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242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26초

시판 홍어 김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Skate (Raja kenojei) Kimchi on the Market)

  • 김경희;조희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5-242
    • /
    • 2008
  •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market-available skate (Raja kenojei) kimchi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to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The comparative results for the skate (Raja kenojei) and Baechu kimchi products are as follows: salt concentrations = 3.40% and 3.95%, respectively; pH and acidity values = 4.01 and 3.90, and 0.65% and 0.82%, respectively; redox potential Eh values = 119.82 mV and 123.08 mV respectively; reducing sugars levels = 15.51 mg% and 13.23mg%, respectively; ascorbic acid levels = 24.21mg% and 22.18mg%, respectively; color L-values = 46.86 and 44.54, a-values = 15.46 and 12.28, and b-values = 29.94 and 28.36, respectively; hardness properties = 11.36 kgf and 10.23 kgf, respectively; hot water soluble pectin (HWSP) contents and sodium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 (NaSP) contents = 15.23% and 17.35%, and 32.51% and 29.64%, respectively; hydrochloric acid soluble pectin (HClSP) contents = 55.1% and 53.2%, respectively; total viable cell counts = $4.78{\times}10^8$ and $1.35{\times}10^8$, respectively; lactic acid bacteria counts = $5.18{\times}10^5$ and $1.32{\times}10^5$, respectively; and yeast levels = $8.52{\times}10^5$ and $5.23{\times}10^5$, respectively.

다양한 유형의 불안정한 하중이 젊은 성인 여성의 스쿼트 시 코어와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Unstable Loads on Core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Squatting in Young Adult Women)

  • 서가은;하대운;유일영;김수용;김태규
    • PNF and Movement
    • /
    • 제22권2호
    • /
    • pp.233-242
    • /
    • 202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unstable loads on core and lower limb muscle activity during squatting. Methods: Nineteen subjects (all females) with resistance experience but no unstable resistance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Subjects performed squats under three load conditions, and core and lower limb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during eccentric and concentric contractions. Results: During the eccentric contraction, core and hip flexor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aqua bag than with the barbell or resistance band, and for the quadriceps, the resistance b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arbell. During the concentric contraction phase, core and hamstring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aqua bag than with the barbell and elastic band (p < 0.05). Conclusion: Squats with an aqua bag increase core and biceps brachii activation and can be recommended as a training method to improve trunk stability.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과 자기효능감이 구강보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Teacher on Oral Health Attitude)

  • 조영식;황유진;배현숙;김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9-108
    • /
    • 2009
  • 본 연구는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과 자기효능감이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관련 변인인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실천의 관계에 대한 몇 가지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시에 있는 특수학교 교사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17명의 응답자 가운데 198명을 대상으로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하였다. 1. 교사의 성별, 연령, 경력에 따라 교사의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교육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 수준을 비교한 결과, 교사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의 연령에 따라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p = 0.001)과 태도(p = 0.013)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교사의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 자기효능감, 구강보건교육 실천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구강보건교육 태도, 자기효능감, 실천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교사의 구강보건 지식와 실천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교사의 구강보건 지식이 직접적으로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의 매개에 의해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모형(모형1)의 검증 결과, 지식과 태도 사이의 경로(Estimate=0.183, C.R.=0.294, p=0.003)와 태도와 실천 사이의 경로(Estimate=0.398, C.R. =3.090, p=0.00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지식과 실천 사이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경로를 제외한 지식, 태도, 실천 사이의 완전매개 모형(모형1-1)은 모든 적합도 지수의 기준을 총족하였으나($x^2$=0.081, df=1, p=0.776, GFI=1.000, AGFI=0.998, NNFI= 1.178, NFI=0.996, CFI=1.000), 실천의 분산은 지식과 태도에 의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SMC=0.05). 4.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이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에 의해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태도의 매개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모형(모형2)의 검증 결과, 실천과 태도 사이의 경로(Estimate=0.273, C.R.=5.734, p<0.001)와 교사효능감과 태도 사이의 경로(Estimate=0.242, C.R.=4.426, p<0.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실천과 태도 사이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경로를 제외한 실천, 교사효능감, 태도 사이의 완전매개 모형(모형2-1)은 모든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으나($x^2$=2.081, df=1, p=0.149, GFI=0.993, AGFI=0.958, RMSEA=0.074, NNFI=0,942, NFI=0.965, CFI=0.981), 태도의 분산은 실천과 교사효능감에 의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0.136). 5. 지식태도실천 모형(모형2-1)에 교사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추가한 지식태도 자기효능감실천 모형(모형3)은 적합하게 나타났으며 ($x^2$=3.971, d.f.=3, p=0.271, RMSEA=0.039, GFI=0.990, AGFI=0.967, NNFI=0.971, NFI=0.944, CFI=0.986), 실천의 분산 중 14.3%가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에 의해 설명되었다.

