레이밍, 인지종결욕구가 소비자의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POP Message Framing of Discount Stores and PB Fashion Product Types of Cognitive Need for Closure on Preference of Consumers)

  • 김경진;황선진
    • 복식
    • /
    • 제67권1호
    • /
    • pp.22-39
    • /
    • 2017
  • This study intend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cognitive need for closure, and type of fashion products on purchasing attitude of PB fashion products in discount stores. The design consisted of three-mixed design of 2(POP(Point of Purchase)message framing: benefit message vs. loss message) ${\times}2$(cognitive need for closure: high vs. low) ${\times}2$(PB fashion product type: utilitarian vs. hedonic).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30 men and women in 20~50's in Seoul and Gyeong-gi, and a total of 287 data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and three-way ANOVA, simple interaction effects and simple main effects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the framing type of POP message of discount store, cognitive need for closure, and PB fashion product type had significant effect o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consumers with both high and low cognitive need for closure had high preference level and purchase intention when they encountered the benefit message framing than the loss message framing. Thirdly, the benefit message fram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oss message framing for hedonic PB fashion products in discount stores, but utilitarian PB fashion products did not get affected by the message framing. Fourthly, it was identified that groups with both high and low cognitive need for closure preferred hedonic PB fashion products. Lastly, it was verified that benefit message framing POP advertisement on a group with high cognitive need for closure was effective for Hedonic PB fashion products in discount stores, and utilitarian PB fashion products showed no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POP message framing type and cognitive need for closure.

대형할인점의 점포속성과 PB 의류 제품속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oth store and private brand apparel product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t large discount stores)

  • 주성래;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1호
    • /
    • pp.143-157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both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at large discount stores,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each dimension of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on satisfaction with PB apparel products and on repurchase intension.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64 large discount store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buying PB apparel products at large discount sto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rchased PB items and image, improvement of PB apparel products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Second, the dimensions for store attributes were categorized as convenient of shopping environment, product quality, customer service, advertising reach, convenient location, and reasonable prices. The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were categorized as material handling management, quality, fashion ability, and brand power. Third, generally, both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at large discount stor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B apparel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PB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males were partly affected by store attributes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PB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of females, however, were partly affected by only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not store attributes.

유통업체 브랜드(PB)와 제조업체 브랜드(NB) 상품의 속성별 소비자 선호 분석 (A Study on Consumer's Preference on Private Brand and National Brand by Characteristics)

  • 황성혁;구자성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4호
    • /
    • pp.47-70
    • /
    • 2008
  • 현재 유통업체 매장에 출시된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과 이와 경쟁하는 제조업체 브랜드 상품 사이에서 소비자 선택은 무엇이며 이런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제품의 속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과 이와 경쟁하는 제조업체 브랜드 상품 사이에서 이를 선택하려는 소비자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제품의 속성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브랜드 차이에 따른 소비자 선호가 실제로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상품 구매 시 상품의 어떤 속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실제 소비자가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과 제조업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브랜드의 차이를 가지고 구매 행위를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이 제품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제품의 속성은 품질이었으며 브랜드(유통업체 브랜드 대 제조업체 브랜드)에 대란 속성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국내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 시 브랜드(유통업체 브랜드 대 제조업체 브랜드)에 대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은 유통업체 브랜드와 제조업체 브랜드의 제품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아직까지 소비자가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을 구매할 때 유통업체 브랜드를 제조업체 브랜드와 함께 고려 상표군(Consideration Brand Set)으로 아직까지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의 선호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좀더 많은 마케팅 노력과 차별화된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