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rigida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8초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Cone from Pinus rigida x Pinus taeda via NF-κB and MAPK Signaling Pathways in Macrophages

  • Seo-Yoon Park;Hye-Jeong Park;So-Yeon Han;Da-Yoon Lee;Jun-Hwan Jeong;Yoon-Jae Kwon;Tae-Won Jang;Jae-Ho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8-108
    • /
    • 2022
  • Pine (Pinaceae family such as Pinus densiflora, P. rigida, and P.taeda)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its various parts (pine needle, bark, sap) have been used for hemostasis, bruises, and burns. These species were reported that have phenolics and flavonoids.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ion effects of PRT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macrophag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one from Pinus rigida x P.taeda (ECRT) stabilized free radicals by reduc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decreasing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ECRT decreased the expressions of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In addition, ECRT significantly suppressed mRNA levels of inflammation-related factors such as cytokines, iNOS, and COX-2. As a result, ECRT was related to alleviating various pro-inflammatory mediators through IκB/NF-κB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p65 translocation to the nucleus.

  • PDF

기후변화에 따른 리기다소나무림의 잠재 생육적지 분포 변화 예측 (Changes in Potential Distribution of Pinus rigida Caused by Climate Changes in Korea)

  • 김용경;이우균;김영환;오수현;허준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509-516
    • /
    • 2012
  •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인공림의 취약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의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조림수종인 리기다소나무림의 잠재 생육적지 분포 변화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제4차 임상도를 이용하여 리기다소나무림의 기존 분포면적을 추출한 후, 최근(1971-2000년), 가까운 미래(2021-2050년), 먼 미래(2071-2100년)에 대해서 온량지수, 최저온도지수, 유효강우지수 등의 세 가지 기후요소를 각각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리기다소나무림의 잠재 생육적지 분포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결과 리기다소나무림의 잠재 생육적지 분포 면적은 최근(2000년)에 비해 가까운 미래(2050년)에는 56%로 감소하고 먼 미래(2100년)에는 15%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로는 강원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잠재생육적지 분포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났다. 강원도 지역의 경우에는 다른 지역에 비해 리기다소나무림의 조림면적이 적고 상대적으로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어 잠재 생육적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해발고도에 따른 잠재 생육적지 분포 변화를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에 따라 리기다소나무림의 잠재 생육적지 분포가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점차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 결과의 정확성을 분석하기 위해 Classification Accuracy(CA)와 Prediction Probability(PrP)를 구한 결과, 비교적 높은 정확도(CA 44.75%, PrP 62.56%)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유역내(山林流域內) 강수(降水)로부터 계류수질(溪流水質)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 - pH, 용존산소(溶存酸素),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 -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from Rainfall to Stream Water Quality in Small Forested Watershed - pH, dissolved oxygen, electrical conductivity -)

