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laying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4초

도시 녹지공간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항공기 활용방안 (Application of UAV for Vegetation Monitoring in Urban Green Space)

  • 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72
    • /
    • 2019
  • With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us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s, the possibility of remote sensing research for urban green spaces is increasing. UAVs can be used as an investigation method to monitor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the park and the planting of vegetation since its cre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UAVs utilization of urban green space monitoring in Dosol Square. It was photographed three times on May 21, July 13, and September 16, 2018 using DJI Phantom3 pro, Inspire2, and Parrot Sequoia multispectral camera. Orthographic images were overlaid on the planting plan of the site and the construction results were checked, the change of vitality of the plantation area was analyzed by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SAVI(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UAVs are very effective for surveying the view of the urban green space after the construction and recording the results, which can be grasped quantitatively by overlaying the planting plan map. UAVs are more likely to be used in terms of monitoring vegetation vitality. It is interpreted that SAVI is better than NDVI in the green space just after composition. Chionanthus retusus and Pinus strobus were analyzed for their low level of vitality, and partially damaged and their vitality was lowered. In addition, there was difficulty in grass planting area and flower garden due to drainage and summer drought problem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orthoimage and multispectral data using UAVs will be useful in the early vege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field of urban green spaces.

내목도리 지지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ing Method of the Nemok-dori)

  • 허경도;정명섭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3호
    • /
    • pp.69-78
    • /
    • 2020
  •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role and relation of the Nemok-dori support members in order to clearly specify the structure of the Dapogye architecture which adopts the Nemok-dori. The dori at the eaves in the Dapogye architecture was expanded to include Oemok-dori, Jusim-dori and Nemok-dori in cooperation with the bracket. The Oemok-dori is used to lengthen the eaves and the Jusim-dori makes the reasonable transfer of loads while the Namok-dori contributes to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through the balancing of the bracket. Nemok-dori is located higher than Oemok-dori or Jusim-dori, depending on the slope of Jangyeon and the distance of Chulmok. But as it is not directly supported by bracket or beam, it needs an independent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of Nemok-dori is selectively involved with Cheomcha, lower Jangyeo, support Wall and upper Jangyeo. As the time went by, the vertical height increased, thus making the omitted members less. The horizontal support of Nemok-dori is made in various ways. There are also special cases such as the Nemok-dori □ type chain structure for small rectangular buildings, the 'Nemok-dori = Jung-dori' type for the buildings having small sides and the 'Nemok-dori = Meongechangbang' type appearing on the lower part of the Bankanmulrim type middle height buildings. The horizontal support of Nemok-dori usually uses either the support of the Toeryang type member, the support of beam directed Hwaban or the support through overlaying of internal Jegong. As the time went by and the number and distance of Chulmok increased, the multiple support structures acted together rather than as one support structure. Nemok-dori got stabilized as it has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pports and this support structure also has he role of decoration.

AgNWs/Ga-doped ZnO 복합전극 적용 CdSe양자점 기반 투명발광소자 (CdSe Quantum Dot based Transparent Light-emitting Device using Silver Nanowire/Ga-doped ZnO Composite Electrode)

  • 박재홍;김효준;강현우;김종수;정용석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10
    • /
    • 2020
  • The silver nanowires (AgNWs) were synthesized by the conventional polyol process, which revealed 25 ㎛ and 30 nm of average length and diameter, respectively. The synthesized AgNWs were applied to the CdSe/CdZnS quantum dot (QD) based transparent light-emitting device (LED). The device using a randomly networked AgNWs electrode had some problems such as the high threshold voltage (for operating the device) due to the random pores from the networked AgNWs. As a method of improvement, a composite electrode was formed by overlaying the ZnO:Ga on the AgNWs network. The device used the composite electrode revealed a low threshold voltage (4.4 Vth) and high current density compared to the AgNWs only electrode device. The brightness and current density of the device using composite electrode were 55.57 cd/㎡ and 41.54 mA/㎠ at the operating voltage of 12.8 V, respectively, while the brightness and current density of the device using (single) AgNWs only were 1.71 cd/㎡ and 2.05 mA/㎠ at the same operating voltage. The transmittance of the device revealed 65 % in a range of visible light. Besides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s was confirmed that the device using the composite electrode revealed 2 times longer lifetime than that of the AgNWs only electrode device.

