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

검색결과 16,127건 처리시간 0.046초

TORSION POINTS OF ELLIPTIC CURVES WITH BAD REDUCTION AT SOME PRIMES II

  • Yasuda, Masaya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1호
    • /
    • pp.83-96
    • /
    • 2013
  • Let K be a number field and fix a prime number $p$. For any set S of primes of K, we here say that an elliptic curve E over K has S-reduction if E has bad reduction only at the primes of S. There exists the set $B_{K,p}$ of primes of K satisfying that any elliptic curve over K with $B_{K,p}$-reduction has no $p$-torsion points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first aim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elliptic curves over K with $B_{K,p}$-reduction and a $p$-torsion point. The action of the absolute Galois group on the $p$-torsion subgroup of E gives its associated Galois representation $\bar{\rho}_{E,p}$ modulo $p$. We also study the irreducibility and surjectivity of $\bar{\rho}_{E,p}$ for semistable elliptic curves with $B_{K,p}$-reduction.

R-plasmid pSBK203의 ori 부위 재조합 및 이를 이용한 E.coli와 B.subtilis 간의 Shuttle-Vector 구성 (Cloning of ori region of R-plasmid pSBK203 and construction of new shuttle-vectors for E. coli & B. subtilis using cloned fragments)

  • 권동현;석종성;변우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2-273
    • /
    • 1987
  • pBR 322와 pBD9을 이용하여 Staphylococcus aureus에서 분리된 chloramphenicol 저항성(Cmr) plasmid인 pSBK 203상의 ori 부위를 cloning하였다. 또한 E. coli 내에서도 발현하는 pSBK 203상의 Cm 저항성 부위 및 cloning 된 ori 부위를 pBR 322에 재조합시켜 E. coli와 그람양성균인 Bacillus subtilis 양쪽 모두에서 복제되고 또 항생물질에 대한 저항성도 각각 발현되는 shuttle vector 구성을 시도하였다.

  • PDF

직장인의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리터러시가 건강정보추구행동과 건강관련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ffice Workers' Attitudes to Internet Health Information, e-health Literacy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Health-related Behavioral Intention)

  • 김미나;유양숙;황경혜;조옥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57-36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정보 추구행동과 건강관련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서울, 경기도, 충청도 거주하고 있는 직장인 152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정보 추구행동 영향요인으로는 e-헬스 리터러시(${\beta}=.33$, p<.011)와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beta}=.28$, p=.002)이, 건강관련 행위의도 영향요인으로는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beta}=.33$, p=.001)과 정보활용도(${\beta}=.24$, p=.003), e-헬스리터러시(${\beta}=.18$, p=.002)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직장인의 e-헬스 리터러시를 고려하여 정보활용도를 높이는 인터넷 건강정보의 전달시스템 구축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불교란 점토 압밀시험 결과의 새로운 해석법 (A New Analysis Method of the Consolidation Test Data for an Undisturbed Clay)

  • 박종화;고우모또타쯔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6-114
    • /
    • 2002
  •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a series of consolidation test for undisturbed Ariake clay in Japan were analyzed by three methods, e-log p (e: void ratio, p: consolidation pressure), log e-log p and n-log p (n: porosity).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alysis method were studied. For undisturbed Ariake clay, the log o-Log p and the n-log p relationships can be found as two groups of straight lines of different gradients, but both the elastic consolidation and plastic consolidation regions of e-log p relationship are expressed as a curve. In this paper, the porosity of consolidation yield n$\_$y/, consolidation yield stress p$\_$y/, and the gradient of the plastic consolidation region C$\_$p/ were represented by the log e-log p method, and n$\_$c/, P$\_$cn/ and C$\_$cn/ were represented by the n-log p method. The meaning and the relationships of each value were studied,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compression indices i.e. C$\_$cn/, C$\_$p/ and C$\_$c/ are obtained from each analysis method as a function of initial porosity n$\_$0/.