  • PDF

안면골격 형태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O-CR DISCREPANCY AND FACIAL SKELETAL TYPE)

  • 조진영;이영준;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9-853
    • /
    • 1998
  • 이 연구는 각 유형의 부정교합과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량 간의 상호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각 부정교합자 군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를 3차원적으로 비교 평가하고, 각 안면골격 형태의 특징에 따른 변위량의 차이 유무를 분석하고, 각 유형의 부정교합 골격형태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와 두개안면골격 계측요소 간의 상관성을 검정하였다. 242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중심교합위 상태에서 얻어진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을 계측하고 이들을 수평적, 수직적 관계에 의하여 9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들로부터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에서의 교합기록을 채득하고 face-bow로 안궁이전을 한 뒤 석고모형을 교합기에 중심위 상태로 탑재하였다. CPI를 이용하여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의 하악과두위치를 측정하고 이들과 각 군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 계측치와의 상관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에서 좌측과 우측은 증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후방보다는 상하변위의 좌 우측 상관성이 다소 높았다. 2. II급 부정 교합군이 I 급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좌우측간의 중심 교합위-중심위 변위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각 부정교합군에서의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 유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상에서의 안면골격의 형태요소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에는 상관성이 적었다. 5. II급 brachyfacial skeleton과 III급 mesofacial skeleton의 일부 계측치에서 CPI수치를 예측할 수 있는 항목들이 나타났다.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은 특정한 안면형태요소와는 무관하며 하악과두의 위치변이는 부정교합양태나 안면골격 형태와 관계없이 발현되었다.

  • PDF

산지별 마늘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s from Different Cultivated Area)

  • 정창호;배영일;이진화;노정관;신창식;최진상;심기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51-59
    • /
    • 2009
  • 마늘을 각종 기능성 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지별 마늘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색도 중 L값은 53.41~57.15, a값은 -3.49~-4.38 및 b값은 11.47~17.55였으며,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가용성 무질소물, 조섬유 및 회분 함량은 각각 65.24~71.96, 6.24~9.35, 0.21~0.49, 19.01~22.72, 0.58~0.95 및 1.01~2.01%로 나타났다. 산지별 마늘의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Na, Mg, K, Ca 및 P였으며, 그 함량은 각각 27.22~112.03, 18.17~32.56, 242.16~569.28, 28.60~63.93 및 117.72~265.21 mg%였고,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및 fructose였다. 마늘은 17종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으며, 그 중 proline, arginine,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가 주요 아미노산으로 나타났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2,709.33~4,561.04 mg%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2.966~8.673 mg%이었다. 산지별 마늘의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oleic acid 및 palmitic acid였으며, 불포화지방산이 72.18~74.35%였고, 포화지방산은 25.65~27.82%였다. 산지별 마늘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그램 음성 및 양성 모든 세균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산지계류에 있어서 홍수기의 강우사상에 대한 유출수문곡선 분리 및 특성 분석 (Hydrograph Separation and Flow Characteristic Analysis for Observed Rainfall Events during Flood Season in a Forested Headwater Stream)

