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2W

검색결과 5,094건 처리시간 0.051초

호알칼리성 Bacillus sp. DK1122 균주가 생산하는 알칼리성 단백질 분해효소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kaline Protease Produced by Alkalophilic Bacillus sp. DK1122)

  • 이형재;유지승;배동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3-340
    • /
    • 2016
  • 호알칼리성 protease를 분비하는 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sp. DK1122 균주로부터 효소의 생산조건을 검토 후, 효소를 정제하고 특성을 알아보았다. 본 균주의 효소생산 최적 배지조성은 0.5% (w/v) glucose, 0.8% (w/v) yeast extract, 0.5% (w/v) polypeptone, 0.1% (w/v) K2HPO4, 0.02% (w/v) MgSO4· 7H2O, 1% (w/v) Na2CO3, 3% (w/v) NaCl, pH 9.0이었으며, 종배양액 0.5% 접종시 40℃에서 24시간 배양했을 때 효소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Bacillus sp. DK1122가 생산하는 alkaline protease를 70% 포화 ammonium sulfate로 침전시키고, CM-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23.9%의 수율에 2.8배의 정제도를 지니는 효소를 얻을 수 있었다. SDS-PAGE를 통해 정제된 protease는 27 kDa의 크기의 단일 subunit으로 확인되었고, 정제된 효소의 최적 pH는 9.0, 최적온도는 60℃였으며, 50℃에서 1시간까지 열에 안정하였고, 60℃에서 10 mM CaCl2 첨가 후 3시간까지 90%의 활성을 유지하여 Ca2+에 의해 열안정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제된 호알칼리성 protease는 식품, 세제 및 관련산업에서의 응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 VERY SINGULAR SOLUTION OF A DOUBLY DEGENERATE PARABOLIC EQUATION WITH NONLINEAR CONVECTION

  • Fang, Zhong Bo
    • 대한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789-804
    • /
    • 2010
  • We here investigate an existence and uniqueness of the nontrivial, nonnegative solution of a nonlinea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mid(w^m)]'\mid^{p-2}(w^m)']'\;+\;{\beta}rw'\;+\;{\alpha}w\;+\;(w^q)'\;=\;0$$ satisfying a specific decay rate: $lim_{r\rightarrow\infty}\;r^{\alpha/\beta}w(r)$ = 0 with $\alpha$ := (p - 1)/[pd-(m+1)(p-1)] and $\beta$:= [q-m(p-1)]/[pd-(m+1)(p-1)]. Here m(p-1) > 1 and m(p - 1) < q < (m+1)(p-1). Such a solution arises naturally when we study a very singular solution for a doubly degenerate equation with nonlinear convection: $$u_t\;=\;[\mid(u^m)_x\mid^{p-2}(u^m)_x]_x\;+\;(u^q)x$$ defined on the half line.

액상환원침전법에 의한 저온활성화소결용 복합W분말의 제조방법 및 소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Composite W Powder for Low Sintering Temperature by Liquid Reduction Precipitation Method)

  • 김창욱;이철;정인;윤성렬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07-218
    • /
    • 1995
  • Tungsten(W) metal has excellent properties in heat-resistance, corrison-resistance and impact-resistance but W-Metal is hard to sinter because higher than $2,000^{\circ}C$ is required to sinter W-powder. Con-sequently, a deposit technique of Nikel Phosphorus(NiP) on W-powber by the liquid reduction precipitation method was performed. Sintering temperature of the resulting W-NiP composite was lowered around to $1,000^{\circ}C$,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intered body was studied. The most suitable conditions for NiP thin film deposit on W-Powder by the liquid reduction precipitation method, which are composition, concentration, pH and temperature of the liquid reduction solution, were considered. The activated sintering was carried out in a reducing condition furnace. Components and properties of the sintered body were investigated by the density and the hardness measurements, X- ray diffraction analysis, and microscopic photographs of the surface. Quantity of NiP thin film on W-powder could be varied by the change of the liquid reduction solution composition.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W-NiP composite powder is lowered to $950^{\circ}C$ from $2,000^{\circ}C$ and the hardness is increased (ca. 720 Hv). Large shrinkage could be observed since density was increased from 5.5 to 11.0 g/$cm^2$ which 86.2% of theoretical density. W metal and $Ni_3P$ crystal were detected through X-ray diffraction on the sintered body. Perfectly activated sintering was observed by microscopic photographs.