17α-Estradiol에 의한 인체 대장암 세포주 HCT116의 에폽토시스에 수반되는 Bak/Bax의 활성화에 미치는 종양억제단백질 p53의 강화효과 (Tumor-suppressor Protein p53 Sensitizes Human Colorectal Carcinoma HCT116 Cells to 17α-estradiol-induced Apoptosis via Augmentation of Bak/Bax Activation)

  • 한초롱;이지영;김동기;김효영;김세진;장석준;김윤희;전도연;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30-1238
    • /
    • 2013
  • $17{\alpha}$-estradiol ($17{\alpha}-E_2$)의 에폽토시스 유도활성에 미치는 종양억제단백질 p53의 조절효과를 조사하고자, $17{\alpha}-E_2$에 의해 유도되는 에폽토시스 현상들을 인체 대장암 세포주 유래 클론인 HCT116 ($p53^{+/+}$) 및 HCT116 ($p53^{-/-}$) 세포에서 비교하였다. HCT116 ($p53^{+/+}$) 및 HCT116 ($p53^{-/-}$) 세포를 $17{\alpha}-E_2$ ($2.5{\sim}10{\mu}M$)로 처리하거나 혹은 HCT116 ($p53^{+/+}$) 및 HCT116 ($p53^{-/-}$) 세포를 $10{\mu}M$ $17{\alpha}-E_2$로 시간 별로 처리한 결과, HCT116 ($p53^{+/+}$)에 있어서는 세포독성과 에폽토시스-관련 sub-G1 peak의 비율은 처리농도와 시간에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HCT116 ($p53^{-/-}$) 세포의 경우는 이러한 현상이 미약하게 나타났다. $17{\alpha}-E_2$에 의해 유도되는 비정상적 유사분열방추사 형성, 중기판 염색체 배열의 미완성, 이에 따른 유사분열정지($G_2/M$ arrest) 등의 현상은 HCT116 ($p53^{+/+}$) 및 HCT116 ($p53^{-/-}$) 세포에서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17{\alpha}-E_2$에 의해 유도되는 Bak과 Bax의 활성화,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상실(${\Delta}{\Psi}m$ loss), 그리고 PARP 분해 등의 현상은 HCT116 ($p53^{-/-}$) 세포에 비해 HCT116 ($p53^{+/+}$) 세포에서 훨씬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17{\alpha}-E_2$로 처리된 HCT116 ($p53^{+/+}$) 세포에서 확인되는 p53 (Ser-15)의 인산화 및 p53 수준의 증가와 일치하여, 세포 내의 p21및 Bax 수준도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때 $17{\alpha}-E_2$로 처리된 HCT116 ($p53^{-/-}$) 세포에서는 p21 및 Bax의 발현수준이 매우 낮았다. 한편, 에폽토시스 억제단백질인 Bcl-2 단백질 수준은 HCT116 ($p53^{-/-}$) 세포에 비해 HCT116 ($p53^{+/+}$) 세포에서 다소 낮았으나, 이러한 Bcl-2 단백질 수준은 $17{\alpha}-E_2$ 처리 후에도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17{\alpha}-E_2$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에폽토시스 유도 경로의 구성원들의 변화, 즉 비정상적 유사분열방추사 형성 및 이에 따른 유사분열정지($G_2/M$ arrest), 뒤이은 Bak 및 Bax의 활성화,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상실,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caspase cascade 활성화 및 PARP 분해로 진행되는 에폽토시스 현상들 중에서, Bak 및 Bax의 활성화 단계가 종양억제단백질 p53의 에폽토시스 증진 활성에 의해 양성적으로 조절되는 작용 타켓임을 보여준다.