  • 남수연;전근우;이재욱;강원석;장수진
    • 생태와환경
    • /
    • 제54권1호
    • /
    • pp.49-60
    • /
    • 2021
  •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 및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필요한 수문학적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2017~2020년 홍수기 (6~9월)에 발생한 총 59회의 강우사상에 대한 강우-유출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강우량은 5.0~400.8 mm, 유출고는 0.1~176.5 mm, 유출률은 0.1~242.9%의 범위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출수문곡선에서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한 결과, 홍수기의 총 유출일 대비 기저유출(139.3일)이 직접유출(78.3일)보다 유출기간이 길었지만, 총 유출고에 대한 기여도는 직접유출 (54.2%)이 기저유출 (4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강우조건을 분석한 결과,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의 유출고 및 첨두유출고에 높은 유의성(p<0.05)을 보이는 강우조건은 강우량과 강우지속시간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출고와 첨두유출고의 강우량은 각각 5.0~200.4, 10.5~110.5 mm의 범위에서는 기저유출이 우세한 강우사상이 나타났지만, 유출고와 첨두유출고의 강우량이 각각 267.4~400.8, 169.0~400.8 mm의 범위에서는 직접유출이 우세한 강우사상이 나타났다. 앞으로 극한 기후현상에 따른 물 부족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산지계류의 직접유출 및 기저유출에 대한 장기적이고도 지속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지표수-지하수의 이용 및 관리 측면에서의 활용과 자료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용(施用) 질소(窒素)의 화학적(化學的) 형태(形態)가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토양특성(土壤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hemical Forms of Nitrogen Fertilizers on Rice Growth and Soil Characteristics)

  • 유순호;송관철;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2-252
    • /
    • 1984
  • 수도(水稻) 재배시(栽培時) 요소(尿素)를 비롯하여 초안(硝安), 염안(鹽安) 등(等) 다른 형태(形態)의 질소질(窒素質) 비료(肥料)와 비교(比較)하여 유안(硫安)의 비효(肥效)를 새로이 검토(檢討)하고, 토양(土壤) 산성화(酸性化)의 문제(問題)를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풍산(豊山)벼를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pot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도(水稻)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토양(土壤) 및 표면수(表面水)의 pH 변화(變化)는 시비(施肥) 직후(直後)에 요소(尿素), 초안(硝安), 유안(硫安), 염안(鹽安) 처리순(處理順)으로 낮으며 그 차이(差異)가 컸으나 시비후(施肥後) 1주일(週日)이 지나면 평형(平衡)에 도달(到達)하여 질소질(窒素質) 비료(肥料)의 종류간(種類間)에 pH차이(差異)가 거의 없었다. 2. 풍건(風乾) 토양(土壤)의 pH는 요소(尿素), 초안(硝安), 염안(鹽安), 유안(硫安) 처리순(處理順)으로 낮았으며, 그 차이(差異)가 생육후기(生育後期)로 갈수록 커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는 아니었다. 3. 토양(土壤)과 식물체중(植物體中) 유황(硫黃) 함량(含量)은 전(全) 재배기간(栽培其間)을 통(通)하여 유안구(硫安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토양중(土壤中) 전(全)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질소질(窒素質) 비료(肥料)의 종류간(種類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식물체중(植物體中) 질소(窒素) 함량(含量)은 유안구(硫安區)에서 유의성(有意性) 있게 높았다. 4. 초장(草長)은 질소질(窒素質) 비료(肥料)의 종류간(種類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분얼수(分蘖數)는 유안구(硫安區)에서 가장 많았고 식물체(植物體) 건물중(乾物重)도 수도(水稻) 전(全) 생육기간(生育時間)에 걸쳐 유안구(硫安區)가 다른 모든 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해 유의성(有意性)있게 높았다. 5. 유안구(硫安區)는 주당수수(株當穗數)가 다른 처리구(處理區)에 비해 유의성(有意性) 있게 많았고 따라서 수량(收量)도 가장 높았다. 반면(反面)에 초안구(硝安區)는 주당수수(株當穗數) 및 등숙률(登熟率)이 매우 낮았기 때문에 정조수량(正租收量)이 현저하게 낮았다.

