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2E

검색결과 11,611건 처리시간 0.04초

유기태 셀레늄과 Vitamin E의 복합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계육 품질 및 Selenium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rganic Selenium and Vitamin E on Growth Performance, Selenium Retention and Quality of Meat in Broiler Chickens)

  • 나재천;김지혁;유동조;장병귀;강근호;김상호;서옥석;이원준;이종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3-149
    • /
    • 2007
  • 비타민 E 150 IU, selenium yeast로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를 100, 150, 200 및 300 IU로 복합 첨가하였을 때 육계의 사료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계육 품질 및 selenium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sim}21$일의 증체량은 대조구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가 높았으며(P<0.05), 사료 섭취량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가 유기태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 150 IU와 200 IU를 복합 첨가한 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21{\sim}35$일의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가 유기태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 200 IU를 복합 첨가한 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시험 전기간의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2. 가슴 근육의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과 비타민 E를 복합 첨가함으로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간조직의 셀레늄 함량 역시 대조구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과 비타민 E를 복합 첨가함으로서 높게 나타났다(P<0.05). 3. 저장 기간별로 TBARS는 대조구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는 1일보다 3일차가 높게 나타났으나(P<0.05),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 100, 150, 200 및 300 IU 복합 첨가구는 1일과 3일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3일차에는 대조구보다 비타민 E와 셀레늄 복합 첨가구가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육계 사료에 유기태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를 100, 150, 200 및 300 IU를 복합 첨가시 생산성에는 차이가 없으나 계육 내 selenium 함량과 저장성은 향상되었다.

멀칭재료가 시설참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in Protected Cultivation)

  • Su Gon Bae;Yong Seub Shin;Il Kweon Yeon;Han Woo D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3
    • /
    • 2001
  • 무가온 촉성재배시 멀칭재료가 참외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양 멀칭재료로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 배색 P.E. 필름, 녹색 P.E. 필름과 대조구로 투명 P.E. 필름을 설치하여 지온의 변화와 생육, 과실품질 등을 조사하였다. 토양 5cm 깊이의 일.월중 지온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높았으나 광 투과율이 낮은 녹색 P.E필름에서 낮았다. 토양 심도별 야간지온은 녹색 P.E. 필름은 토양 깊이 20cm에서 나머지 필름은 토양 깊이 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멀칭 재료별 지온차는 깊이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되었다. 정식 후 30일의 초장과 절수는 지온이 높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LAI, CGR, RGR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정식 후 30일의 잡초 발생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후 90일에는 투명 P.E.필름에서 많았다. 과실 수확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빨라 투명 P.E.필름보다 2일 단축되었으나, 과중, 과장, 당도 등 과실특성은 큰 차가 없었다.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상품수량은 2,426kg.10a$^{-1}$로 투명 P.E. 필름보다 6% 증수되었다.

  • PDF

Escherichia coli O157:H7에 감염된 마우스에 대한 정향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Flos Syzygii Aromatici Extracts against Mice Infec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 이수미;손송이;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6-340
    • /
    • 2017
  • 본 연구는 정향추출물의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와 E. coli O157:H7 감염 마우스에 대한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향 메탄올 추출물(FSAE)을 이용하여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배양 후 24시간째에, FSAE를 첨가한 모든 군들에서 E. coli O157:H7의 생존율이 무투여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0.269 mg/ml, p < 0.05; 0.538과 1.075 mg/ml, p < 0.001), FSAE가 E. coli O157:H7의 증식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 coli O157:H7을 감염시킨 마우스에 FSAE를 경구로 투여한 결과, 투여 후 3일째에, FSAE를 1.075 (p < 0.05)와 2.15 mg/ml (p < 0.01)로 투여한 군들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분변내 E. coli O157:H7의 균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투여 7일째에는, 모든 FSAE 투여군들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E. coli O157:H7의 균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0.538 mg/ml, p < 0.05; 1.075와 2.15 mg/ml, p < 0.001).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FSAE를 E. coli O157:H7에 감염된 마우스에 경구로 투여할 경우, 감염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L60 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Apoptosis와 세포 주기 관련 유전자의 발현 변화 (Expression of Cell Cycle Related Genes in HL60 Cells Undergoing Apoptosis by X-irradiation)