랫드의 스트레스성 위궤양에 대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의 항궤양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ulcer Effects of Opuntia dillenii Haw. on Stomach Ulcer Induced by Water-immersion Stress in Rats)

  • 이후장;이용욱;김정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61
    • /
    • 1998
  •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위궤양에 대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주 48마리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CO)과 3개의 투여군(E-1, E-2, E-3)으로 나누어 1996년 7월 29일부터 1996년 8월 25일까지 4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는 1일 1회 경구투여하였으며, 각각 30mg/kg BW(E-1), 60mg/kg BW(E-1) 및 120mg/kg BW(E-3)의 농도를 수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중은 전 군에 걸쳐서 고르게 증가되었으며, 특히 실험시작 후 13일째의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 E-2가 매우 유의하게 높았고(p<0.01), 실험군 E-3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식이효율은 2.12~3.02으로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2. 위, 간, 신장 및 비장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아TEk. 3. 위의 표면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4. Alcian Blue Staining을 통한 위점액량 산출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 농도에서 점액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군 E-1군은 유의하게 높았고 (p<0.05), 실험군 E-2의 경우 그 증가가 현저하였다(p<0.01). 이로써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위의 점액생성을 촉진시키거나 위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위궤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5. shear rate 11.25, 45.0, 90.0 및 $225.0\;sec^{-1}$에서 전혈점도 및 혈장점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shear rate에서 C군>E-3군>E-1군>E-2군의 경향성을 보였다 E-1(30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shear rate 11.25, $45.0\;sec^{-1}$에서는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1), shear rate 90.0 , $225.0\;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p<0.05). E-2(60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 shear rate에서 매우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 E-3(120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shear rate $11.25\;sec^{-1}$에서 매우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0.01), shear rate 45.0, 225.0 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p<0.05). 동일한 shear rate에서의 혈장점도는, E-1(30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shear rate $90.0\;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p<0.05) E-2(60mg.kg BW)군의 혈장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shear rate 90.0, $225.0\;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p<0.05). E-3(120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 shear rate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스트레스하에서 발생하는 위의 미세혈관 혈류 흐름장애를 개선시켜 위궤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6. 전 실험군의 위를 조사한 결과 출혈을 동반한 궤양이 형성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궤양의 면적과 깊이가 다소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위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궤양이 매우 심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E-2 군의 경우 궤양이 경미한 정도였다. 8. 위궤양의 지표로 사용한 pH, 위점액량, 전혈점도, 조직병리학적 소견 등을 종합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항궤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양의 2배를 투여한 E-2(60mg.kg BW)군에서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 PDF

2_Chloroethylphosphonic Acid가 잎담배 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2-Chloroethylphosphnic Acid on Ripening of Tobacco Leaves)

  • 허일;구한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71-75
    • /
    • 1972
  • 본 실험은 성숙촉진제 C.E.P.A(2-chloroethyl phosphonic acid)를 처리하여 잎담배 성숙촉진 여부와 나아가서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저 1970-1971년 양년에 걸쳐 소사시험장 및 산지적응시험을 시도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도가 높을수록 잎담배 성숙을 촉진시키는 정도가 현저하며 그 효과는 처리후 3-4일부터 나타났다. 2. 열 표면에만 처리해도 효과가 있었으며 성숙촉진 효과는 처리 부분에만 뚜렷하였다. 3. C.E.P.A 처리 효과는 성숙기에 가까운 하위엽에서 뚜렷했고 상위엽에서는 완만하였고 성숙 정도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였다. 4. C.E.P.A는 농도가 높을수록 성숙충족효과는 크지마는 900ppm 이상이 되면 잎의 신전율이 떨어져서 약간이나마 감수가 되며 3,000ppm에서는 약 9%의 수량 감을 가져 오므로 적정농도는 900ppm으로 볼 수 있다. 5. C.E.P.A의 성숙충족 일수를 보면 100ppm에서 1일, 300ppm 3일, 450ppm 3일, 900ppm 4일, 3000ppm에서 약 7일간 단축시킬 수가 있었다. 6. 건조 경과를 보면 C.E.P.A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하여 시간으로 약 29%의 건조시간과 45%의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엿보인다. 7. 그러므로 잎담배 재배에 있어 C.E.P.A를 적정농도(900ppm)로 처리하면 수량의 감소를 가져 오지 않으면서 품질에서 13.5% 수납대금에서 12%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부수적인 효과로서 3,000ppm에 약 7일, 건조시간에서 약24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본다.