  • PDF

무선전용 다중 언어의 번역을 지원하는 변환기의 구현 (Development of Convertor supporting Multi-languages for Mobile Network)

  • 최지원;김기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2호
    • /
    • pp.293-296
    • /
    • 2002
  • 유선 환경에서 시작한 인터넷에 현재 존재하고 있는 웹 컨텐츠들을 모바일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UP. Link 에서는 자동으로 HTML을 HDML로 번역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UP 브라우저에서 HTML 페이지를 억세스할 때 UP.Link 내의 에이전트는 번역기에게 HTML과 HDML 간의 번역을 처리하게끔 한다. I-Mode는 일본의 NTT-Docomo에서 개발 되었으며 이미 여러 가지 서비스를 통해 엄청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Stinger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된 ME(Micro Explorer) 또한 많은 부가기능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AP에서 C-HTML과 mHTML의 컨텐츠를 수용할 수 있는 변환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I-Mode의 C-HTML과 MS사의 ME는 HTML의 간이형으로 컨텐츠 제공 업자들이 다른 언어를 익힐 필요가 없으므로 WAP에 비해 컨텐츠 개발에 유리하다. C-HTML과 WML은 모두 모바일 환경에서 쓰이기 때문에 한 페이지 내에 제한되어 있는 용량 또한 비슷하다. 그러므로 C-HTML을 WML로, mHTML을 WML로 바꾸는 변환기를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각 언어와 관련된 스펙을 분석하고 각각의 서로 대응되는 element를 찾아 표를 작성하고 난 후에 변환을 위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변환기를 구현한다. 만약 대응되는 element가 없을 경우에는 WML에서 지원하는 여러 가지의 태그들을 조합하여 최대한 같은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해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편집기에서는 변환된 WML 소스를 컨텐츠 저작자가 클립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내용을 추가하거나 내용을 바꿀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구현 결과 약 90% 이상의 변환이 가능하다.장 높았고 비만군이 9.840점(표준편차 4.638)로 가장 낮았으며, 남자에서는 과체중군이 14.780점(표준편차 4.601), 여자에서는 저체중군이 12.284점(표준편차 4.604)으로 체형존중감이 가장 높았고, 남(평균 10.166점, 표준편차 4.246), 여(평균 8.772점, 표준편차 5.723) 모두 비만군에서 체형존중감이 가장 낮았다. 4. 비만도와 체형만족도 및 체형존중감과의 상관관계는 비만도와 체형만족도(r= -.2081, p= .000), 비만도와 체형존중감(r= -.2250, p= .000)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비만도가 높을수록 체형만족도와 체형존중감이 낮았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만상태는 전체에서는 성별($chi^2$=88.136, p=.000), 체형에 대한 인식($chi^2$=242.371, p= .000)에서, 남자에서는 부의 체형($chi^2$=15.11, p= .019), 체형에 대한 인식($chi^2$=138.95, p= .000)에서, 여자에서는 모의 학력($chi^2$=19.46, p= .022), 체형에 대한 인식($chi^2$=143.35, p= .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에서 성별은 남자에서 비만은 21.4%, 여자에서 비만은 6.6%로 남자가 비만인 경우가 더 많았고, 체형에 대한 인식은 자신의 체형이 말랐다고 인식하는 경우 비만은 0.7%,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경우 비만은 9.3%, 비만하다고 인식하는 경우 비만은 64.6%로 나타났다. 남자에서 부의 체형이 마른 경우 실제 비만인 학생은 21.20%, 보통인 경우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와 품종(品種)에 따른 옥수수의 삼요소(三要素) 시비반응(施肥反應) (Yield Responses to NPK Fertilizers in Different Corn Cultivars and Soils)

