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SEC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Physical Properties of Molecular Clouds in NGC 6822 Hubble V

  • Lee, Hye-In;Pak, Soojong;Oh, Heeyoung;Le, Huynh Anh N.;Lee, Sungho;Lim, Beomdu;Tatematsu, Ken'ichi;Park, Sangwook;Mace, Gregory;Jaffe, Daniel T.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66.4-66.4
    • /
    • 2019
  • NGC 6822 is a dwarf irregular galaxy whose metal abundance is lower than of the Large Magellanic Cloud. Hubble V is the brightest HII complex where molecular clouds surround the core cluster of OB stars. Because of its proximity (d = 500 kpc), we can resolve the star-forming regions on parsec scales (1 arcsec = 2.4 pc). Using the high-resolution (R = 45,000) near-infrared spectrograph, IGRINS, we observed molecular hydrogen emission lines from photo-dissociation regions (PDRs) and $Br{\gamma}$ emission line from ionized regions. In this presentation, we compare our data PDR models in order to derive the density distribution of the molecular clouds on parsec scales and to estimate the total mass of the clouds.

  • PDF

계층적 크리깅 모델을 이용한 설계 최적화 기법의 유용성 검증 (Feasibility Study of Hierarchical Kriging Model in the Design Optimization Process)

  • 하홍근;오세종;이관중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8-118
    • /
    • 2014
  • 근사모델을 이용한 최적설계 문제에서는 설계변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근사모델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한 계산 횟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정확도 모델을 바탕으로 고정확도 모델로 보정하는 Variable-Fidelity Modeling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Variable-Fidelity Model로는 계층적 크리깅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최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천음속 영역에 대한 익형 최적 설계를 하였다. 설계변수로는 PARSEC의 파라메터를 이용하였으며, 서로 다른 격자수를 가지는 경우 그리고 서로 다른 정확도를 가지는 해석자를 이용한 경우에 관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해 단일 정확도 모델에 대한 최적화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든 경우에 관하여 파레토 라인이 유사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계산시간은 계층적 크리깅 모델을 이용한 Variable-Fidelity Model이 단일 정확도 모델에 비하여 훨씬 줄어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방법이 단일 정확도를 가지는 모델에 대한 최적화 방법과 유사한 정확도를 가지며 더욱 효율적임을 확인 할 수 있다.

군소 성능요인을 고려한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 성능의 정밀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Distributed Shared Memory System Including Minor Performance Factors)

  • 박준석;전창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671-67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분산공유메모리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실행환경이 시스템의 전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한다. PARSEC[1,2]을 이용하여 분산공유메모리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을 실제 실행환경에 근접하게 모델링하고 그 모델링된 시스템상에 2D FFT를 가상 실행하는 방식의 시뮬레이션 결과, 일반적으로 성능분석을 할 때 성능요소로 고려하지 않는 군소 하드웨어 요소들이 시스템 구성에 따라 시스템의 전체 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밝힌다. 또한 반복순환 구문의 오버헤드, 코드최적화 등 실행조건에 따른 성능의 변화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 PDF

SMALL-SCALE REGULAR STRUCTURES IN SUPERNOVAE PROGENITORS

  • TSIOPA O. A.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215-216
    • /
    • 1996
  • The wind-formed features observed in the early SNe spectra type II and Ia give an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an ellipsoidal shell formed by the stellar wind prior to the explosion. Such non-spherical shell can occur not only at scales of parsec (the case of SN 1987 A progenitor), but at the scales of 1000 times less. Such shells can be the result of the radial pulsation. The prolate multi-shell structures are interpreted as a result of a pulsation processes with recurrent wind ejections with velocity increasing.

  • PDF

Formation of star clusters by cloud-cloud collision

  • Han, Daniel;Kimm, Taysun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68.3-68.3
    • /
    • 2019
  • We present the preliminary results on the formation of star clusters by cloud-cloud collision. For this purpose, we perform sub-parsec scale, radiation-hydrodynamic simulations of giant molecular clouds using a sink particle algorithm. The simulations include photo-ionization, direct radiation pressure, and non-thermal radiation pressure from infrared and Lyman alpha photons. We confirm that radiation feedback from massive stars suppresses accretion onto sink particles. We examine the collision-induced star formation and discuss the possibility on the formation of a globular cluster.

  • PDF

Optical Long-slit Spectroscopy of Parsec-scale Jets from DG Tauri

  • Oh, Heeyoung;Pyo, Tae-Soo;Yuk, In-Soo;Park, Byeong-Gon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69.1-69.1
    • /
    • 2015
  • Classical T Tauri star DG Tau is suggested as the driving source of parsec-scale jet which expands up to 650" (0.4 pc). To investigate the kinema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jet, we have obtained the optical emission lines of $H{\alpha}$, [O I] ${\lambda}{\lambda}$6300, 6363, [N II] ${\lambda}{\lambda}$6548,6584, and [S II] ${\lambda}{\lambda}$6716, 6731 from HH 158 ad HH 702. The radial velocity of HH 158 is in the range of -50 to $-250km\;s^{-1}$. For HH 702, located at 650" from the source, it shows ~ $-80km\;s^{-1}$. In HH 158, the electron density ($n_e$) close to the star is ${\sim}10^4cm^{-3}$ and it decreases to ${\sim}10^2cm^{-3}$ at 14" away from the star. Electron temperature ($T_e$) is decreasing from >15,000 K to ~5,000 K with distance. Ionization fraction ($x_e$) is increasing from almost zero to > 0.4 along the distance. In HH 702, the values of $n_e$, $T_e$, and $x_e$ are similar to those estimated at 14" from source, where knot C of HH 158 is located. This may imply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knot could persist through such a long distance in the space, and the gas could be re-excited by the shock during propagation of the jet. On the other hand, we cannot avoid the possibility that HH 702 is driven by another source rather than DG Tau because HH 158 and HH 702 show somewhat large difference in their inclination angles (${\Delta}i=21-35^{\circ}$).

  • PDF

뉴메모리 기반 시스템에서 세밀한 COW 관리 기법을 통한 효율적 프로세스 체크포인팅 기법 (Efficient Process Checkpointing through Fine-Grained COW Management in New Memory based Systems)

  • 박재형;문영제;노삼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2호
    • /
    • pp.132-1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뉴메모리 기반 컴퓨팅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프로세스 단위로 체크포인팅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프로세스 체크포인팅을 위하여 일반적인 프로세스 실행에서 문맥전환이 일어나는 시점마다 결함이 발생하기 이전의 안전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롤백 시점을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롤백 시점의 안전한 프로세스 상태에 대한 새로운 프로세스를 만들며 이를 P-process(Persistent-process)라고 명명한다. P-process를 만드는 주기를 세밀한 간격인 문맥전환 때마다 만들기 때문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롤백으로 인한 프로세스 실행시간 손실을 작게 만들 수 있다. P-process를 만드는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프로세스의 메모리 상태에서 변경된 부분만 저장할 수 있도록 COW(Copy-On-Write) 메커니즘을 이용하였다. 문맥전환 때마다 P-process를 생성하였을 때 PARSEC 벤치마크의 11개 워크로드 중 8개의 워크로드에서 5% 내의 실행 시간 오버헤드가 발생하였으며 오버헤드가 많이 발생한 워크로드도 P-process의 생성 주기의 조정으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동적 디렉터리 테이블 : 공유 캐시 블록의 디렉터리 엔트리 동적 할당 (Dynamic Directory Table: On-Demand Allocation of Directory Entries for Active Shared Cache Blocks)