환경 DNA 메타바코딩을 활용한 멧돼지 및 육상 포유류 출현 모니터링 - 경기도 양평군 일대를 중심으로 - (Monitoring the presence of wild boar and land mammals using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 Case study in Yangpyeong-gun, Gyeonggi-do -)

  • 김용환;한윤하;박지윤;김호걸;조수현;송영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33-14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location of land mammals habitat by analyzing spatial data and investigate how to apply environmental DNA monitoring methodology to lotic system in Yangpyeong-gun, Gyeonggi-do. Environmental DNA sampling points are selected through spatial analysis with QGIS open source program by overlaying Kernel density of wild boar(Sus scrofa), elevation, slope and land-cover map, and 81 samples are collected. After 240 mL of water was filtered in each sample, metabarcoding technique using MiMammal universal primer was applied in order to get a whole list of mammal species whose DNA particles contained in filtered water. 8 and 22 samples showed DNA of wild boar and water deer, respectively. DNA of raccoon dog, Eurasian otter, and Siberian weasel are also detected through metabarcoding analysis. This study is valuable that conducted in outdoor lotic system. The study suggests a new wildlife monitoring methodology integrating overlayed geographic data and environmental DNA.

수록 한지의 초지방식과 도침이 강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per Making Methods and Dochim of Handmade Korean Paper(Hanji) on the Strength)

  • 전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34-143
    • /
    • 2002
  • 본 시험은 외발뜨기 한지와 쌍발뜨기 한지의 물리적 특성과 도침이 지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검증된 토착한지와 오늘날 전통식으로 제조한 한지, 그리고 개량 한지를 대상으로 했다. 외발뜨기 한지는 치우치지 않는 강도적 특성 때문에 실제 사용할 때, 강하고 질기며 잘 해어지지 않는 종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질기다고 느껴지는 것은 좋은 원료와 토착식 제법으로 여러 장 겹쳐서 절대적인 강도를 향상 시켰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상대적 강도인 지수비교에서는 기타 한지와 큰 차이가 없었다. 도침은 내절도를 두드러지게 향상시키며 열단장과 파열지수를 높이는 역할을 했다. 특히 열단장(인장강도)의 향상을 가져왔다. 섬유 배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초지한 외발뜨기 한지를 쌍발뜨기 한지와 비교해 보면 가로·세로의 강도 차이가 약간 적다는 것 외에 특별히 뛰어난 점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라텍스개질콘크리트로 보수·보강된 RC 보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Effect of RC Beam Repaired and Strengthened by Latex Modified Concrete)

  • 김성환;윤경구;김용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A호
    • /
    • pp.503-51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LMC로 덧씌우기 또는 보수 된 형태의 RC 보의 정적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따라서, LMC로 덧씌우기 및 보수된 RC 보를 상대습도 60%, 온도 $20^{\circ}C$의 조건에서 양생을 실시하여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시험체를 4점 휨 실험을 수행하여 균열양상, 파괴거동 및 극한강도 등의 거동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전단철근이 보강된 보수형태의 RC보의 경우 100%이상의 내하력을 회복하여 보수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고, LMC로 압축부에 덧씌우기 된 시험체의 경우 덧씌우기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내하력이 크게 증진되었다. 그러나, 전단철근이 보강되지 않은 보수형태의 시험체와 인장부 덧씌우기된 시험체는 부착계면 파괴양상을 보여주어 보수 및 보강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착계면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단흐름 개념을 도입하여 LMC로 압축 덧씌우기된 시험체를 대상으로 하중증가에 따른 전단흐름량을 계산하여 부착계면 특성을 수치적으로 나타내었다.

위성원격탐사와 분류 및 회귀트리를 이용한 중랑천 유역의 불투수층 추정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of Jungnangcheon Basin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 김수영;허준행;허준;김성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D호
    • /
    • pp.915-922
    • /
    • 2008
  • 불투수층은 자연적인 침투를 허용하지 않는 인위적인 토지피복상태로, 도시화율을 추정하거나 도시의 환경변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되어 왔다. 수문학적인 관점에서 불투수층은 단기 유출현상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층의 영향이 더욱 커짐에 따라 불투수층의 추정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투수층을 추정하기 위해 중랑천 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30m{\times}30m$ 공간해상도의 Landsat-7 ETM+ 영상과 $1m{\times}1m$의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구축하였으며 tasselled cap 변환과 식생지수(NDVI) 변환을 수행하여 다양한 예측변수를 고려하였다. 수집된 학습자료에 분류 및 회귀트리를 적용하여 불투수층 추정모델을 구성하였고, 이를 지도화하여 중랑천 유역의 불투수층을 나타냈다.

