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ity at Age Three and Media Overdependence in Early School Age: The Mediating Role of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3세 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학령 초기 아동의 미디어 과몰입 간 종단적 관계: 내재화 문제행동의 매개역할

  • 김다혜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연하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23.11.15
  • Accepted : 2024.01.18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emotionality at age three predicts early school-age media overdependence and to examine the potential mediating role of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Methods: This study employed data from the 4th and 10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comprising a sample of 1,270 children. Assessments of emotionality (4th wave), media overdependence (10th wave),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10th wave) were conducted. Data analysis utilized SPSS and the Process Macro. Results: At age 3, heightened emotionality was found to directly contribute to an increased tendency for media overdependence in early school age.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played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ity and media overdepend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validated a significant longitudinal connection between emotionality and the inclination to excessively rely on media, highlighting the role of internalization behavior problems in this relationship. It is essential to provide focused attention, especially to children displaying heightened emotionality in early childhood, in order to proactively prevent internalization behavior problems and the undue dependence on media.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2022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2. 김경민 (2021). 부모의 허용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기기 중독을 매개로. 육아정책연구, 15(2), 75-96. doi:10.5718/kcep.2021.15.2.75
  3. 김동일, 정여주, 이윤희 (2013). 스마트 미디어 중독 개념 및 특성 분석 델파이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4(4), 49-71. https://doi.org/10.15753/AJE.2013.14.4.003
  4. 김송이, 김현수 (2016). 유아의 자극추구 및 위험회피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모-유아 애착안정성의 매개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3), 45-63.
  5. 김연하 (2021). 유아기 기질 유형과 만 9세 미디어 사용의 종단적 관계. 육아정책연구, 15(3), 81-100. doi:10.5718/kcep.2021.15.3.81
  6. 김영미, 박윤조 (2020). 학령초기 교사-아동관계, 또래애착, 학업수행능력, 미디어중독 간 구조적 관계: 아동의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283-303. doi:10.22251/jlcci.2020.20.12.283
  7. 김은혜, 장경은 (2020).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35-51. doi:10.14698/kcce.2020.16.06.035
  8. 김혜수, 배성만, 현명호 (2007).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환경적 특성: 공격성, 충동성, 우울, 부모 자녀관계, 주의집중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83-393.
  9. 김형연, 김민주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및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1(1), 105-121. doi:10.5723/kjcs.2020.41.1.105
  10. 노충래, 김소연 (2016).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7(4), 87-114. doi:10.14816/sky.2016.27.4.87
  11.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12. 박보경, 노지운 (2019).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40(3), 87-103. doi:10.5723/kjcs.2019.40.3.87
  13. 박소영,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백지은 (2009).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자기통제 및 문제행동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2), 111-127.
  15. 성정혜, 김춘경 (2020). 아동기 자녀의 미디어기기 중독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분석: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육아정책연구, 14(10), 121-142. doi:10.5718/kcep.2020.14.1.121
  16. 양영미, 이선영 (2019). 아동의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체육활동 참여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 67, 35-59.
  17. 오경자, 김영아 (2010).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매뉴얼. 휴노컨설팅.
  18. 윤소진, 이명성, 이준우, 홍세희 (2021).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우울 및 공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2(6), 707-720.
  19. 이귀옥 (2022).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애착, 학교적응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미디어 중독 경향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14(4), 103-120. doi:10.36431/JPE.14.4.6
  20. 이민주, 이영신, 유정은 (2015).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 및 성별에 따른 언어발달 차이. 열린부모교육연구, 7(3), 37-52.
  21. 이운경, 이선희, 김민정, 김수지 (2020). 취업모의 일-가정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양육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1(2), 147-161. doi:10.5723/kjcs.2020.41.2.147
  22. 이정원, 박원순, 엄지원 (2021). 영유아의 미디어 이용 적정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3. 이재은 (2017). 유아의 미디어 이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계층적, 지역적 변인 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9(3), 179-196.
  24. 이해국, 신윤미 (2019). 유아동의 디지털미디어 노출 및 과사용 관련 건강문제에 대한 일차의료의 중재. 의료정책포럼, 17(1), 70-74.
