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putida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3초

CAM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Pseudomonas putida PpG1에서 TOL 플라스미드이 DNA 재배열 (DNA Rearrangement of TOL Plasmid in Pseudomonas putida PpGl Harbouring CAM Plasmid)

  • 전효곤;조경연;고영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3-436
    • /
    • 1990
  • 접합에 의한 P.putida mt-2의 TOL를 CAM 함유 P.putida PpG1으로 이동시켜 형성된 접합주 P.Putida CST3A는 작아진 TOL(TOL$\Delta$)를 가지고 있었지만, m-toiuate를 분해할 수 있었다. 접합에 의한 이동실험은 CAM에 결합되어 CAM:TO* 플라스미드를 형성하고 있었다. 불화합성 Inc P9군에 속하는 NAH를 CAM:TOL* 과 TOL$\Delta$을 가지는 P.putida CST3A로 이동시키면 TOL$\Delta$의 방출이 관찰되었으나 m-toluate 대사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Pseudomonas putida의 유가배양연구 (A Study of Pseudomonas putida Fed-batch Culture)

  • 김인호;김희정;송재양
    • KSBB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307-310
    • /
    • 2002
  •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성장속도가 증가하여 P. putida가 호기적 조건에서 더 잘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pH를 조절하지 않았을 경우와 달리 암모니아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5.0, 7.0으로 조절했을 때, 포도당의 소모량이 증가 할 뿐 아니라 비성장 속도가 증가하였다($\mu$=0.27 --> 0.42). 포도당만을 공급할 것이 아니라 yeast extract와 같은 유기 질소원 다른 기질도 같이 공급함으로써, 보다 많은 균체량을 얻을 수 있었다.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 Plasmid의 n-Alkane 자화성 Pseudomonas putida에로의 전이 (Conjugal Transfer of NAH, TOL, and CAM::TOL* Plasmid into n-Alkane Assimilating Pseudomonas putida)

  • Kho, Yung-Hee;Chun, Hyo-Kon;Cho, Kyong-Yun;Bae, Kyung-Soo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55
    • /
    • 1989
  • TOL 플라스미드와 NAH 플라스미드는 n-알칸을 자화하는 P. putida KCTC 2405에 접합에 의해 각각의 이동은 가능하나 두 플라스미드는 불화합성에 기인하여 본 균주내에 공존할 수 없었다. TOL plasmid에서 불화합성 체계는 남겨두고 tol 유전자만 이 CAM plasmid내로 transposition 되어 형성된 CAM::TOL* 플라스미드는 NAH 플라스미드와 P. putida KCTC 2405에서 공존할 수 있어 m-toluate, naphthalene, camphor 및 n-alkane(C8-C24)를 분해할 수 있는 P. putida 3SK 균주를 육종하였다. CAM::TOL* 플라스미드는 선택성 배지에서 안정하였으나 비선택성 배지에서는 불안정하였다.

  • PDF

다양한 난분해성 방향족 탄화수소를 분해하는 Pseudomonas의 균주개발 (Development of Versatile Strains of Pseudomonas Degrading Various Persistent Aromatic Hydrocarbons)

  • 이지현;최인성;박경량;박용근;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6-242
    • /
    • 1990
  • 여러가지 난분해성 방향족 화합물을 분해하는 균주들을 개발하기 위해 2,4-D 분해 유전자를 갖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KG2. 나프탈렌 분해 유전자를 갖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KG3 그리고 TOL 플라스미드를 합성세제 분해능을 갖는 P p pulida KUD12와 프탈산에스테르를 분해하는 P.pUlida KUPlO에 각각 형질전환 또는 접합시켰다. P.pulida KUD12로부터 KUDIOl(pKG2), KUDI02(pKG3). KUDI03(TOL), KUD202(pKG3, TOL) 균주판, 또 P.pulida KUPlO으로부터 KUD 106(pKG2). KUD107(pKG3), KUD108(TOL) 균주을 각각 개발하였다. 개발균주의 분해능은 KUD101과 KUD102 그리고 KUD107이 원분해 균주와 비솟하였고, KUDI03과 KUD106 그리고 K KUD202는 원분해 균주보다 분해능이 떨어졌고 KUD108의 분해능은 원균주보다 우수하였다. 개발균주들의 혼합배양 에서는 KUD 107과 KUD108의 혼합배양이 다른 혼합배양틀보다 분해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CBs에 오염된 연안해양 Microcosm에서의 PCBs분해 유전자조작 Pseudomonas putida AC30(pMFB2)의 동태해석

  • 민만기;천단선일랑;고전간길;고천겸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0년도 Proceedings of 2000 KSAM International Symposium and Spring Meeting
    • /
    • pp.193-198
    • /
    • 2000
  • PCBs를 분해하는 bphABC유전자를 plasmid vactor pMFB2에 유전자조작한 Pseudomonas putida AC30(pMFB2)를 PCBs에 오염된 연안해역의 해수와 저니로 만든 microcosm에 도입한 결과, 각각 도입 4일과 7일만에 사멸하였다. 그러나, 도입한 P. putida AC30(pMFB2)는 사멸하였지만, 연안해수와 저니 microcosm에서 plasmid pMFB2가 전이한 토착미생물이 검출되었다. 도입한 P. putida AC30(pMFB2)의 생잔실패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공경 0.2$\mu\textrm{m}$의 filter를 통과하는 물질과 생물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조작 P. putida AC30(pMFB2)의 도입과 bphABC유전자의 토착미생물로의 전이에 따른 토착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개체수 변동으로 조사한 결과, 토착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P. putida AC30(pMFB2)의 도입에 의한 PCBs의 생분해성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도입한 유전자조작 균주가 생잔에 실패함으로써 잔류하고 있는 PCBs의 농도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 PDF