  • PDF

두부의 전열물성 및 유효열전도도의 추정 1. 두부의 전열물성의 추정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the Soybean Curd and Prediction of its Thermal Conductivity 1 Measurement of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the Soybean Curd)

  • 공재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8
    • /
    • 1982
  • 1. 대두단백질의 밀도는 $1300[kg/m^3]$이고 대두유의 밀도는 미동결상태 ($0\sim30^{\circ}C$)에서 $930[kg/m^3]$이고, 동결상태 ($-5\sim-40^{\circ}C$)에서는 $900[kg/m^3]$이였다. 또 3성분계 두부의 밀도를 나타내는 실험식, $\rho_m=1.0{\bullet}X_w^v+1.30{\bullet}X_p^v+0.93{\bullet}X_F^v$(이동결상태) $\rho_m=0.92{\bullet}X_w^v+1.30{\bullet}X_p^v+0.90{\bullet}X_F^v$(동결상태)을 각각 얻었다. 2. 대두단백질의 비열용양은 온도 $30\sim-40^{\circ}C$의 사이에서 1.26[kJ/kg K)로 일정했으나 대두유의경우는 동일 온도역에서 $1.60\sim2.10[kJ/kg{\cdot}K]$의 값을 나타냈다. 또한 3성분계 두부의 비열용양을 나타내는 실험식 $C_{p,m}=4.20{\bullet}X_w^w+1.26{\bullet}X_p^w+2.10{\bullet}X_F^w$(미동결상태) $C_{p,m}=2.00{\bullet}X_w^w+1.26{\bullet}X_p^w+1.60{\bullet}X_F^w$(동결상태)을 각각 얻었다. 3. 일반 식품의 비열용기의 data를 정리한 결과물과 고형분을 Parameter로 다음과 같은 실험식을 얻었다. $C_p=4.2{\bullet}X_w^w+(0.8\sim1.5){\bullet}X_s^w$(미동결상태) $C_p=2.1{\bullet}X_w^w+0.8{\bullet}X_s^w$(동결상태)4. 3종의 두부의 유효열전도도는 수분의 함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대하고 지질 및 단백질의 함양이 증가함에 따라 유효열전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작용에 따른 모르타르 내구성 검토 (The Examination of Mortar Durability by Microbial Biomineralization)

  • 김성태;천우영;김화중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525-52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Sporosarcina pasteurii라는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작용을 이용하여 Calcite($CaCO_3$) 석출을 유도하고, 이를 Mortar에 적용하여 요구 성능 향상을 평가하였다. Sporosarcina pasteurii를 혼입(input)한 Mortar 시험체(C3S-S.p)와 일반 Mortar 시험체(C3S-W)의 중성화 반응을 실험을 통해 비교한 결과 C3S-S.p가 C3S-W에 비해 중성화가 지연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8日간 Urea-CaCl2 수용액(Medium)에서 양생한 C3S-S.p와 C3S-W의 내구성을 실험을 통해 비교한 결과 Sporosarcina pasteurii를 혼입한 Mortar 시험체(C3S-S.p)가 일반 Mortar 시험체(C3S-W) 비해 내구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원심분사주조법에 의한 $Cu-X(=Al_2O_3,W)_p$ 복합재료의 미세조직 및 복합화 (Compositing Modes and Microstructures of $Cu-X(=Al_2O_3,W)_p$ Composite by Centrifugal Spray-Cast Deposition)

  • 배차헌;정해용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80-487
    • /
    • 1997
  • Particle 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s(MMCs) via a centrifugal spray-cast deposition(CSD) process were fabricated by injecting second phase particles($Al_2O_3$<40${\mu}m$, W<17.3${\mu}m$) into copper melt on the atomizing disc. Compositing modes were investigated by combining microstructures and mathematical modeling between Cu droplets and the reinforced particles injected. The $Cu/W_P$ powders were shown that the W particles penetrate and get embedded in the Cu droplets. It is considered that the W particles composite preferentially in Cu melt on the atomizing disc. On the other hand, the $Al_2O_3$, particles did not penetrate into the Cu droplets on the atomizing disc but get attached in surface of Cu droplets during the flight.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positing may be attained in the flight distance which the relative velocity between Cu droplet and $Al_2O_3$, particle is maximum. The microstructure of the $Cu/W_P$ and the $Cu/(Al_2O_3)_p$ composite preform was strongly influenced by compositing modes of droplets, and after subsequent deposition it was comprised as it is called the dispersed type and the cell type of microstructure, respectively.

  • PDF

Polyvinylpyrrolidone 첨가가 돼지 체외 수정란의 발달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Polyvinylpyrrolidone on In Vitro Development and Cell Number of Porcine Embryo after In Vitro Fertilizatin)