  25. 임지영, 이윤정 (2017).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지, 38(2), 51-66.
  26. 임현주 (2015). 유아의 성별에 따른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5(2), 97-115.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2.005
  27. 장혜인 (2015).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교류모형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2), 19-39.
  28. 전혜숙, 전종설 (2017).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9(3), 53-80.
  29. 정옥분 (2013). 사회정서발달. 학지사.
  30. 조숙인, 김지현, 이상인, 송경희, 최효식, 송주현, 김재철, 김희수 (2022). 한국아동패널 2008~2020 심층분석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31. 조은숙, 황인옥 (2018).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과 주의집중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6), 131-143. doi:10.5392/JACA.2018.18.06.131
  32. 조준오, 한동윤, 홍광표 (2021). 유아의 기질, 애착 및 미디어중독 간의 경로분석. 교육혁신연구, 31(3), 21-42. doi:10.21024/pnuedi.31.3.202109.21
  33. 정주연, 김정민, 홍채영 (2017). 유아기질과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3(1), 217-239. doi:10.33770/JEBD.33.1.12
  34. 천희영 (2015). 만 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 정도 예측변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53-17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53
  35. 최진오 (2016). 초등학생의 컴퓨터.스마트폰 게임중독이 ADHD 성향에 미치는 영향: 수면 및 식사문제의 다중매개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1), 115-131.
  36. 한국아동패널. (2011). 도구프로파일. https://kicce.re.kr/pskc/module/rawDataManage/index.do?menu_idx=56에서 2023년 6월 24일 인출
  37. 한국아동패널. (2017). 도구프로파일. https://kicce.re.kr/pskc/module/rawDataManage/index.do?menu_idx=56에서 2023년 6월 24일 인출
  38. 허윤성, 최지은, 박소희, 한지수, 이민지, 정윤교, 김현경 (2022). 영유아기 부모의 부부갈등이 초기 청소년기 자녀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내재화 문제의 이중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16(3), 31-54. doi:10.5718.kcep.2022.16.3.31 https://doi.org/10.5718.kcep.2022.16.3.31
  39. Bates, J. E. (1986). The measurement of temperament. The study of temperament: Changes, continuities and challenges, 1-11.
  40.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traits. Hillsdale, NJ: Erlbaum.
  41. Caspi, A., Henry, B., McGee, R. O., Moffitt, T. E., & Silva, P. A. (1995). Temperamental origins of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problems: From age three to age fifteen. Child development, 66(1), 55-68. doi:10.1111/j.1467-8624.1995.tb00855.x
  42. Davis, R. A. (2001).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2), 187-195. doi:10.1016/S0747-5632(00)00041-8
  43. Edwards, R. C., & Hans, S. L. (2015). Inf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externalizing, and co-occurring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51(4), 489-499. doi:10.1037/a0038800
  44. Goth, K., Cloninger, C. R., & Schmeck, K. (2003). Das Junior Temperament and Charakter Inventar for das Kindergartenalter-JTCI/3-6. Klinik fur Psychhiatrie und Psychotherapie des Kindes-und Jugendalters der der JW Goethe-Universitat Frankfurt.
  45.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New York: Guilford Press.
  46.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4th ed). NewYork: Guilford Publications.
  47. MacKinnon, D. P., Lockwood, C. M., & Williams, J. (2004). Confidence limits for the indirect effect: Distribution of the product and resampling method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9(1), 99-128. doi:10.1207/s15327906mbr3901_4
  48. Moilanen, K. L., Shaw, D. S., & Maxwell, K. L. (2010). Developmental cascades: Externalizing, internalizing, and academic competence from middle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2(3), 635-653. doi:10.1017/S0954579410000337
  49. Nelson, B., Martin, R. P., Hodge, S., Havill, V., & Kamphaus, R. (1999). Modeling the prediction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from preschool tempera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4), 687-700. doi:10.1016/S0191-8869(98)00174-3
  50.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https://doi.org/10.1080/00273170701341316
  51. Rothbart, M. K., & Bates, J. E. (2006). Temperament. In W. Damon, R. M. Lerner., & M.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6th ed., pp.99-166). NY: John Wiley & Sons.
  52. Rothbart, M. K., