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242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35초

양산시에 거주하는 8~9세 어린이의 치아침식증과 관련된 위험요인 분석 (THE RISK INDICATORS OF DENTAL EROSION IN 8- AND 9-YEAR-OLD SCHOOLCHILDREN IN YANGSAN)

  • 김현정;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0
    • /
    • 2013
  • 치아침식증은 경조직의 비가역적 소실을 야기하는 다인자성 질환이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이 질환에 주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양산시 8~9세 어린이 664명의 치아침식증 유병률을 조사하고, 관련된 위험요인을 성별, 돌보는 사람의 유형, 식이 습관 및 구강 위생 습관, 그리고 치아침식증에 대한 보호자의 지식 정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치아침식증은 242명에서 관찰되었다. 탄산음료는 선호도, 섭취 빈도, 섭취 방법에서 치아침식증과 연관성이 있었고(p < 0.05), 과일주스는 선호도와 섭취 빈도에서 연관성이 있었으나(p < 0.05), 섭취 방법에서는 연관성이 없었다(p > 0.05). 또한 성별, 돌보는 사람의 유형, 구강 위생 습관, 보호자의 지식 정도는 치아침식증과 연관성이 없었다(p > 0.05). 결론적으로 어린이의 치아침식증 예방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동기부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다양한 삼차원 프린팅 시스템으로 제작된 다이의 정확도 비교 (Accuracy of dies fabricated by various three dimensional printing systems: a comparative study)

  • 백주원;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4호
    • /
    • pp.242-253
    • /
    • 2020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다이의 정확도를 인상재와 치과용 석고를 이용하여 제작한 기존 방식 다이와 비교하고 체적 변화를 평가하여 정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치과용 모델 하악 우측 제1대구치를 준비하여 스캔한 뒤 polyetherketoneketone (PEKK)으로 기준 다이를 제작한다. 기존 방식 다이는 기준 다이를 polyvinylsiloxane로 인상채득한 뒤 Type IV 치과용 석고를 부었다. 3D 프린팅 시스템의 경우 기준 다이를 스캔하고 3개의 서로 다른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모델로 변환하였다. 4가지 방법으로 각각 10개의 표본을 만들었다. 3D 표면매칭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준 다이와 중첩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를 수행하였다(P < 0.05). 결과: 기준 다이와 비교하여 기존 방식, Stereolithography로 제작된 다이를 제외하고는 각 방식으로 제작된 다이의 체적 변화가 상당히 있었다(P < 0.05). 기존 방식으로 제작된 다이는 3D 프린팅된 다이보다 체적 변화가 가장 적었다(P < 0.05). Stereolithography로 제작된 3D 프린팅 다이는 다른 3D 프린터 중에서 체적 변화가 가장 적었다(P < 0.05). 결론: 기존 방식의 다이는 3D 프린팅 다이보다 더 정확했지만 3D 프린팅 다이는 임상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었다. 따라서 3D 프린팅 다이는 수복물 제작에 사용할 수 있다.

경북지역 인삼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다성분 분석 (Multi-analysi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inseng at Gyeongbuk, Korea)

  • 박문기;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3-199
    • /
    • 2005
  • To obtain th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ginseng, the methods of multi-analysis for BHC's isomer,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by GC-ECD are surveyed.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alpha-BHC,\;\beta-BHC,\;\delta-BHC\;and\;\gamma-BHC$ is 1.000, 1.025, 1.034 and 1.056, respectively.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o,p-DDE, p,p-DDE, o,o-DDD, o,p-DDT, o,p-DDD, and p,p-DDT is 1.199, 1.230, 1.242, 1.286, 1.329 and 1.333, respectively. The BHC isomers,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separated with multianalysis condition.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alpha-BHC$, Quintozene, Aldrin, Captan, $\alpha-Endosulfan$, and Dieldrin is 0.95ng/g, 0.27ng/g, 1.04ng/g, 0.63ng/g, 0.55ng/g and 0.62ng/g, respectively.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Fenhexamid, Endrin, $\beta-Endosulfan$, o,p-DDT, Endosulfan-sulfate is 5.71ng/g, 0.61ng/g, 0.48ng/g, 0.44ng/g and 0.51ng/g, respectively. BHC, Aldrin, Dieldrin, Endrin and DDT, which wer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dvisory pesticides, are not detected in soil environment. Also it's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not polluted in the ginseng on Sangju Korea.

