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100

검색결과 14,594건 처리시간 0.05초

Russian Comfrey의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nent of Russian Comfrey)

  • 이영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7
    • /
    • 1995
  • Proximate compositions pH, contents of Vitamins in Russian comfrey(RC) were investigated to furnish basic research for the utilization of health foods or processed foods. Analysis has been made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comfrey leaf and root of RC, and pH, vitamin content of RC.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of RC were 89.78%, 3.23g/100g, 0.40g/100g in leaf and 69.66%, 0.44g/100g, 0.21g/100g, 8.24g/100g in root, respectively. pH of RC was 7.33. The $\beta$-carotene content in RC was 1097.158$\mu\textrm{g}$/100g. Vitamin B content in RC was 0.01mg/100g. Vitamin B content in RC was 0.29mg/100g. Niacin content in RC was 1.2mg/100g. Vitamin C content in RC was 26.4mg/100g.

  • PDF

제주화산회토양에서 발효 톱밥 돈분 시용이 피의 건물수량,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및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Dry Matter Yield of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Roxb.〉 Wight),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Population of Soil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Fermented Sawdust Swine Manure in Cheju Volcanic Ash Soil Area)

  • 김문철;김태구;이종언;문봉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9-168
    • /
    • 2005
  • 여름 사료작물 피에 대해 톱밥 발효돈분의 비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5월부터 10월까지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사료작물 포장에서 시험이 수행되었다. 실험은 난괴법 6처리 3반복으로써 처리 1: 화학비료 정량$(N\;200kg/ha+P_2O_5\;300kg/ha+K_2O\;200kg/ha)$, 처리 2: 화학비료 정량의 $1/2(N\;100kg/ha+P_2O_5\;150kg/ha+K_2O\;100kg/ha)$+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1/2 (N 100kg/ha), 처리 3: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1/2(N 100kg/ha), 처리 4: 톱밥 발효돈분 정량(N 200kg/ha), 처리 5: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2배(N 400kg/ha), 처리 6: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4배(N 800kg/ha)로 설계하였다. 동일한 질소 200kg/ha 시용수준에서 화학비료 $100\%$ 시용구(T71)가 톱밥 돈분과 화학비료 혼합(T2)이나 톱밥 발효돈분 $100\%$ 시용구(T4) 보다 통계적으로 낮은 건물수량을 얻었다. (p<0.01). 톱밥 발효돈분을 질소수준으로 100, 200, 400 및 800kg/ha 시용수준에서 피의 건물 수량은 각각 7,707, 8,259, 8,713 및 6,842 kg/ha이었고 질소 400kg/ha까지 시용량 증가로 건물수량이 증가하나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피의 P. K 및 Ca 함량은 톱밥 발효돈분의 시용량 증가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동일한 질소 200kg/ha 수준에서 피의 P와 K 함량은 톱밥 발효 돈분구 보다 화학비료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토양의 pH, 유효인산, 치환성 K, Ca 및 Mg 함량은 톱밥 발효돈분의 시용량 증가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으며(P<0.05) 같은 질소 200kg/ha 수준에서 화학비료구 보다 톱밥 발효 돈분 시용구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얻지 못했다. 1998년 6월에 토양 미생물 중 박테리아 수는 톱밥 발효돈분 시용량 증가로 증가했으나(P<0.05), 10윈 조사시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10원에 박테리아 대사상균 비율은 톱밥 발효돈분의 시용량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추세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척박토양에서 피 재배시 톱밥 발효돈분 100kg/ha와 화학비료 100kg/ha 혼합하거나 톱밥발효돈분만 N 400kg/ha 까지가 적정 수준이다.