  • 배한준;최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12호
    • /
    • pp.1245-1251
    • /
    • 2017
  • 디렉터리 기반의 캐시 일관성 유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멀티 코어 시스템은 성능 향상을 위해 더 많은 코어를 집적하려 하지만 캐시 일관성 유지를 위한 오버헤드가 커져 코어 수를 늘리는 데에 제한이 생긴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디렉터리 엔트리의 크기를 줄이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캐시 블록이 두 개 이상의 코어에 의해 공유될 때에 디렉터리 엔트리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디렉터리 구조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코어에 의해서만 접근되는 블록들에 대해 디렉터리 정보를 관리하지 않음으로써 디렉터리 엔트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우리는 PARSEC 벤치마크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풀맵에 비해 훨씬 적은 수의 디렉터리 엔트리에서 높은 DDT hit rate을 가져 shared cache의 디렉터리 정보를 충분히 관리할 수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풀맵과 비슷한 성능으로 디렉터리의 크기를 풀맵 대비 17.84%까지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LONG-SLIT SPECTROSCOPY OF PARSEC-SCALE JETS FROM DG TAURI

  • Oh, Heeyoung;Pyo, Tae-Soo;Yuk, In-Soo;Park, Byeong-Gon
    • 천문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3-123
    • /
    • 2015
  • We present observational results from optical long-slit spectroscopy of parsec-scale jets of DG Tau. From HH 158 and HH 702, the optical emission lines of Hα, [O i] λλ6300, 6363, [N ii] λλ6548, 6584, and [S ii] λλ6716, 6731 are obtained. The kinematics and physical properties (i.e., electron density, electron temperature, ionization fraction, and mass-loss rate) are investigated along the blueshifted jet up to 650′′ distance from the source. For HH 158, the radial velocity ranges from −50 to −250 km s−1. The proper motion of the knots is 0.′′196 − 0.′′272 yr−1. The electron density is ∼104 cm−3 close to the star, and decreases to ∼102 cm−3 at 14′′ away from the star. Ionization fraction indicates that the gas is almost neutral in the vicinity of the source. It increases up to over 0.4 along the distance. HH 702 is located at 650′′ from the source. It shows ∼ −80 km s−1 in the radial velocity. Its line ratios are similar to those at knot C of HH 158. The mass-loss rate is estimated to be about ∼ 10−7 M yr−1, which is similar to values obtained from previous studies.

BAT AGN Spectroscopic Survey - The parsec scale jet properties of the ultra hard X-ray selected local AGNs

  • Baek, Junhyun;Chung, Aeree;Schawinski, Kevin;Oh, Kyuseok;Wong, Ivy;Koss, Michael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35.4-35.4
    • /
    • 2019
  • We have conducted a 22 GHz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 survey of 281 local (z < 0.05) active galactic nuclei (AGNs) selected from the Swift Burst Alert Telescope (BAT) 70-month ultra hard X-ray (14-195 keV) catalog. The main goal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trengths of black hole accretion and the parsec-scale nuclear jet, which is expected to tightly correlate but has not been observationally confirmed yet. The BAT AGN Spectroscopic Survey (BASS) provides the least biased AGN sample against obscuration including both Seyfert types, hence it makes an ideal parent sample for studying the nuclear jet properties of an overall AGN population. Using the Korean VLBI Network (KVN), the KVN and VERA Array (KaVA), and the Very Long Baseline Array (VLBA), we observed 281 objects with a 22 GHz flux > 30 mJy, detecting 11 targets (~4% of VLBI detection rate). This implies that the fraction of X-ray AGNs which are currently ejecting a strong nuclear jet is very small. Although our 11 sources span a wide range of pc-scale morphological types, from compact to complex, they lie on a tight linear relation between accretion luminosity and nuclear jet luminosity. Our finding may indicate that the power of nuclear jet is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amount of black hole accretion. We also have probed the fundamental plane of black hole activity in VLBI scale (e.g., few milli-arcsecond). The results from our high-frequency VLBI radio study support that the change of jet luminosity and size follows what is predicted by the AGN evolution scenario based on the Eddington ratio (ƛ$_{Edd}$) - column density ($N_H$) plane, proposed by a previou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