  • PDF

B.E.P.가 생쥐의 수영능(水泳能)과 수영부하(水泳負荷)로 야기(惹起)된 흰쥐의 피로회복(疲勞恢復)에 미치는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xperimental study of B.E.P.(Biological Energy Projector) on the swimming Time of Mice and on the Recovery of Muscular Fatigue of Rats)

  • 이철완
    • 혜화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7-371
    • /
    • 1995
  • We have completed a study to measure the contents of glucose, BUN, creatinine. LDH, and T-protein with respect to a fatigued condition in the bloods of rats which a constant swimming is loaded and to measure the maximun swimming time of mice The test has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basic study on the efficacy of B. E. P. (Biological Energy Projector) for emitting a light energy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out of far-infrared rays. As a result.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t testing of mice's maximun swimming time, all of B.E.P.(2. 4. 8. 24hrs) treated group have been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but only 24hrs-B.E.P. treated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4 weeks. 2. The contents of glucose, BUN. creatinine, LDH, and T-protein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swimming of mice have been distinctly changed but not been significantly changed at their increase and decreas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3. At 3rd day out of the swimming loading, the contents of glucose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istinc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24hrs-B.E.P treated group surpassed 8hrs-B.E.P. treated group. 4. At 1st and 3rd day, the contents of creatinine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istinctly increased at B.E.P. (8, 24hrs) treated group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have been recovered to the condition of the normal group. 5. After three days, the contents of BUN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significantly decreased in B.E.P.(8, 24hrs) treated groups at 3rd da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have been recovered to the condition of the normal group. 6. The contents of LDH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ecreased in B.E.P.(8, 24hrs) treated groups at 3rd da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24hrs-B.E.P. treated group has been decreased distinctly than the normal group. 7. The contents of T-protein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istinctly increased in B.E.P. (8, 24hrs) treated groups at 3rd da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nd normal group. As the above results, it has been proved that the execise of mice and the fatigue metabolism of rats were influenced by the light energy emitted the B.E.P., and it has been also proved that the external stimulation could be used as a preferable stimulative factor for the biological metabolism. If the clinical training and study are positively achieved, the B.E.P. would be used as curative mean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helping human body.

  • PDF

폴리에틸렌 멀칭재배(栽培) 시(時) 농약(農藥)의 토양(土壤) 및 작물체중(作物体中) 잔류(殘留)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2 보(報) 폴리에틸렌 멀칭이 잡초발생(雜草發生), 고추, 땅콩, 참깨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Persistence of Pesticides in Soils and Crops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 II. Effect of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Weed Emergence, Growth and Yield of Red pepper, Peanut and Sesame)