The Respective Effects of Shoot Height and Conservation Method on the Yield and Nutritive Value, and Essential Oils of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 Kim, S.C.;Adesogan, A.T.;Ko, Y.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6호
    • /
    • pp.816-82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hoot height at which th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wormwood (Artemisia montana) is optimized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its potential to support animal production (Experiment 1). A second objective was to determine how the essential oil (EO) concentration in wormwood hay and silage differ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Artemisia montana was harvested at five different shoot heights (20, 40, 60, 80 and 100 cm) from triplicate $1.8{\times}1.8m$ plots. Dry matter (DM) yield was measured at each harvest date and the harvested wormwood was botanically separated into leaf, stalk and whole plant fractions and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Values for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were subsequently calculated using prediction equations. Dry matter yields of stalk and whole plant increased linearly (p<0.001) and leaf yield increased quadratically (p<0.01) with shoot height, whereas the leaf/stalk ratio decreased linearly (p<0.001). As shoot height increased, there was a linear increase (p<0.001) in leaf DM, ether extract (EE)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and a quadratic increase (p<0.05) in lea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itrogen free extract (NFE) contents, and stalk and whole plant DM (p<0.001), organic matter (OM, p<0.01 and p<0.05), NDF (p<0.001 and 0.05) and NFE (p<0.05) contents. However, there were decreases in leaf crude protein content (CP, quadratic, p<0.001) and stalk and whole plant EE content (linear, p<0.001), CP (quadratic, p<0.05) and ash (quadratic, p<0.05) contents. Digestibility of DM and TDN, and DE and ME value in leaves were not affected by increasing shoot height, but these measures linearly decreased (p<0.001) in stalk and whole plant. In Experiment 2, the hay had higher DM and CP concentrations, but lower EE concentration than the silage. Essential oil (EO) content in wormwood silage (0.49 g/100 g DM) was higher (p<0.05) than that in wormwood hay (0.32 g/100 g DM). Wormwood hay contained 25 essentail oils (EO) including camphor (10.4 g/100 g), 1-borneol (11.6 g/100 g) and caryophyllene oxide (27.7 g/100 g), and wormwood silage had 26 EO constituents including 3-cyclohexen-1-ol (8.1 g/100 g), trans-caryophyllene (8.6 g/100 g) and ${\gamma}$-selinene (16.8 g/100 g). It is concluded that the most ideal shoot height for harvesting wormwood is 60 cm based on the optimization of DM yield and nutritive value. Wormwood silage had a greater quantity and array of EO than wormwood hay.

성선자극호르몬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체외배양된 생쥐 Preantral Follicles 내 난자의 발생능력 (Developmental Capacity of Mouse Oocytes within Preantral Follicles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Gonadotroplhins)

  • 김동훈;강희규;김묘경;한성원;지희준;이호준;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5-406
    • /
    • 2000
  • 본 연구는 다양한 농도의 FSH 와 LH 에서 배양된 생쥐 preantral follicles 내 난자의 발생능력을 조사하고, 이러한 조건에서 배양된 난자 -난구세포 복합체에서 황체화의 지표인 cytochrome P450 cholesterol side-chain cleavage enzyme (P450scc)와 퇴행화의 지표인 cytochrome P450 17 $\alpha$ -hydroxylase (P450$_{17{\alpha}}$ ) mRNA의 발현정도를 조사하고, 또한 progesterone과 testosterone의 분비농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체외성장된 난자의 배반포까지의 발달능력은 100 $m\ell$U/$m\ell$ FSH 단독첨가군 (30.2%)과 100 $m\ell$U/$m\ell$ FSH$\pm$l0$m\ell$U/$m\ell$ LH 첨가군 (28.0%)이 100$m\ell$U/$m\ell$ FSH+100$m\ell$U/$m\ell$ LH 첨가군 (22.0%) 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배반포의 평균 세포수에 있어서도 FSH 단독첨가군 (50.9$\pm$26.1)과 100$m\ell$U/$m\ell$ FSH+10 $m\ell$U/$m\ell$LH 첨가군 (51.0$\pm$26.1)이 100$m\ell$U/$m\ell$ FSH+100$m\ell$U/$m\ell$ LH 첨가군 (45.2$\pm$15.1) 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난자 -난구세포 복합체에서 P450scc 와 P450$_{17{\alpha}}$의 발현은 LH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그리고 progesterone과 testosterone의 분비도 증가를 하였다. 특히, P450scc 와 P450$_{17{\alpha}}$ 의 발현 그리고 progesterone과 testosterone의 분비는 100$m\ell$U/$m\ell$ FSH+100$m\ell$U/$m\ell$ LH 첨가군에서 다른 첨가군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성선자극호르몬이 preantral follicles의 체외배양을 위해서는 필수적이지만, LH 첨가농도의 증가는 난자의 발생능력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에 대한 원인의 하나는 황체화의 지표인 P450scc와 퇴행화의 지표인 P450$_{17{\alpha}}$ 발현의 증가에 의한 progesterone과 testosterone의 분비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배양액내에 100$m\ell$U/$m\ell$ FSH 혹은 100$m\ell$U/$m\ell$ FSH+10 $m\ell$U/$m\ell$ LH 의 첨가가 생쥐 preantral follicles의 체외배양을 위한 적정조건임을 제시하고 있다.

  • PDF

O/Pd(100)-p($2{\times}2$) 표면구조 및 수소흡착 효과의 제일원리 이론계산 연구 (First-Principles Theoretical Study of the Surface Structure of O/Pd(100)-p($2{\times}2$) and the Effect of H Impurities)

  • 정성철;강명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0-366
    • /
    • 2006
  • 0,25 ML의 산소원자가 흡착하여 이루는 O/Pd(100)-p($2{\times}2$) 표면의 원자구조를 밀도범함수 이론 계산을 통해 연구하였다, Pd(100) 표면의 fourfold hollow 위치가 가장 안정된 산소 흡착위치로 밝혀졌고 O-Pd 결합거리는 $2,15{\AA}$으로 계산되었다. 산소 흡착에 의해 Pd(100) 표면의 첫 번째 층간격 ($d_{12}$) 은 +0,8%의 팽창을 보이는데 이 계산결과는 +3,6%의 팽창을 보고 한 LEED 실험 결과와 차이를 보인다. 차이의 원인으로 시료 표변에 수소 불순물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 O/Pd(100)-p($2{\times}2$)에 수소원자가 흡착할 때 $d_{12}$의 팽창이 유발됨을 확인하였다. 수소 흡착량에 따른 구조변화를 분석하여 LEED 시료 표변에 잔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소의 양을 약 0,3 ML로 추정하였다.

인삼이 백서 간 약물대사효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inseng on Hepatic Drug Metabolizing Enzyme in Rats)

  • 이태하;김낙두
    • 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45-151
    • /
    • 1981
  • The effect of ginseng methanol extract on hepatic drug metabolizing enzyme in rat was investigated. The ginseng methanol extract (100mg/kg) was administered orally to Sprague Dawley rats for 7days and the contents of cytochrome $P_{450}$ and NADPH cytochrome c reductase in liver were measured by the method of Stanton et al. and Maze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liver cytochrome $P_{450}$ and NADPH cytochrome c reductase in the rats treated with ginseng methanol extract (100mg/kg) were increased by 21.9% and l6.6% respectively and their increa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gle i.p. injection of phenobarbital (100mg/kg) to the rats produced approximately 25% increase in cytochrome $P_{450}$ content in this investigation and further stimulation was produced in the rats pretreated with ginseng methanol extract (100mg/kg). On the other hand, single i.p. injection of 95% $CCl_{4}$ (0.5ml/kg) showed 29% decrease in cytochrome $P_{450}$ content and 10.5% decrease in NADPH cytochrome c reductase activity. The degree of inhibition of cytochrome $P_{450}$ content in the rats pretreated with ginseng methanol extract (100mg/kg) was similar to that observed in the $CCl_{4}$ alone treated group, but NADPH cytochrome c reductase activity was increased by 65% in the rats pretreated with ginseng methanol extract (100mg/kg).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is the hepatic drug metabolizing enzyme inducing agent in the rat and the effect is similar to phenobarbital.