  • 신철우;김정제;윤정희;조병옥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2-249
    • /
    • 1983
  • 1976~1979년(年)까지 3년(年)동안 강원도(江原道)의 농가포장(農家圃場)에서 실시(實施)한 옥수수에 대(對)한 삼요소시험(三要素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N-P-K 삼요소적량(三要素適量)은 품종별(品種別)로 큰 차이(差異)없이 수원(水原)19호(號) 21.1-11.6-10.6, 부교(復交)2호(號) 23.0-11.9-15.0, 황옥(黃玉)3호(號) 19.8-10.6-9.1kg/10a이었고, 전전환(田輾換) 답토양(畓土壤)에서는 23.3-19.1-10.7kg/10a이었다. 2. 토양(土壤)의 비옥도(肥沃度) 차이(差異)에 따라서 삼요소(三要素) 적량(適量)이 달라 고위지(高位地) 토양(土壤)에서는 N-P-K 각각(各各) 23.4-15.5-13.2kg/10a이었고 저위지(低位地) 토양(土壤)에서는 27.0-15.6-18.8kg/10a으로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은 고위지(高位地) 토양(土壤)에서 낮으나 수량(收量)에 있어서는 높았다. 3. 옥수수 품종별(品種別) 삼요소(三要素)의 kg당(當) 생산효율(生産效率)은 품종(品種) 및 비종별(肥種別)로 달라 수원(水原)19호(號)는 N-P-K 각각(各各) 26.1-24.5-9.7, 부교(復交)2호(號)는 17.8-13.3-2.0, 황옥(黃玉)3호(號)는 14.6-21.5-4.2kg으로 수원(水原)19호(號)가 높았다. 4. 적절(適切)한 포장관리(圃場管理) 조건(條件)하에서 옥수수 1,000kg/10a 생산(生産)은 위(爲)한 출웅기(出雄期) 적정양분함량(適正養分含量) 범위(範圍)는 토양(土壤)에서 유효인산(有效燐酸) 200ppm,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0.63ml/100g, 가리포화도(加里飽和度) 5.0%이었고 식물체(植物體)에서는 N 2.86%, $P_2O_5$ 0.73%, $K_2O$ 2.80%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거주유형별 노인의 허약정도, 건강증진 행위 및 주관적 건강상태 비교 (A Comparision on Frailty,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y)

  • 권상민;박정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1호
    • /
    • pp.1-12
    • /
    • 2010
  • 본 연구는 재가노인과 시설거주노인의 허약노인 비율, 허약정도, 건강증진행위 및 주관적 건강상태를 비교하여, 거주유형에 따른 허약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관리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 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의 D광역시에 소재한 7개 노인정을 이용하는 재가노인 120명과 5개 무료 및 실비 요양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시설거주노인 122명 총 242명을 대상으로 2009년 6월 15일부터 8월 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허약노인선정도구로서 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사용하는 기초측정표 설문지, Walker 등[18]이 개발한 건강증진생활양식 측정도구를 기반으로 한 건강증진 행위 측정도구, Lawston 등[19]이 개발한 주관적 건강상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x^2$-test, ANCOVA, Scheffe 사후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노인 중 허약노인은 20.8%, 시설거주노인 중 허약노인은 49.2%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거주노인의 허약정도는 9.41점으로 재가노인은 6.46점보다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재가노인의 건강증진행위점수는 2.12점으로 시설거주노인의 1.99점보다 높았으며(p=0.046), 건강증진행위 하위항목별로 보면 재가노인의 영적성장(p=.008)과 대인관계(p=.043)점수가 시설거주노인보다 높았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재가노인과 시설거주노인 간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거주유형별 허약정도를 보면, 재가 허약노인과 시설거주 허약노인이 비허약노인보다 허약정도가 심하고, 비허약노인 중에서는 시설거주 비허약노인이 재가 비허약노인보다 허약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건강증진행위점수는 재가 비허약노인과 시설거주 비허약노인이 허약노인보다 높았고, 허약노인 중에서는 재가 허약노인은 시설거주 허약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주관적 건강상태점수는 시설거주 비허약노인과 재가 비허약노인이 허약노인보다 높았고, 허약노인 중에서는 시설거주 허약노인이 재가 허약노인보다 높았다(p<.05). 결론적으로 재가노인과 시설거주노인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시설거주노인 중에서 허약노인의 비율이 높고 시설거주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이 부족하므로 이런 특성을 반영하여 거주유형에 따른 노인 허약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