  • 박재현;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89-501
    • /
    • 1997
  • 이 연구(硏究)는 계류수(溪流水)에서 수질평가항목(水質評價項目)의 설정시(設定時) 중요한 인자(因子)인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溶存酸素),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구명(究明)함으로써 계류수질평가기준(溪流水質評價基準)을 정립(定立)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大學校) 농업생명과학대학(農業生命科學大學) 부속(附屬) 관악수목원(冠岳樹木園) 산림소유역내 3개 조사구(서어나무림, 벚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에서 수행하였다. 1996년 7월 1일부터 1997년 8월 31일까지 강수(降水), 임내우(林內雨), 토양수(土壤水), 계류수질(溪流水質)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강우평균(降雨平均) pH는 6.06(5.02~6.60)이었으며, pH 5.6 미만의 산성우(酸性雨) 출현빈도(出現頻度)는 약 16.7%로 pH 5.02가 가장 낮았다. 강수(降水)로부터 임내우(林內雨)를 통해 산림토양(山林土壤)에 도달한 물이 계류수(溪流水)에 도달될 때까지 평균(平均) pH의 크기는 계류수(溪流水)>토양수(土壤水) [벚나무림(B층>A층)] > 벚나무림 임내우(林內雨)>토양수(土壤水) [서어나무림(B층>A층)]>서어나무림 임내우(林內雨)>강수(降水)>토양수(土壤水) [리기다소나무림(B층>A층)]>리기다소나무림 임내우(林內雨)의 관계를 나타내어 리기다소나무림은 강수 pH를 낮게 하였고, 서어나무림과 벚나무림은 이와 반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강수(降水)와 수종(樹種)에 따른 임내우(林內雨), 토양수(土壤水), 계류수(溪流水)에서 평균(平均) 용존산소농도(溶存酸素濃度)의 크기는 계류수(溪流水)>임내우(林內雨)(서어나무림>벚나무림>리기다소나무림)>강수(降水)>토양수(土壤水)(벚나무림 A층>리기다소나무림 A층>서어나무림 A층>벚나우림 B층>리기다소나무림 B층>서어나무림 B층)의 관계이었다. 강수(降水), 임내우(林內雨), 토양수(土壤水), 계류수(溪流水)에서 평균전기전도도(平均電氣傳導度)의 크기는 토양수(土壤水)(B층>A층)>임내우(林內雨)(리기다소나무림>벚나무림>서어나무림)>계류수(溪流水)>강수(降水)의 관계이었다. 즉, 강수(降水), 임내우(林內雨), 토양수(土壤水), 계류수(溪流水)에서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의 설명(說明)에 유의(有意)한 영향을 마치는 인자(因子)는 $Mg^{2+}$, $Na^+$, 양이온총량, 이온총량, 그리고 선행무강우일수 등 5개 인자이었으며, 중상관계수(重相關係數)는 0.84로 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 PDF

A Systematic Study on Octocorallia in Korea: 5. Paramuriceidae (Holaxonia: Gorgonacea

  • Song, Jun-Im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40
    • /
    • 1980
  • 著者는 한국산 八放珊瑚類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65년부터 1978년까지 제주도의 濟州, 爲美里, 林島, 西歸浦, 烏島, 門島, 虛島, 橫干島와 해운대의 尾浦등 9個 地域으로부터 채집한 標本들을 同定, 分類한 결과 다음과 같은 측뾰족산호科에 속하는 7屬 14種의 韓國未記錄種이 밝혀졌다. Bebryce indica, B. thomsoni, B. brocki, Calicogorgia granulosa, Filigella mitsukuri, Muricella abnormalis, Paracis pustulata, P. ijimai, Plexauroides reticulata, P. praelonga, P. rigida, P. complexa, Villogorgia alterans 및 V. antillarum.

  • PDF

수종 소나무속 식물에 있어서 뿌리와 줄기의 이기목부에 관한 비교해부 (A 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Roots and Stems of Some Pinus Plants)

  • 임동옥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85-196
    • /
    • 1986
  •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roots and the stems of genus Pinus including nine species growing naturally in Korea have been studied to elucidate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organs. The results, comparing the root woods with the stem woods, are as follows;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wood to the late-wood occurs more gradually in the root woods. In the root woods, the bordered pits on the radial wall of tracheid are frequent in the two rows. The spiral thickening on the radial and tangential wall of the tracheid can be seen in the only stem woods of four species such as P. koraiensis, P. rigida, P. rigitaeda and P. banksiana. In the majority of the species studied, the length of the tracheid is longer in the root woods, but in some species such as P. strobus, P. densiflora, P. rigida and P. sylvestris, this length is almost sam ein both organs. The diameter of the tracheid in the root woods is wider. The wall thickness of the tracheid in the early wood is thicker in the root woods, but vice versa in the late woods. More rays per unit area can be seen in the root woods.