  • PDF

정신분열병 환자의 S100B단백 혈청농도에 관한 연구 (Serum S100B Protein in Medication-Free Schizophrenic Patients)

  • 진성남;박두병;김혜련;백형태
    • 생물정신의학
    • /
    • 제14권3호
    • /
    • pp.177-183
    • /
    • 2007
  • 목 적: 성상세포(astrocyte)에서 생산되어 신경세포의 증식과분화에 관여하는 S100B 단백이 정신분열병의 진행과 증상론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대조군의 혈청 S100B 농도를 비교하고, 정신분열병 환자의 증상 양상과 S100B 농도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DSM-IV-TR 진단 기준에 따라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정신분열병 최초 발병 환자 혹은 최소 6개월 간 약물 치료를 하지 않은 정신분열병 환자 21명과 정상대조군 27명의 혈청 S100B 농도를 비교하였으며, 정신분열병 환자의 PANSS 전체점수와 양성증상점수, 음성 증상점수 등과 S100B의 혈청농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 과: 정신분열병 환자에서의 S100B 혈청농도($0.074{\pm}0.039$ ng/ml)와 정상대조군에서의 S100B 혈청 농도($0.072{\pm}0.030$ng/ml)에는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925). 또한, 음성증상점수와 S100B 혈청농도(${\rho}$=0.410, p=0.065 ; 표 3)의 상관관계 및 양성증상점수와 S100B 혈청농도 (${\rho}$=-0.390, p=0.080 ; 표 3)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이번 연구에서 S100B 혈청농도와 정신분열병과의 관련성을 뚜렷하게 발견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S100B의 역할과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의 확대와 CSF에서의 농도 측정, 장기적 추적 검사, 다른 관련 물질과의 연관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김치 starter용으로 개량된 내산성 변이주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내산성 특성 (Properties of Acid Tolerance of Acid-Resistant Mutant Leuconostoc mesenteroides Which Was Improved as Kimchi Starter.)

  • 김영찬;정은영;김은해;정대현;정선호;이동희;권태종;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2-109
    • /
    • 1998
  • 김치 starter로 개량된 내산성 변이균주 M-100이 획득한 증가된 내산성에 관한 생리적 성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소 이온 투과도, ATPase 활성, 해당 작용 활성, $Mg^{2+}$ 해리도 그리고 막지방산 조성등을 그것의 야생균주 Mw와 비교 분석하였다. 수소 이온 투과도 실험 결과 150mM KCI수용액 및 3% NaCl수용액에서 변이균주 M-100의 $t_{1/2}$값이 pH 4.0, 5.0 그리고 6.0에서 모두 야생 균주 Mw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ATPase 활성의 결과에서도 전체 pH 범위에서 변이균주 M-100이 야생균주 Mw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해당 작용의 pH 의존성 결과에서는 최대 활성의 해당 작용이 일어나는 pH가 야생 균주 Mw는 5.0, 변이균주 M-100의 경우는 6.0으로 예상과는 약간 상이하였으나, pH 5.0을 제외한 전체적인 범위에서 변이균주 M-100의 해당 작용 활성이 야생균주 Mw보다 높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Mg^{2+}$ 해리도에 있어서는 pH 4에서 2시간 경과후 야생균주 Mw에 비해 변이균주 M-100이 약 1/3가량 적게 $Mg^{++}$이 유출되었다. 막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환경상의 낮은 pH에 대한 반응 양상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측정된 결과를 보면, 야생균주 MW와 변이균주 M-100간의 비교결과 $C_{12}$, $C_{14}$, $C_{18:1}$, $C_{19:0cyclo}$ 등에서 주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C_{18:1}$은 야생균주 Mw가 23.4%, 변이균주 M-100이 15.1%로서 변이균주M-100에서 감소된, $C_{19:0cyclo}$는 변이균주 M-100이 12.2%로, 야생균주 Mw이 10.2%에 비해 증가되었다.

  • PDF

주요 우울 장애,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및 정상 대조군에서의 N100 진폭경사 (N100 Amplitude Slope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s)