전라남도 압해도 백악기층에서 발견된 공룡알 둥지의 K-Ar 연대 (K-Ar Ages of Dinosaur Egg Nest found in Cretaceous Formation of Aphaedo, Jeollanam-do, Korea)

  • 이찬영;김보성;김명지;김정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9-336
    • /
    • 2012
  • 2009년 9월 전남 신안군 압해도 지역의 백악기층에서 완벽하게 보존된 공룡알둥지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압해도 백악기층의 퇴적시기와 공룡들의 활동시기를 밝히기 위하여 이 지층과 동시퇴적구조를 보이는 화산암역, 이 지층을 정합으로 덮는 산성응회암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산성맥암에 대하여 K-Ar 전암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이 지층에서 관찰되는 화산암은 렌즈상의 역암과 역질이암층의 역으로 발견되며 그 직경은 3-20 cm이다. 이 층에 포함된 공룡알 둥지와 동시퇴적 구조를 보이는 6개의 화산암역을 대상으로 K-Ar 전암연대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값은 후기 백악기의 세노마니안($97.6{\pm}1.9$ Ma), 코니아시안($87.6{\pm}1.7$ Ma), 산토니안($84.5{\pm}1.7$ Ma), 캄파니안($82.5{\pm}1.6$, $77.3{\pm}1.5$, $75.7{\pm}1.5$ Ma)에 해당한다. 이 백악기층을 부정합으로 덮는 산성응회암에 대하여 동일 조건으로 K-Ar 전암연대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캄파니안($79.2{\pm}1.6$, $77.3{\pm}1.5$Ma)에 속한다. 상기의 모든 암층을 관입하는 산성맥암에 대한 K-Ar 전암 연대측정 결과는 $70.9{\pm}1.4$ Ma로 캄파니안에 속한다. 압해도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층의 퇴적시기와 공룡의 활동시기는 77-83 Ma 사이이며 이 결과는 공룡알을 포함하는 보성 선소층(81 Ma)과 공룡, 익룡 및 물갈퀴 새발자국을 포함하는 해남 우항리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지질연대(79-81 Ma) 등이 서로 대비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기능성 위장 장애 진단용 초음파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Ultrasound Diagnostic System for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 박원필;우대곤;고창용;이균정;이용흠;최서형;신태민;김한성;임도형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130-139
    • /
    • 2007
  • The disaster from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GID) has detrimental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affected population. There are, however, rare diagnostic methods for FGID. Our research group identified recently that the gastrointestinal tract well of the patients with FGID became more rigid than that of healthy people when palpating the abdominal regions overlayi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herefore, to identify feasibility of a diagnostic system for FGID based on ultrasound technique, which can quantify the characteristics above. Two-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FD) models (one normal and two rigid models) were developed to analyze the reflective characteristic (displacement) on each soft-tissue layer responded after application of ultrasound signals. Based on the results from FD analysis, the ultrasound system for diagnosis of the FGID was developed and clinically tested via application of it to 40 human subjects with/without FGID who were assigned to Normal and Patient Groups. The results from FD analysis showed that the maximum displacement amplitude in the rigid models (0.12 and 0.16)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at and muscle layers was explicitly less than that in the normal model (0.29). The results from actual specimens showed that the maximum amplitude of the ultrasound reflective signal in the rigid models $(0.2{\pm}0.1Vp-p)$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at and muscle layers was explicitly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model $(0.1{\pm}0.0Vp-p)$. Clinical tests using our customized ultrasound system showed that the maximum amplitudes of the ultrasound reflective signals near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well for the patient group $(2.6{\pm}0.3Vp-p)$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in normal group $(0.1{\pm}0.2Vp-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ur customized ultrasound system using the ultrasound reflective signal may be helpful to the diagnosis of the FGID.

기온과 토양요인을 고려한 난지형 마늘 재배적지 분석 (Assessing Southern-type Garlic Suitability with regards to Soil and Temperature Conditions)

  • 김용완;장민원;홍석영;김이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6-271
    • /
    • 2012
  •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의 생육시기별 기온을 고려하고 토양조건을 반영하여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는 영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분포되었다. 그 중 최적지와 적지로 분류된 면적이 많은 지역은 나주시 14,058 ha, 정읍시 13,845 ha, 고창군 12,278 ha, 진주시 11,055 ha, 창녕군 9,713 ha 등으로 나타났으며, 난지형 마늘 주생산지의 경우 무안군이 5,216 ha, 해남군 5,092 ha, 고흥군 3,212 ha, 신안군 2,253 ha, 남해군 958 ha로 각각 분석되었다. 그리고 토지이용조건을 추가로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와 주생산지의 실제 난지형 마늘재배면적을 비교한 결과 고흥군과 신안군이 실제 재배면적과 비슷하게 분석되었으며 해남군과 무안군은 실제재배면적보다 크게 나타났고 남해군의 경우는 분석결과가 작게 나타났다. 작물 재배는 여러 가지 생육조건과 사회적 영향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므로 난지형 마늘의 실제 주생산지와 본 연구에서 나타난 난지형 마늘 재배적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하지만 향후 우리나라에서 난지형 마늘 재배 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재배적지 분석결과를 이용하게 되면 난지형 마늘의 효율적인 재배가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되며 보다 효율적인 재배적지 분석을 위해서는 차후 토양과 기온조건 외에도 농업수리 등 다른 변수들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