In Situ Monitoring of Biofilm Formations of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putida by Use of Lux and GFP Reporters

  • Khang, Youn-Ho;Rober S. Burlage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1호
    • /
    • pp.6-10
    • /
    • 1998
  • A plasmid vector containing two reporter genes, mer-lux and lac-GFP, was transformed to both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putida. Their cellular activities and biofilm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flow-cell units by measuring bioluminescent lights and fluorescent levels of GFP. Bioluminescence was effective to monitor temporal cell activities, whereas fluorescent level of GFP was useful to indicate the overall cell activities during biofilm development. The light production rates of E. coli and P. putida cultures were dependent upon concentrations of HgCl2. Mercury molecules entrapped in P. putida biofilms were hardly washed out in comparison with those in E. coli biofilms, indicating that P. putida biofilms may have higher affinity to mercury molecules than E. coli biofilms. It was observed that P. putida expressed GFP cDNA in biofilms but not in liquid cultures. This may indicate that the genetic mechanisms of P. putida were favorably altered in biofilm conditions to make a foreign gene expression possible.

  • PDF

Enhancement of cis,cis-Muconate Productivity by Overexpression of Catechol 1,2-Dioxygenase in Pseudomonas putida BCM114

  • Kim, Beum-Jun;Park, Won-Jae;Lee, Eun-Yeol;Park, Cha-Yo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2호
    • /
    • pp.112-114
    • /
    • 1998
  • For enhancement of cis,cis-muconate productivity from benzoate, catechol 1,2-dioxygenase (C12O) which catalyzes the rate-limiting step (catechol conversion to cis,cis-muconate) was cloned and expressed in recombinant Pseudomonas putida BCM114. At higher benzoate concentrations (more than 15 mM), cis,cis-muconate productivity gradually decreased and unconverted catechol was accumulated up to 10 mM in the cae of wild-type P. putida BM014, whereas cis,cis-muconate productivity continuously increased and catechol was completely transformed to cis,cis-muconate for P. putida BCM114. Specific C12O activity of P. putida BCM114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P. putida BM014, and productivity was enhanced more than two times.

  • PDF

카페인 분해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ffeine Degrading Bacteria)

  • 류병호;주신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5-220
    • /
    • 1992
  • Caffeine을 기질로 이용할 수 있는 균을 토양과 폐수에서 7종을 분리하고 그중 카페인 분해능이 가장 좋은 KS-5를 동정하여 Pseudomonas putida KS-5라고 명명하였다. P. putida KS-5의 생장 최적조건은 온도 $30^{\circ}C$, pH 7.0이었고 카페인 농도는 1.0%였다. P. putida KS-5는 plasmid DNA가 존재하였으며, 카페인 분해유전자가 plasmid에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들 분해유전자의 유전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curing test와 transformation에 필요한 marker를 찾아본 결과 각종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이 있었다.

  • PDF

Pseudomonas putida의 Protocatechuate 경로에 관여하는 초기 효소들의 유전자의 클로닝 및 염기서열 분석비교 (Cloning, Sequencing and Comparison of Genes for early Enzymes of the Protocatechuate (ortho-Cleavage) Pathway in Pseudomonas putida)

  • 홍범식;신동훈;김재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72-476
    • /
    • 1996
  • P.putida NCIMB 9869와 P. putida NCIMB 9866의 분해 plasmid pRA 4000과 pRA500으로부터 p-cresol mothylhydroxylase(PCMH)의 flavoprotein(pchF) 및 cytochrome(pCHC) subunit의 구조유전자를 sequencing하였다. 이 두개의 유전자의 DNA 및 아미노산의 염기 서열은 이미 발표를 하였다. 이 두 개의 유전자 이외에도 aldehyde dehydrogenase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이 aldehyde dehydrogenase는 p-hydroxybezaldehyde를 p-hydroxybenzonate로 전환시키는데 p-hydroxybezaldehyde는 P-cresol의 PCMH에 의한 분해 산물이다. 그 외에도 P. putida 9869의 protocatechuate 3,4-dioxigenase의 alpha(pcaG) 및 beta(pcaH) subunit 가 확인되었다. 반면에 P. putida 9866는 상응하는 영역에 이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protocatechuate는 p-hydroxyben-zonate hydroxylase에 의해 p-hydroxybenzonate로부터 생성된다). pchC와 pchF사이에 open reading frame이 존재하며 9866로 부터는 추가로 다른 하나의 open reading frame (ORF')가 존재한다. 9869과 9866의 유전자 구조는 각각 dhal-pchC-ORF-pchF-pcaGH과 ORF'-dhal-pchC-ORF-pchF다.

  • PDF

Cloning and Expression of Pseudomonas cepacia catB Gene in Pseudomonas putida

  • Song, Seung-Yeon;Jung, Young-Hee;Lee, Myeong-Sok;Lee, Ki-Sung;Kim, Young-Soo;Kim, Chi-Kyung;Choi, Sang-Ho;Min, Kyu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334-340
    • /
    • 1996
  • The enzyme, cis,cis-muconate lactonizing enzyme has been proposed to play a key role in the $\beta$-ketoadipate pathway of benzoate degradation. A 3.2-kb EcoRI fragment termed as pRSU2, isolated from a Pseudomonas cepacia genomic library was able to complement the catB defective mutant. Several relevant restriction enzyme sites were determined within the cloned fragment. In Pseudomonas putida SUC2 carrying pRSU2, the enzyme activ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the induced or partially induced state of wild type P. putida PRS2000. It was probably due to higher expression of P. cepacia catB in P. putida PRS2000. It was probably due to higher expression of P. cepacia catB in P. putida. One possible interpretation of these results is that the catB promoter in P. cepacia is recognized within P. putida, resulting in the almost same expression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