  • 양은경;이승환;오성희;김상래
    • 생물정신의학
    • /
    • 제16권3호
    • /
    • pp.181-189
    • /
    • 2009
  • Objectives : N100 amplitude slope(the intensity dependence of the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s) is widely considered as an indirect indicator of central serotonergic neurotransmission.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N100 amplitude slopes of major psychiatric disorders. In this study, we examined N100 amplitude slope differences among major depressive disorder(MDD), bipolar disorder(BD), schizophrenia (SCZ) and normal controls(NC). Methods : We measured the N100 amplitude slopes of 35 patients with MDD, 33 patients with BD, 27 patients with SCZ and 35 NC subjects. Amplitude differences from N1 to P2 at the five different sound intensities(55, 65, 75, 85 and 95dB) were examined at Cz electrode. The N100 amplitude slope was calculated as the linear regression of five N1/P2 peak-to-peak amplitudes across stimulus intensities. Results : B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N100 amplitude slope compared with NC(0.54${\pm}$0.70 vs. 0.96${\pm}$0.72, p=0.035). N100 amplitude slope of SCZ patients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NC(0.50${\pm}$0.47 vs. 0.96${\pm}$0.72, p=0.027). N100 amplitude slope of BD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DD patients(0.54${\pm}$0.70 vs. 0.94${\pm}$0.60, p=0.046). SCZ patients also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of N100 amplitude slope compared with MDD patients(0.50${\pm}$0.47 vs. 0.94${\pm}$0.60, p=0.03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N100 amplitude slope between MDD patients and NC(0.94${\pm}$0.60 vs. 0.96${\pm}$0.72, p=1.000). Conclusion : Interestingly, the N100 amplitude slopes of BD and SCZ were reduced compared to NC and MDD patients. Our results suggest the predictive use of N100 amplitude slope in making differential diagnoses of major psychiatric disorders. Clinical implications of N100 amplitude slope in major psychiatric disorders were discussed.

  • PDF

해양 미세조류의 생화학적 조성 및 항산화성 (Bi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arine Microalgae)

  • 김세권;백호철;변희국;강옥주;김종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0-267
    • /
    • 2001
  • 해양 미세조류는 해양의 기초생산은 물론 1차 대사산물인 단백질, 지질 및 당질 뿐만 아니라 2차 대사산물인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고 있으며, 또한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해양 미세조류의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비교적 성장이 빠르고 배양이 쉬운 녹조식물문 중 녹조강에 속하는 N. oculafa와 황갈편조식물문 중 규조강에 속하는 P. tricornutum을 선정하여 생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성을 검토하였다. N. oculata와 P. tricornutum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함량은 각각 $54.91\%,\;11.29\%,\;10.15\%$$38.07\%,\;13.9\%,\;7.13\%$이었다. N. oculata의 무기질 함량은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이 각각 12,906.86, 1,039.15 및 882.57mg/100g이었으며, P. tricornutum의 경우는 각각 11,718.65, 1,570.84 및 2,003.32mg/100g이었다. 두 종 모두 필수무기질 원소인 철분의 함량도 500mg/g 이상 함유되어 있었다. 이들 두 종의 주요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 proline 및aspartic acid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모두 $45\%$ 이상이었다. 그리고 N. oculata 및 P. tricornutum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조성은 각각 proline ($35.54\%$) 및 glutamic acid ($24.86\%$)이었다. 특히 P. tricornutum는 성인병에 유효한 생리기능성 아미노산으로 밝혀진 taurine이 $2.78\%$ 함유되어 있었다. N. oculata의 당 조성은 galactose, fucose 및 glucose이 전체 당의 $73.81\%$이었으며, P. tricornutum의 경우는 glucose 및 mannose가 $86.07\%$를 차지하였다. N. oculata는 핵산관련물질 중에서 ADP의 함량이 $4.77{\mu}mol/g$으로 가장 높았으며, P. tricornutum의 경우는 hypoxanthine이 $11.74{\mu}mol/g$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N. oculata의 경우는 맛 성분으로 알려진 IMP의 함량이 $2.71{\mu}mol/g$으로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N. oculata의 포화, 탄일불포화 및 다가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각각 $66.41\%, 12.56\%$$21.02\%$이었으며, P. tricornutum는 각각 $45.52\%,\;37.35\%$$17.13\%$이었다. N. oculata의 필수지방산 함량은 $17.10\%$로 P. tricornutum의 $0.91\%$보다 훨씬 높았으나 EPA 및 DHA 함량은 각각 $3.29\%$$0.48\%$로 P. tricornutum의 $12.91\%$$1.70\%$ 보다 낮았다. 두 종의 미세조류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된 항산화성은 P. tricornutum의 chloroform 획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