  • 박용수;김재영;박흠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1-128
    • /
    • 2006
  • 본 연구는 고품질의 돼지 체외 수정란을 생산하기 위하여 체외 성숙 배지에 첨가하는 polyvinylpyrrolidone(PVP)의 분자량, 첨가 농도 및 시간(실험 1)과 체외 성숙 수정 배양 단계에서 PVP의 첨가(실험 2)가 배 발생과 세포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돼지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은 NCSU 23 용액, 체외 수정은 mTBM 용액, 체외 배양은 PZM 3 용액을 이용하였다. 체외 성숙용 배지에서 PVP의 분자량, 농도 및 첨가 시간에 따른 수정율과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반포의 부화율은 분자량 40,000(30.1%), 0.5%(28.6%) 및 $0{\sim}44$시간(37.5%) 첨가군이 다른 시험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분자량 40,000 0.5% PVP를 체외성숙, 수정 및 배양 배지에 각각 첨가(W) 또는 미첨가(W/O)한 결과, 수정율은 체외성숙 수정 배양에서 W-W/O-W 군이 69.3%, 배반포 발달율과 부화율은 W-W/O-W 및 W-W/O-W/O 군이 각각 12.6과 30.0% 및 14.0과 37.5%로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 세포 수와 Trophoblast 수는 처리군 간에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Inner cell mass 수는 W/O-W/O-W 군이 평균 7.4개로서 가장 높았다 (p<0.05).

$오존/UV/H_2O_2$를 이용한 몰리브덴(Mo) 용해 반응에 따른 청정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A clean technology development using the molybdenum dissolution reaction with hydrogen peroxide/UV/Ozone)

  • 김재우;홍종순;신대윤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4호
    • /
    • pp.143-149
    • /
    • 1999
  • In the tungsten industry as light source material, tungsten filament which used as light source material could form after molybdenumwire which used as the center supporter for coil shape tungsten wire was removed. This process uses hydrogen peroxide, Ozone and UV(Ultraviolet)Lamp, for the quantity of hydrogen peroxide decrea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n incandescent electric Lamp type : FL(FL-20) type : A standard of commodity (P.W.: $19{\pm}1.0mg$, $C.R:4.5{\pm}0.3{\Omega}$) 1) Only hydrogen peroxide treated ; Reaction Time : 65Min., P.W.: 18.60mg, $C.R.:4.60{\Omega}$ 2) Ozone/Ultraviolet/70% of hydrogen peroxide; Reaction Time : 64Min., P.W.: 18.61mg, C.R.: $4.61{\Omega}$ 2. A Fluorescent Lamp Type : GLS(GLS-40) Type : A standard of commodity(P.W.: $11.8{\pm}0.2mg$$65{\pm}1.5{\Omega}$) 1) Only hydrogen peroxide treated ; Reaction Time: 72Min, P.W.:11.88mg, C.R.: $65.62\Omega$ 2) Ozone/Ultraviolet/70% of hydrogen peroxide;Reaction Time:71Min., P.W.:11.88mg, C.R.: $65.63\Omega$

  • PDF

BGA 무연솔더(Sn-3.0Ag-0.5Cu)와 무전해 Ni-W-P 도금층 계면의 열 안정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rmal Stability of the Interface between Electroless Ni-W-P Deposits and BGA Lead-Free Solder (Sn-3.0Ag-0.5Cu))

  • 신동희;조진기;강성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5-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무연 솔더 중 우수한 특성을 보여 실용화된 Sn-3.0Ag-0.5Cu 조성의 솔더를 사용하여 2주 동안의 시효조건에서 W의 함량이 무전해 Ni-W-P 도금층과 솔더와의 계면에서의 IMC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도금층내 인의 함량은 8 wt.%로 고정하였고, 텅스텐의 함량은 각각 0, 3, 6 및 9 wt.%로 변화시켰으며, 모든 시료는 $255^{\circ}C$에서 리플로우한 후, $200^{\circ}C$에서 2주 동안 시효처리하였다. 각각의 시료에서 $(Cu,Ni)_6Sn_5$$(Ni,Cu)_3Sn_4$의 IMC가 관찰되었으며, 시효처리시간의 증가에 따라 UBM과 무연납의 계면에서 생성된 IMC가 증가함을 보였고, W의 함량이 높을수록 열적 안정성이 증가하여 $Ni(W)_3P$의 생성 속도를 늦춰 그에 따른 영향으로 IMC의 두께가 증가함을 보였다.

Rutile-$TiO_2$를 이용한 Mordant Yellow-12의 광촉매 분해반응 (Photocatalytic Destruction of a Mordant Yellow-12 Using Rutile-$TiO_2$)

  • 김창석;최인원
    • 분석과학
    • /
    • 제13권5호
    • /
    • pp.646-651
    • /
    • 2000
  • $TiO_2$ 촉매 하에 염료 Mordant Yellow-12를 광촉매 분해하였다. 이때 사용한 광원은 각각 15-W, 21-W와 26-W 형광 램프를 이용하였다. 분해 정도는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와 pH 메타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반응 1시간 후에 각 광원에 따라 각각 17%, 24%, 34% 이상의 분해를 보였고 완전히 분해되는데는 각각 3, 4, 5시간 걸렸다. pH의 변화는 흡광도의 변화와 같이 급격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분해 반응 속도는 15-W 보다 26-W에서 2배의 빠를 분해 반응속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