  • PDF

산성우(酸性雨)에 의(依)한 토양산성화(土壤酸性化)에 대한 4개(個) 수종(樹種)의 완충능력(緩衝能力)과 수관(樹冠)으로부터 양료(養料) 용탈(溶脫) 변이(變異) (Buffering Capacity of Four Tree Species against Soil Acidification by Acid Rain and Variations in Nutrient Leaching from Tree Crowns)

  • 한심희;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342-351
    • /
    • 1997
  • 본 연구는 산성우의 영향을 받는 산림에서 4개 수종별 수관통과류, 수간류, 토양을 채취하여 pH 변화와 양료함량을 비교함으로써 산성우에 대한 수종별 중화능력과 완충능력을 측정하여 중화능력이 우수한 수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경기도 반월공단으로부터 15km 떨어진 산림환경연구소 반월시험림을 대상으로 약 30년생 리기다소나무, 물오리나무, 신갈나무, 튤립나무림에서 1996년 5월부터 9월까지 매 강우시 발생되는 강우, 수관통과류, 수간류를 채취하여 pH, Ca, K, Na, Mg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5월, 7월, 9월에 각각 채취된 잎의 내부 pH, 중화능력(ENC), 완충능력(BCI)을 측정하였다. 또한 공시목의 수간기저부로부터 10, 100, 200cm 떨어진 거리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pH와 양료함량을 측정하였다. 본 시험 유역에서 시험기간 동안 강우의 평균 pH는 4.56이었으며, pH 5.6이하의 산성우의 비율이 74%를 차지하였으며, 토양 pH는 평균 4.15이었다. 수관통과류의 pH는 모든 수종에서 강우보다 높았으며, 수간류의 pH는 리기다소나무(pH 3.73)를 제외한 모든 수종에서 강우보다 높았고, 특히 튤립나무가 가장 놓은 pH 5.38을 나타냈다. 수관통과류의 pH는 강우의 pH와 정의 상관이 매우 높았으나 수간류의 pH는 강우의 pH와는 상관이 없었다. 강우에 가장 많이 함유된 이온은 Ca이었으며, 수관통과류와 수간류의 이온 함량은 모두 K>Na>Ca>Mg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간류에서의 양료 함량은 튤립나무에서 가장 높았고 리가다소나무에서 가장 낮았다. 강우의 pH가 낮아지면 지상부에서 양료의 용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간류의 pH는 잎의 중화능력과 완충능력이 높을수록 증가하여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다. 잎에서의 중화능력과 완충능력은 튤립나무에서 가장 높았고(ENC : 9.03, BCI : $655.3{\mu}eq.H^-/g$), 리기다소나무에서 가장 낮았다(ENC : -4.95, BCI : $57.8{\mu}eq.H^-/g$). 수종별 토양에서의 pH와 양료 농도는 수간류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며 튤립나무에서 가장 높았고 리기다소나무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수간으로 부터 100cm 거리까지 나타나 수간류가 토양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강우의 특성은 수관을 통과하거나 수간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수목의 중화작용과 완충작용에 의해 변화되는데 수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산성우에 대한 중화능력과 완충능력이 우수한 수종인 튤립나무의 수간류는 pH와 양료의 농도가 높아 토양의 산성화를 지연 또는 조절할 수 있으나, 리기다소나무와 같이 능력이 낮은 수종은 토양의 산성화를 가속화 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나무속 식물의 뿌리생장에 대한 알루미늄 내성 (Aluminum Tolerance in Pine Root Growth)

  • Ryu, Hoon;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36-46
    • /
    • 1996
  • Variation of Al tolerance in Pinus densiflora, P. rigida and P. thunbergii was investigated in a solution culture. Root length decreased as Al concentration increased, and decreased more in dilute culture media than in dense one. Aluminum tolerance based on relative root length was in the order of P. rigida > P. densiflora > P. thunbergii. Al content in tissue increased as Al concentration of the media increased, but the reverse was true for content of Ca and Mg. Al tolerance for root length showed intraspecific variation, even under the same Al concentration in the media.

  • PDF

소나무속 식물에서 칼슘과 마그네슘에 의한 알루미늄 독성의 경감 (Reduction of Aluminum Toxicity by Calcium and Magnesium in Pines)

  • Ryu, Hoon;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3호
    • /
    • pp.193-199
    • /
    • 1996
  • Alleviation of Al toxicity by Ca and Mg was studied with seedings of Pinus densiflora, P. rigida and P. thunbergii under the solution culture. The seedlings were cultivated in the enriched Can and Mg nutrient solution with 2, 000 ${\mu}M$ Al for three weeks. The hightest total root lengths of P. densiflora, P. rigida and P. thunbergii increased by 21, 33 and 133% in Ca enriched solution, and 23, 44 and 107% in Mg enriched solution, respectively. Ratios of lateral root to main root l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in Mg enriched solution, and redution of Al toxicity was more affected by enriched Mg than by enriched Ca. Al content in tissue was reduced by enriched Ca and Mg.

