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dependenc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초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Parental Role Intelligence.

  • Choi, Dea-H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25-23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mother's smart phone overdependence prevention education are needed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arent role intelligence. The research subjects were 220 mothers of 0-2 years old who are attending 15 day care centers in Cheong-ju, Chung-buk. The research tool used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and parent role intelligence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Pearson's Rati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role intelligenc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velopmental stimulation, parenting, support, and managemen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y, parent role intelligence, and sub factors. This suggests that smartphone overdepend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mother should be needed for nurturing of desirable infants.

중국 청소년의 학업성적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련성: 부모개입의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dolesc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 유행;유계숙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7-179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dolesc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Method: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72 adolescent students in three middle schools (n = 224) and three high schools (n = 248) in Shanghai, China. The survey consisted of the "S-Scale for Smartphone Addiction," the "Parental Involvement Scale," and questions regarding perceived academic performance using a demographic questionnaire. Results: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First, after controlling for the stu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ents' perceived academic performa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level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Second,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Chinese adolescents with low levels of perceived academic performance and high levels of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showed high level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Finally,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only in middle-school students.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healthy smartphone use and education and therapy programs for Chinese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to prev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고등학생들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스마트폰 과의존과 우울과의 관련성 연구 (Study abo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for Life Care of High School Students)

  • 손성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09-31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 50명이다.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에 대한 분석은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은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를 감소시키고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며,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ental health in South Korean adolescents: a secondary data analysis

  • Hyeseon Yun;Eun Kyoung Cho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87-96
    • /
    • 2024
  • Purpose: The rising prevalenc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adolescents and its detrimental impact on mental health have become a growing concer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drawn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onducted in 2020. The dependent variable as smartphone overdependence, while the main exposure of interest was mental health, encompa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perceived stress, sources of perceived stress, perceived loneliness, and perceived depressive symptoms. The study employed the Rao-Scot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IBM SPSS version 26.0. Results: The participants comprised 54,948 adolescents aged 13 to 18 years. Among them, 25.1% (n=13,775) were categorized as smartphone overdependence group. Specifically, 20.3% of adolescents who reported GAD ≥10 and 22.5% of those who reported experiencing high levels of perceived loneliness were identified as smartphone overdependent. The GAD increased a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y 2.61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2.46-2.77). Perceived loneliness was associated with 1.98-fold (95% CI: 1.87-2.09) increased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dditionally, conflict with peers was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y 4.63-fold (95% CI: 3.89-5.52), followed by conflict with parents (odds ratio [OR]: 4.52, 95% CI: 3.84-5.31), and family environment (OR: 4.52, 95% CI: 3.75-5.46). Conclusion: The findings underscore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Healthcare services to improve their emotional coping and interpersonal skills are necessary.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Out-of-school Youths in Korea)

  • 이신애;조명선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2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out-of-school youths. Methods: This was a cross sectional study design using the out of school youth Panel Survey(2017).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consisting of 318 participants with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Results: Smartphone overdependence correlated positively with depression and carrier barriers such as lack of career informations, career development anxiety and financial difficulties. The main 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adolescents out of school were depression (β = .22, p = .002), gender (β = .21, p <.001), future anxiety (β = .15, p = .0.0), subjective health status (β = .13, p = .028), smoking (β = .13, p = .032). Conclusion: Smartphone overdependence management programs for out-of-school youths should be included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to alleviate anxiety, fear of failing in one's career, as well as ment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reduce level of depression.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 및 심각성 인식에 따른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및 이용 시 정서 특성 차이 비교 (Effects of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ersonal Perception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Irrational Perception in Smartphone Usages and Related Emotional Behavior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22-23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개인의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집단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분류된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분류된 집단에 따라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스마트폰 이용 시 정서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청소년(만10~19세)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2,033명이었다. 분석 방법으로 ${\chi}^2$검정, 다변량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의 심각성 정도와 심각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스마트폰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 1,038명(51.1%),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 480명(23.6%),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 365명(18.0%),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 150명(7.4%)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네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이 다른 세 집단보다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수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과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이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과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보다 스마트폰 이용 시 느끼는 긍정 정서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 특징을 이해하고, 과의존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과의존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해소를 위한 도움추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교육과 부모중재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Help-Seeking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Adolescents)