  • 김진희;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77-388
    • /
    • 1998
  • 목적 : 방사선조사에 의한 apoptosis에서 나타나는 각종 세포주기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RNA와 단백 수준에서 분석하여 방사선조사에 의한 apoptosis에서의 세포주기 조절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서 방사선치료의 기전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promyelocytic leukemia 세포주인 HL60 세포주를 배양하여 선형가속기(6MV X-선)로 세포에 8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조사후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Apoptotic DNA Fragmentation Assay법을 이용하여 apoptosis를 확인하고 동시에 세포주기관련 유전자들(cyclinA, cyclin B, cyclin C, cyclin Dl, cyclin E, cdc2, CDK2, CDK4, $p16^{INK4a}$, $p21^{WAF1}$, $p27^{KIP1}$, E2F, PCNA와 Rb)을 단백질과 RNA 수준에서 분석하기위해 western blot analysis와 반정량적 RT-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8 Gy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 HL60세포에서 apoptosis가 관찰 되었다. 방사선 조사군에서 cyclin A단백은 조사후 48시간까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cyclin E, E2F, CDK2 및 Rb 단백은 증가되었다가 다시 감소를 보였다. Rb단백의 증가는 대부분 비활성형인 ppRb (phosphorylated Rb protein)의 양적변화에 의한 것이었다. cyclin Dl, PCNA, COC2, CDK4, $p16^{INK4a}$단백은 발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21^{WAF1}$$p27^{KIP1}$ 단백은 검출되지 않았다. cyclin A, B, C mRNA는 방사선 조사 직후 감소하였다가 12시간부터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cyclin Dl mRNA는 조사후 바로 증가하여 48시간에 다시 감소하였다. cyclin E mRNA는 조사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CDK2 mRNA는 3시간째는 감소하다가 6시간부터 많은 증가를 보였으며 CDK4 mRNA는 조사후 6-12시간에 급격한 발현증가를 보였다. $p16^{INK4a}$ RNA는 발현의 변화가 없었으며, $p21^{WAF1}$$p27^{KIP1}$ RNA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방사선 조사에 의한 HL60세포의 apoptosis와 세포의 Gl/S transition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Rb단백의 증가와 활성형 Rb단백의 감소 현상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E2F의 비정상적인 과발현 및 cyclin E/CDK2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p21^{WAF1}$$p27^{KIP1}$는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에는 관여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CISE ASYMPTOTICS IN COMPLETE MOMENT CONVERGENCE FOR DEPENDENT RANDOM VARIABLE

  • Han, Kwang-Hee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1권3호
    • /
    • pp.369-380
    • /
    • 2009
  • Let $X,X_1,X_2,\;{\cdots}$ be identically distributed and negatively associated random variables with mean zeros and positive, finite variances. We prove that, if $E{\mid}X_1{\mid}^r$ < ${\infty}$, for 1 < p < 2 and r > $1+{\frac{p}{2}}$, and $lim_{n{\rightarrow}{\infty}}n^{-1}ES^2_n={\sigma}^2$ < ${\infty}$, then $lim_{{\epsilon}{\downarrow}0}{\epsilon}^{{2(r-p}/(2-p)-1}{\sum}^{\infty}_{n=1}n^{{\frac{r}{p}}-2-{\frac{1}{p}}}E\{{{\mid}S_n{\mid}}-{\epsilon}n^{\frac{1}{p}}\}+={\frac{p(2-p)}{(r-p)(2r-p-2)}}E{\mid}Z{\mid}^{\frac{2(r-p)}{2-p}}$, where $S_n\;=\;X_1\;+\;X_2\;+\;{\cdots}\;+\;X_n$ and Z has a normal distribution with mean 0 and variance ${\sigma}^2$.

Assessment of In Vitro Oocyte Maturation in Two Gobiid Fish Species, Chasmichthys dolichognathus and Tridentiger trigonocephalus after Exposure to Benzo[a]pyrene

  • Hwang, In-Joon;Baek, Hea-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3호
    • /
    • pp.223-230
    • /
    • 2011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re ubiquitous environmental contaminants derived from incomplete combustion of carbons and crude oi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nzo[a]pyrene (B[a]P), a representative PAHs on in vitro sex steroid hormone production and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using isolated oocytes of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and chameleon goby (Tridentiger trigonocephalus). Oocytes in diameters of 0.8-0.9 (end vitellogenic stage) and 0.9-1.0 mm (germinal vesicle migratory stage) from longchin goby and 0.5 mm (fully vitellogenic stage) from chameleon goby were used. In GVBD assay, B[a]P at 10 nM stimulated GVBD in the oocytes of 0.8-0.9 mm from longchin goby. B[a]P at 1 nM stimulated GVBD in the oocytes with diameter 0.5 mm from chameleon goby. In steroid production from oocytes of longchin goby, B[a]P at 100 nM decreased testosterone (T) production, B[a]P at 1,000 nM increased estraiol-17 (J (E2) production and 10 and 100 nM increased $17,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 production in the oocytes with diameter 0.8-0.9 mm. B[a]P at 1,000 nM increased E2 production, 100 and 1,000 nM increased $17{\alpha}20{\beta}P$ production in the oocytes with diameter 0.9-1.0 mm. In steroid production of oocytes from chameleon goby, B[a]P at 1,000 nM increased $E_2$ production. B[a]P at 10 nM increased $17{\alpha}20{\beta}P$ production. In the ratio of $E_2$ to T ($E_2$/T), B[a]P at 100 and 1,000 nM increased $E_2$/T in the oocytes of longchin goby. B[a]P at 100 nM also increased $E_2$/T in the oocytes of chameleon gob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P have not only weak estrogenic effects but progestogenic effects on oocyte maturation.

Interaction of $17{\beta}-Estradiol$ with EGF and IGF-I on Proliferation and $P_i$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 Han, Ho-Jae;Lee, Yeun-He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4호
    • /
    • pp.493-501
    • /
    • 1998
  • The most significant direct role of estrogen in vivo is its ability to elicit receptor-mediated cellular proliferation in mammalian target tissues. However, the mechanism by which exogenously added estrogen causes the neoplastic transformation of renal cortical cells is yet to be uncovered.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interaction of $17{\beta}-estradiol\;(E_2)$ with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on proliferation and $P_i$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in phenol red-free, hormonally defined-medium. $[^3H]-thymidine$ incorporation increased markedly by about 133% and 141% more in the presence of $10^{-9}\;and\;10^{-6}\;M\;E_2$, respectively, than that of control. Cell count was 162% and 143% greater in the presence of $10^{-9}\;and\;10^{-6}\;M\;E_2$ ,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Among all time points examined, there was an increase in $[^3H]-thymidine$ incorporation in the presence of $10^{-9}\;M\;E_2$ at day 9 or 13, respectively. However, $E_2$ ($10^{-9}\;M$) significantly drove up cell count to 160% of that of control at day 13, while it had a slight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ffect at day 9. $E_2-induced$ stimulation of $[^3H]-thymidine$ incorporation was completely reversed by $E_2$ antagonists (progesterone or tamoxifen). $E_2$ ($10^{-9}\;M$) or EGF ($10^{-8}\;M$) significantly stimulated $[^3H]-thymidine$ incorporation by 144% and 154% of control. $E_2$ plus EGF was synergistic on $[^3H]-thymidine$ incorporation (204% of control), while $E_2$ plus IGF-I showed a slight but no 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 Cell number also displayed similar pattern. $E_2$ ($10^{-9}\;M$) significantly stimulated $P_i$ uptake to 134% of control. $E_2$-induced stimulation of $P_i$ uptake was partially reversed by $E_2$ antagonists. EGF or IGF-I ($10^{-8}\;M$) significantly also increased $P_i$ uptake to 132% or 129% of control. $E_2$ plus EGF had synergistic effect on $P_i$ uptake, while $E_2$ plus IGF-I did not. In conclusion, $E_2$ may act not only directly interaction with its receptors but also indirectly as a modulator of EGF in proliferation and $P_i$ uptake of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 PDF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the effects of double-patterning versus single-patterning on the line-edge-roughness (LER) in FDSOI Tri-gate MOSFETs