  • PDF

산림을 통과한 강우의 pH 및 화학적 조성의 변화 (Changes to the pH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cipitation inside the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Stands)

  • 주영특;김홍률;이상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4-29
    • /
    • 2003
  • 강우가 산림을 통과하면서 변화하는 화학적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도 춘천지역의 소나무와 리기다 소나무 임분에서 임외우와 수관통과우, 수간류를 채취하여 pH 및 용존원소를 중심으로 한 화학적 조성의 수직적인 이동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임외우의 pH의 범위는 41∼7.1 이었으며, 평균 pH는 6.2$\pm$0.1로 나타났다. 소나무 임분의 경우는 수간류가 평균 pH 5.9$\pm$0.9이었으며, 수관통과우는 pH 6.0$\pm$0.8로 측정되었다. 리기다 소나무 임분의 경우는 수간류가 pH 5.5$\pm$0.6, 수관통과우는 pH 5.8$\pm$0.7의 평균값이 측정되었다. 강우량에 따른 임외우와 임내우 (수간류, 수관통과우)의 pH 변화는 전체적으로 강우량이 적은 경우에 pH값이 넓게 분포하였으나,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거나 증가하여서 안정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외우와 소나무와 리기다 소나무의 수관통과우, 수간류에서 측정한 화학적 조성의 농도 변화는 양이온 중에서는 $Ca^{2+}$의 농도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음이온에서는 C $l^{-}$을 제외한 나머지 S $O_{4}$$^{2-}$ 와 N $O_{3}$$^{-}$에서 임외우보다 현저하게 이온 농도가 증가하거나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강우에 의한 수목의 용탈과 세정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수목의 각 기관을 통과하면서 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태적 특성에 따른 산림녹지의 관리방안 -부천시의 사례- (Managemtn Devices of Urban Forest in Accordance with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Buncheon City)

  • 한봉호;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1-6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cological management based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 in Bucheon city. The actual vegetation area in the survey sites(7,426,587$m^2$) consisted of Robinuia pseudoacacia forest(61.6%; 5,574,168 $m^2$), Pinus rigida forest(6.1%), Quercus mongolica community(3.2%), Q.spp.community(2.9%), etc.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of artificial planting forest, 58(/300$m^2$)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1) R. pseudoacacia forest, 2) R. pseudoacacia-Q.serrata community, 3) R. pseudoacacia-Q.mongolica community, 4) P.rigide forest, 5) P.rigida-Q.serrata community, 6) P.rigida-Q. mongolica community. As the result, the artificial planting forest was expected to the proceeded to Q. serrata community and Q.mongolica community. The ecological succesion stage in the survey sites (7,426,587$m^2$) was divided into 5 states based on actual vegetation, succession trend of artificial planting forest in Bucheon; 1) Stage of impossible succession(4.7%, 2)Stage of inducible succession(78.7%), 3) Stage of progressive succession(2.7%), 4)Sage of last succession(1.4%), 5)Stage of native plant forest(12.5%).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urban forest was suggested as the management method for succession promotion, according to density controlling and native species planting in Bucheon. Individual numbers of R. pseudoacacia might be reduced to 6~8 individuals/300$m^2$ at canopy, 9~21 individuals/300$m^2$ at under-story by selective cutting in order to keep 63~70% of total basal area at R. pseudoacacia forest. Individual numbers of P.rigida might be reduced to 8~9 individuals/300$m^2$ at canopy, 27~30individuals/300$m^2$ at under-story by selective cutting in order to keep 68~75% of total basal area at P. rigida forest. 24 species that were selective by constancy analysis were chosen as the ecological appropriate species. Since, this studyis discussing the ares of urban forest and botanical ecology, it is suggested that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il, climate, and vegetation will be performed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