Perinereis nuntia의 2변종의 분류에 관한 연구 (Taxonomical Evaluation of Two Varieties of Perinereis nuntia : P. nuntia var. vallata (Grube 1857) and P. nuntia var. brevicirris (Grube 1857))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42-244
    • /
    • 1975
  • Perinereis nuntia의 2변종인 P. nuntia var. vallata와 P. rnuntia var. brevicirris는 1818년 Savigny가 Lycor nuntia로 보고한 종중 1857년 erube에 의해 문부의 제5오구역에 하나의 소치를갖고 제$7\~8$구역에 규칙적인 3열의 소치를 갖는 것을 L. nuntia var. vallata로 제5구역에 2각형의 소치가 있고 제$7\~8$구역에 불규칙적 인 3열의 소치를 갖는 것을 L. nuntia var. brevicirris 로 나누어 보고되고 속명으로는 1866년에 Kinberg가 제시한 Perinereis가 적용된 이래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국에서는 필자(1972)에 의해 P. nuntia var. vallata(한점해안 갯지렁이)와 P. nuntia var. brevicirris(세점해안갯지렁이)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충무와 칠천도의 조간대에서 채집된 표본을 재료로 하여 분류의 기준이 되는 소치의 수와 배열상태를 정리한 결과, 기존 2변종은 중간변이집단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 중의 일부이기 때문에 변이폭이 혼합된 변이집단의 크기 속에 내포된 상태이다. 이와같은 부분적인 변이를 바탕으로 하여 종군이하 분류군의 서열을 인정한다는 것은 계통분류학상 분류질정의 혼돈을 초래시키는 것으로 간주하고 필자는 첫지렁이과(Nereidae)해 안갯지렁이 속(Perinereis)의 2변종 모두를 Perinereis nuntia (Savigny, 1818), 눈섭해안갯지렁이의 동물이명으로하여 보고하는 것입니다.

  • PDF

The Association of Pulse Pressure and Pre-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iddle Aged Men

  • Shin, Kyung-A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3-79
    • /
    • 2017
  • Pulse pressure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pulse pressur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The study subjects were 8,439 adults aged 40 to 64 years, who underwent health screening examination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4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one hospital in Gyeonggi-do for general health check-up. They include the metabolic syndrome absent group (Absent, n=3,078), the pre-metabolic syndrome group (Pre-MetS, n=4,242) and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MetS, n=1,119). Progressive increase in pulse pressure was demonstrated for increasing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P<0.001). The pulse pressu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the pre-MetS and MetS groups compared to the Absent group (P<0.001).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glucose, and abdominal obes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ulse pressure (P<0.001).

심실중격결손증에서 수술전 혈류역학치가 수술후 폐동맥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postoperative pulmonary arterial pressure with preoperative hemodynamic data in VSD)

  • 성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9권2호
    • /
    • pp.238-242
    • /
    • 1986
  •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VSD and pulmonary hypertension is at least partially related to the reversibility of pulmonary hypertension after surgery. To predict postoperative pulmonary arterial pressure, immediate postbypass values were compared with preoperative hemodynamic data in 18 surgically closed VSD patients aged 6 to 80 month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2]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preoperative PP/PS and postoperative PP/PS in patients aged over 24 months [r=0.685, p<0.05], and in patients whose QP/QS were over 2.0 [r=0.686, p<0.01]. 3] There was also a good correlation between pump time and postoperative PP in total patients [r=0.697, p<0.005]. 4] Direc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reoperative PP/PS and immediate postbypass PP/PS in patients aged over 24 months and in patients whose QP/QS>2.0, but the effect of CPB would participate in some degree. So it may be necessary to reevaluate their relationship after the effect of CPB have been disappeared.