  • Park, In Jun;Shin, Changhwa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3권5호
    • /
    • pp.511-515
    • /
    • 2013
  • A Monte Carlo (MC) simulation study has been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ne-edge-roughness (LER) induced by either 1P1E (single-patterning and single-etching) or 2P2E (double-patterning and double-etching) on fully-depleted silicon-on-insulator (FDSOI) tri-gate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MOSFETs). Three parameters for characterizing the LER profile [i.e., root-mean square deviation (${\sigma}$), correlation length (${\zeta}$), and fractal dimension (D)] are extracted from the image-process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 for each photolithography method. It is experimentally verified that two parameters (i.e., ${\sigma}$ and D) are almost the same in each case, but the correlation length in the 2P2E case is longer than that in the 1P1E case. The 2P2E-LER-induced $V_TH$ variation in FDSOI tri-gate MOSFETs is smaller than the 1P1E-LER-induced $V_TH$ variation. The total random variation in $V_TH$, however, is very dependent on the other major random variation sources, such as random dopant fluctuation (RDF) and work-function variation (WFV).

2_Chloroethylphosphonic Acid가 잎담배 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2-Chloroethylphosphnic Acid on Ripening of Tobacco Leaves)

  • 허일;구한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71-75
    • /
    • 1972
  • 본 실험은 성숙촉진제 C.E.P.A(2-chloroethyl phosphonic acid)를 처리하여 잎담배 성숙촉진 여부와 나아가서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저 1970-1971년 양년에 걸쳐 소사시험장 및 산지적응시험을 시도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도가 높을수록 잎담배 성숙을 촉진시키는 정도가 현저하며 그 효과는 처리후 3-4일부터 나타났다. 2. 열 표면에만 처리해도 효과가 있었으며 성숙촉진 효과는 처리 부분에만 뚜렷하였다. 3. C.E.P.A 처리 효과는 성숙기에 가까운 하위엽에서 뚜렷했고 상위엽에서는 완만하였고 성숙 정도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였다. 4. C.E.P.A는 농도가 높을수록 성숙충족효과는 크지마는 900ppm 이상이 되면 잎의 신전율이 떨어져서 약간이나마 감수가 되며 3,000ppm에서는 약 9%의 수량 감을 가져 오므로 적정농도는 900ppm으로 볼 수 있다. 5. C.E.P.A의 성숙충족 일수를 보면 100ppm에서 1일, 300ppm 3일, 450ppm 3일, 900ppm 4일, 3000ppm에서 약 7일간 단축시킬 수가 있었다. 6. 건조 경과를 보면 C.E.P.A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하여 시간으로 약 29%의 건조시간과 45%의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엿보인다. 7. 그러므로 잎담배 재배에 있어 C.E.P.A를 적정농도(900ppm)로 처리하면 수량의 감소를 가져 오지 않으면서 품질에서 13.5% 수납대금에서 12%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부수적인 효과로서 3,000ppm에 약 7일, 건조시간에서 약24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본다.

  • PDF

Investigation of Endurance Degradation in a CTF NOR Array Using Charge Pumping Methods

  • An, Ho-Myoung;Kim, Byungcheul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7권1호
    • /
    • pp.25-28
    • /
    • 2016
  •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face states on the endurance of a charge trap flash (CTF) NOR array using charge pumping methods. The endurance test was completed from one cell selected randomly from 128 bit cells, where the memory window value after 102 program/erase (P/E) cycles decreased slightly from 2.2 V to 1.7 V. However, the memory window closure abruptly accelerated after 103 P/E cycles or more (i.e. 0.97 V or 0.7 V) due to a degraded programming speed. 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trap density (Nit) gradually increased from 3.13×1011 cm−2 for the initial state to 4×1012 cm−2 for 102 P/E cycles. Over 103 P/E cycles, the Nit increased dramatically from 5.51×1012 cm−2 for 103 P/E cycles to 5.79×1012 cm−2 for 104 P/E cycles due to tunnel oxide damages. These results show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face traps and endurance degradation of CTF devices in actual flash cell arr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