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Ar Ages of Dinosaur Egg Nest found in Cretaceous Formation of Aphaedo, Jeollanam-do, Korea

전라남도 압해도 백악기층에서 발견된 공룡알 둥지의 K-Ar 연대

  • Received : 2012.08.02
  • Accepted : 2012.08.21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In September 2009, a perfectly preserved fossil of a dinosaur egg nest was discovered in the Cretaceous formations of the Aphaedo area in Shinan, Jeollanam-do, South Korea. In order to estimate the age of dinosaur eggshells and the depositional age of the Cretaceous sediments in Aphaedo area, a whole-rock K-Ar dating was carried out on volcanic pebbles showing a sedimentary structure contemporaneous with the Aphaedo strata, acidic tuffs overlaying the strata conformably, and acidic dike rocks intrude to both of them. Volcanic rocks observed in the strata are 3-20 cm in diameter as pebbles found in lenticular conglomerate and pebble bearing mudstone strata. K-Ar whole-rock dating was performed on six different volcanic pebbles which show a sedimentary structure contemporaneous with the dinosaur egg nest contained in the strata, and all samples show Late Cretaceous ages: Cenomanian ($97.6{\pm}1.9$Ma), Coniacian ($87.6{\pm}1.7$ Ma), Santonian ($84.5{\pm}1.7$Ma) or Campanian ($82.5{\pm}1.6$, $77.3{\pm}1.5$, $75.7{\pm}1.5$ Ma). The K-Ar whole-rock age of acidic tuffs overlaying the Cretaceous formation conformably was estimated to be Campanian ($79.2{\pm}1.6$ or $77.3{\pm}1.5$Ma), when the dating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acidic dike intruding both Cretaceous formation and acidic tuff showed a K-Ar whole-rock age of $70.9{\pm}1.4$Ma (Campanian). Therefore, the depositional age of the Cretaceous formation in the Aphaedo area and the time when dinosaurs lived in the study area are considered to be 77-83 Ma. Such results indicate that the ages of dinosaur eggshells from Aphaedo area can be correlated with the ages of the Seonso Formation (81Ma) with dinosaur egg nest fossils and the Uhangri Formation (79-81Ma) with dinosaur, pterosaur and web-footed bird tracks.