  • PDF

수용성 단백질에 대한 새우껍질 Chitosan의 흡착 특성 (Adsorption Property of Shrimp Shell Chitosan to Water Soluble Proteins)

  • 손병일;김경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2-248
    • /
    • 2000
  • 수산물 가공시 흘러나오는 폐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단백질을 chitosan에 흡착시키기 위하여 albumin과 hemoglobin, albumin-myoglobin 혼합단백질을 이용하여 chitosan과의 흡착 및 chitosan 제조조건에 따른 흡착효과와 chitosan의 수용성 단백질 흡착에 미치는 인자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Chitosan위 탈아세틸화 조건을 60, 70, 80%로 달리하여, albumin, hemoglobin, albumin-myoglobin 혼합용액에 적용했을때 chitosan의 탈아세틸화도가 높을수록 chitosan과 단백질 사이의 흡착률은 높게 나타났다. 초음파 처리에 의하여 chitosan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chitosan과 단백질 사이의 흡착률은 높게 나타났다. pH변화에 따른 chitosan과 수용성 단백질의 흡착률은 albumin 및 albumin-myoglobin 혼합용액에서는 pH 4.0에서, hemoglobin용액에서는 pH 7.0에서 흡착률이 높게 나타났다 chitosan과 수용성단백질과의 흡착에서 반응시간은 albumin및 albumin-myoglobin 혼합용액에서는 4시간, hemoglobin용액에서는 3시간까지 흡착률이 증가하였고, 그 이후의 시간이 경화하여도 흡착률의 증가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수용성 단백질 용액에 NaCl 농도를 0.1M에서 1.0M로 증가시켜 첨가했을때 염의 농도가 높을수록 chitosan과 단백질 사이의 흡착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 PDF

인삼 근절편 배양시 Peroxidase Isozyme에 관한 연구 (Peroxidase Isozyme in Root Differentiation from Cultured Ginseng Root Explants)

  • 김명원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4호
    • /
    • pp.233-242
    • /
    • 1986
  • In order to pursue some physiological studies on organogenesis in ginseng tissue culture, ginseng root explants were cultured on a modified MS medium containing NAA and kinetin. The activities of peroxidase and some enzymes were investigated and their isoenzyme patterns were also observed. The activity of peroxidase decreased by 20% in one week's culture and increased thereafter by 80% in culturing for 7 week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increased by 400% after culturing for 5 weeks and increased during the days preceeding root formation. The activities of glutamate dehydrogenase and acid phosphatase also increased during the culture. After 3 weeks' culture, new peroxidase isozyme (pH 7.6) appeared and 7 weeks' culture, another new peroxidase isozyme (pH unidentified) appeared. These patterns were also identified by using FPLC. After 7 weeks' culture, a new esterase isozyme of pH 8.5 appeared and isozyme patterns of acid phosphatase were quite changed compared with the isozyme patterns of tissue cultured for 5 weeks. In so far as these new isoenzymes appear distinctively after 7 weeks' culture, root differentiation is supposed to be induced after 7 weeks' culture.

  • PDF

CoSi$_2$를 As의 확산원으로 형성한 매우 얇은 n+/p 접합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Ultra-Shallow n+/p Junctions Formed by Using CoSi$_2$ as Diffusion Source of As)

  • 구본철;정연실;심현상;배규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2-245
    • /
    • 1997
  • Co single layer and Co/Ti used to form a CoSi$_2$ contact. We fabricated the n+/p diodes with this CoSi$_2$ contact as diffusion source of As. The diodes wish CoSi$_2$ formed by Co/ri bilayer had more Bo7d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an CoSi$_2$ formed by Co single layer. This shows that the flatness of interface which is a parameters to affect the diodes\`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diodes are more good when the second thermal activation processing temperature was low as much as 50$0^{\circ}C$ than the temperature high over than 80$0^{\circ}C$, it was thought as that the silicide was degradated at high temperature.

  • PDF

중국 3곳 문관나무 재배집단의 RAPD 다형성 (RAPD Polymorphism of Xanthoceras sorbifolium Bunge from Three Plantations of China)

  • 안찬훈;이현석;인지양;이재선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242-246
    • /
    • 2012
  • The variation i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were examined for Xanthoceras sorbifolium Bunge seeds from three plantations (Inner Mongolia [IM], Liaoning [LN], and Shandong [SD] province) in China. Mean genetic variation was measured by polymorphism percentage (42.10%) and expected heterozygosity (He=1.27). Among three populations, Shandong showed the highest values both in polymorphism percentage and heterozygosity (p=57.89; Ho=1.58; and He=1.37). Total genetic diversity value, based on the total loci, was estimated as total genetic diversity of the species (Ht)=0.27 and mean within-population genetic diversity (Hs)=0.16. UPGMA cluster analysis showed the genetic closeness between Inner Mongolia and Liaoning population, but that Shandong seems to be the separate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