  • 이영글
    • 정보화정책
    • /
    • 제25권1호
    • /
    • pp.82-98
    • /
    • 2018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의존을 해결하기 위한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자료 중 10세 이상 20세 미만의 청소년 5,24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과의존을 해결하기 위한 도움추구의 영향 요인으로서 예방교육과 부모중재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매개요인으로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스마트폰 과의존을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예방교육은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추는데 직접적인 효과를 지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적인 도움을 추구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중재는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적인 도움추구에 긍정적인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과의존 해결과 전문적인 도움추구에 있어서 예방교육과 부모중재의 역할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과 전문적 도움추구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스마트폰 과의존 판별을 위한 기계 학습 기법의 응용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Problematic Smartphone Use)

  • 김우성;한준희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293-309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the degre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ased on mobile phone usage patterns. Design/methodology/approach - In this study, a survey conducted by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KISA) called "problematic smartphone use survey" was analyzed. The survey consists of 180 question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9,712 participants. Based on the data on the smartphone usage pattern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smartphone addiction level was predicted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NN, gradient boosting, XGBoost, CatBoost, AdaBoost and random forest algorithms were employed. Findings - First, while various factors together influence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the results show that all machine learning techniques perform well to predict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Especially, we focus on the features which can be obtained from the smartphone log data (without psychological factors). It means that our results can be a basis for diagnostic programs to detect problematic smartphone use.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on users' age, marriag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s can be used as predictors to determine whether users are addicted to smartphones.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or region did not appear to significantly affect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While there are some studies that predict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but the studies only present algorithm performance based on survey data. In this study, based on the information gain measure, questions that have more influence o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are presented, and the performance of algorithms according to the questions is compar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can be predicted with less information if questions about smartphone use are given appropriately.

3세 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학령 초기 아동의 미디어 과몰입 간 종단적 관계: 내재화 문제행동의 매개역할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ity at Age Three and Media Overdependence in Early School Age: The Mediating Role of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 김다혜;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3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emotionality at age three predicts early school-age media overdependence and to examine the potential mediating role of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Methods: This study employed data from the 4th and 10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comprising a sample of 1,270 children. Assessments of emotionality (4th wave), media overdependence (10th wave),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10th wave) were conducted. Data analysis utilized SPSS and the Process Macro. Results: At age 3, heightened emotionality was found to directly contribute to an increased tendency for media overdependence in early school age.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played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ity and media overdepend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validated a significant longitudinal connection between emotionality and the inclination to excessively rely on media, highlighting the role of internalization behavior problems in this relationship. It is essential to provide focused attention, especially to children displaying heightened emotionality in early childhood, in order to proactively prevent internalization behavior problems and the undue dependence on media.

여자 고등학생들의 대인관계의 질이 스마트 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aliy of friendship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women high school students)

  • 안병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488-1497
    • /
    • 2023
  • 고등학생의 시기에서는 대인관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불안정한 대인관계는 심리정서적 문제를 유발하는 등 부정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대인관계에 있어 심리정서적 측면을 남성보다 더 고려하는 여자 고등학생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이러한 문제는 두드러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자 고등학생들의 대인관계의 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시 W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고등학생 53명이다. 대인관계의 질은 Korean ver. of 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대인관계의 질은 21문항이며,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대인관계의 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10문항이며, 4점 척도로 점수가 높으면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대인관계의 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 (-)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의 질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저하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여자 고등학생들의 대인관계,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한 교육과 접근에 있어서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야 할 것이며,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후속 연구들에서는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다양한 대상군들과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과 대인관계의 질의 관계에 있어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한 심층 분석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