2009년 9월 전남 신안군 압해도 지역의 백악기층에서 완벽하게 보존된 공룡알둥지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압해도 백악기층의 퇴적시기와 공룡들의 활동시기를 밝히기 위하여 이 지층과 동시퇴적구조를 보이는 화산암역, 이 지층을 정합으로 덮는 산성응회암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산성맥암에 대하여 K-Ar 전암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이 지층에서 관찰되는 화산암은 렌즈상의 역암과 역질이암층의 역으로 발견되며 그 직경은 3-20 cm이다. 이 층에 포함된 공룡알 둥지와 동시퇴적 구조를 보이는 6개의 화산암역을 대상으로 K-Ar 전암연대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값은 후기 백악기의 세노마니안($97.6{\pm}1.9$ Ma), 코니아시안($87.6{\pm}1.7$ Ma), 산토니안($84.5{\pm}1.7$ Ma), 캄파니안($82.5{\pm}1.6$, $77.3{\pm}1.5$, $75.7{\pm}1.5$ Ma)에 해당한다. 이 백악기층을 부정합으로 덮는 산성응회암에 대하여 동일 조건으로 K-Ar 전암연대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캄파니안($79.2{\pm}1.6$, $77.3{\pm}1.5$Ma)에 속한다. 상기의 모든 암층을 관입하는 산성맥암에 대한 K-Ar 전암 연대측정 결과는 $70.9{\pm}1.4$ Ma로 캄파니안에 속한다. 압해도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층의 퇴적시기와 공룡의 활동시기는 77-83 Ma 사이이며 이 결과는 공룡알을 포함하는 보성 선소층(81 Ma)과 공룡, 익룡 및 물갈퀴 새발자국을 포함하는 해남 우항리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지질연대(79-81 Ma) 등이 서로 대비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승, 유봉철, 장보안, 김정빈, 2009, 옥천습곡대 서남부지역에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석영내 아문미세균열 및 유체포유물을 이용한 고응력장. 한국지구과학회지, 30, 19-32. https://doi.org/10.5467/JKESS.2009.30.1.019
  2. 김상욱, 윤윤영, 1971, 한국지질도: 1:50,000 진도.지산도폭. 국립지질조사소, 25 p.
  3. 김용준, 오민수, 박재봉, 1993, 나주-해남 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 한국지구과학회지, 14, 300-315.
  4. 김정민, 2001, 한국기초과학연구원에 도입된 K-Ar 연대 측정 시스템: 개요 및 성능. 암석학회지, 10, 172-178.
  5. 김정빈, 2008, 시화호층 내 화산암력의 K-Ar 연대와 지질학적 의미. 대한지질학회지, 44, 399-408.
  6. 박계헌, 백인성, 허민, 2003, 여수시 도서지역의 백악기층에 나타나는 화성활동 및 퇴적시기. 한국암석학회지, 12, 70-78.
  7. 박노영, 김정환, 1972, 남양도폭. 국립지질조사소, 30 p.
  8. 백인성, 천종화, 1993, 경상누층군 하산동층의 공룡알 화석. 한국고생물학회지, 13, 21-36.
  9. 목포자연사박물관, 2010, 압해도 공룡알 화석 발굴 조사 중간보고서. 78-4800200-000001-01 51 p.
  10. 신인현, 남기상, 1993, 해남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의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4, 75-88.
  11. 양승영, 2005, 자연유산으로서의 화석과 화석산지의 관리.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p. 76.
  12. 양승영, 백인성, 김태완, 서승조, 2006, 경남 함안군 군북면 백이산의 함안층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 한국지구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 103.
  13. 윤철수, 백광석, 정형석, 2004, 경남 사천시 신수도에서 발견된 공룡알 화석. 한국고생물학회지, 20, 31-37.
  14. 윤철수, 양승영, 1997, 한국 경상누층군 하산동층의 공룡알화석. 한국고생물학회 1997년도 정기총회 및 제13차 학술발표회, p. 12.
  15. 이병주, 김유봉, 이승렬, 김정찬, 강필종, 최현일, 진명식, 1999a, 1/250,000, 서울-남천점도폭. 한국자원연구소, 64 p.
  16. 이병주, 이승렬, 조등룡, 1999b, 대부도 지질도폭조사 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43 p.
  17. 이융남, 2004, 공룡 알. 한국고생물학회 창립 20주년기념 한국고생물학회지 특별호, p. 285-294.
  18. 이융남, 김복철, 이윤수, 기원서, 2007, 경기도 화성시 남양분지에서 발견된 새로운 공룡알 화석산지. 한국고생물학회지, 23, 15-26.
  19. 임성규, 박두광, 문종명, 2006, 대구광역시에 분포하는 하부 백악기 반야월층에서 산출되는 공룡발자국. 한국지구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 260.
  20. 최범영, 최현일, 황재하, 기원서, 고희재, 김유봉, 이병주, 송교영, 김정찬, 최영섭, 2002, 1/250,000 목포.여수 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5 p.
  21. 최유구, 윤형대, 1968, 한국지질도: 1:50,000 장흥도폭. 국립지질조사소, 18 p.
  22. 허민, 백인성, 이용일, 김해경, 1999, 전남 보성에서 발견된 공룡알 화석과 공룡알 둥지. 지질학회지, 35, 229-232.
  23. 허민, 백인성, 정철환, 박재봉, 김보성, 2001, 전남 여수시 도서지역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 화석 보고. 대한지질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한국석유지질학회.한국암석학회 제56차 추계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88.
  24. 허민, 백인성, 정철환, 황구근, 김보성, 2003, 전남 화순군 서유리에서 산출된 수각류 공룡 발자국: 산상 및 고생물학적 의의. 대한지질학회지, 39, 461-478.
  25. 허민, 백인성, 박준, 황구근, 이용일, 양승영, 임종덕, 이영엽, 정대교, 서승조, 박계헌, 문기현, 2006, 남한의 공룡알화석 산출 현황. 대한지질학회지, 42, 523-547.
  26. 허민, 황구근, 2004, 공룡발자국-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생물학회 창립 20주년기념 한국고생물학회지, 특별호, 319-335.
  27. 황구근, 허민, 백인성, 2002, 마산시 호계리 부근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공룡발자국화석. 대한지질학회지, 38, 361-375.
  28. 황구근, 허민, 백인성, 2004, 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리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공룡의 보행열. 대한지질학회지, 40, 145-159.
  29. 황재하, 최범영, 김복철, 기원서, 송교영, 2000, 1:25,000 무안지질도폭. 한국자원연구소, 58 p.
  30. Kim, C.B., Kim, J.M., and Huh, M., 2008, Age and stratification of Dinosaur eggs and clutches from Seonso Formation, South Korea.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386-395. https://doi.org/10.5467/JKESS.2008.29.5.386
  31. Kim, C.B., Huh, M., Cheong, C.S., Lockley, M.G., and Chang, H.W., 2003, Age of the pterosaur and webfooted bird tracks associated with dinosura footprints from South Korea. The Island Arc, 12, 125-131. https://doi.org/10.1046/j.1440-1738.2003.00385.x
  32. Kim, I.J. and Nagao, K., 1992, K-Ar ages of the hydrothermal clay deposits and the sourrounding igneous rocks in southwest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 58-70.
  33. Nagao, K., Ogata, A., Miura, Y.N., and Yamaguchi, T., 1996, Ar isotope analysis for K-Ar dating using two modified-VG 5400 mass spectrometer- 1: isotope dilution method. Journal of the Mass Spectrometry Society of Japan, 44, 39-61. https://doi.org/10.5702/massspec.44.39
  34. Steiger, R.H. and Jäger, E., 1977, Subcommission on Geochronology: Convention on the use of the decay constant in Geo- and cosmochronology.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36, 359-362. https://doi.org/10.1016/0012-821X(77)90060-7

Cited by

  1. K-Ar Ages for Mesozoic Volcanic Rocks in the Geumdang Island, Jeonam, Korea vol.34, pp.4,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3.34.4.329
  2. K-Ar Ages of the Volcanic Rocks from the Cretaceous Strata in Gurye Area, Jeonnam Province, South Korea vol.36, pp.1, 2015, https://doi.org/10.5467/JKESS.2015.36.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