  • 양환승;문영희;김낙응;이진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6-315
    • /
    • 1987
  • 폴리에틸렌(이하(以下) P.E) 피복하(被覆下)에서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가 잡초(雜草)의 발생(發生) 및 고추, 땅콩, 참깨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비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고추포장(圃場) : 실험기간중(實驗期間中) 흑색(黑色)P.E피복구(被覆區)에서는 잡초발생(雜草發生)이 전무상태(全無狀態)였고, 투명(透明)P.E피복구(被覆區)에는 노지구(露地區)에 비(比)하여 그 발생량(發生量)들이 1/10로 감소(減少)하였다. 공시(供試) 제초제(除草劑)의 방제율(防除率)은 pendimethalin > diphenamid > alachlor > napropamide 순(順)으로 높았고, 그 방제율(防除率)은 노지(露地)에서보다 투명(透明)P.E피복(被覆)에서가 월등히 높았다. 고추의 초장(草長)과 분지수(分枝數)는 투명(透明)P.E피복구(被覆區) > 흑색(黑色)P.E피복구(被覆區) > 노지구(露地區) 순(順)으로 높았다. 노지구(露地區)의 수량(收量)은 P.E피복구(被覆區)에 비(比)하여 50% 이상(以上) 감소(減少)되었으나, 투명(透明)P.E와 흑색(黑色)P.E피복구(被覆區) 사이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제초제(除草劑) 처리구(處理區)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은 피복유무(被覆有無)에 관계(關係)없이 각각(各各)의 관행구(慣行區)의 것과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2. 땅콩포장(圃場) : 투명(透明)P.E피복구(被覆區)에 있어서 잡초(雜草) 발생량(發生量)은 노지구(露地區)에 비(比)하여 1/8로 감소(減少)되었다. alachlor, napropamide, diphenamid의 잡초(雜草), 방제율(防除率)은 노지(露地) 및 P.E피복구(被覆區)에서 다같이 93~100%로 매우 우수하였다. 투명(透明)P.E피복구(被覆區)에서 총분지수(總分枝數), 주경장(主莖長) 및 지상부(地上部) 경엽중(莖葉重)은 노지구(露地區)에 비(比)하여 각각(各各) 2, 1.7, 2.4배(倍) 높았다. 협실중(莢實重)도 P.E피복구(被覆區)가 노지구(露地區)에 비(比)하여 38% 증수(增收)되었다. 제초제(除草劑) 처리구(處理區)에 있어서 땅콩의 생육(生育) 및 협실중(莢實重)은 피복유무(被覆有無)에 관계(關係)없이 각각(各各)의 관행구(慣行區)와 차이(差異)가 없었다. 3. 참깨포장(圃場) : 노지구(露地區)에 있어서 잡초(雜草) 발생량(發生量)은 투명(透明)P.E피복구(被覆區)에서 보다 10배(倍) 많았다. 공시(供試) 제초제별(除草劑別) 방제율(防除率)은 노지(露地)에서 alachlor(120g ai/10a)가 84%, napropamide(130g ai/10a)가 76%, diphenamid(250g ai/10a)가 76%였으나 투명(透明)P.E피복하(被覆下)에서는 3약제(藥劑) 모두 방제율(防除率)이 95% 이상(以上)까지 향상(向上)되었다. 관행구(慣行區)에서 참깨의 발아율(發芽率)은 P.E피복구(被覆區)에 비(比)하여 노지구(露地區)에서 크게 낮았다. 제초제(除草劑) 처리구(處理區)에 있어서 발아율(發芽率)은 피복유무(被覆有無)에 관계(關係)없이 무처리(無處理) 관행구(慣行區)에 비(比)하여 낮았으며 약제간(藥劑間)에는 diphenamid < napropamide < alachlor 순(順)으로 낮았다. 초기약해(初期藥害)는 약제(藥劑) 처리구(處理區) 천체에서 나타났으며, 약해정도(藥害程度)는 피복구(被覆區)에서보다 노지구(露地區)에서 심하였고, 노지구(露地區)에서는 완전(完全)히 회복(回復)되지 못하였다. alachlor의 경우는 P.E피복구(被覆區)에서도 회복(回複)되지 못하였다. 초장(草長) 및 1본당(本當) 삭과수(蒴果數)도 초기약해(初期藥害)와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이었다. 수량(收量)은 약제처리구(藥劑處理區) 모두 노지조건(露地條件)에서는 관행구(慣行區)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투명(透明)P.E피복조건(被覆條件)에서는 diphenamid와 napropamide 처리구(處理區)가 관행구(慣行區)에 비(比)하여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 PDF

재조합 대장균 pYC17이 생성하는 세포내 invertase의 생합성 조절 (Biosynthetic Regulation of Invertase from Recombinant E. coil pYC17)

  • 이성훈;노재덕;이대형;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03-111
    • /
    • 2006
  • 호알칼리성이며 고온성인 Bacillus sp. TA-11이 세포내로 생성하는 invertase 유전자를 대장균에 클로닝 시켜 얻은 재조합 E. coil pYC17의 invertase 생합성 조절양상을 조사 하였다. 재조합 E. coil의 invertase는 30 mM sucrose에 의해 3시간에 가장 효과적으로 유도 되었으며 조합 E. coil pYC17의 sucrose에 의한 invertase 유도는 10 mM의 glucose 농도에서 심하게 억제 되었다. 이러한 재조합 E. coil pYC17에서의 invertase 생합성 조절 양상은 친주인 Bacillus sp. TA-11과 유사하였으나 저해농도는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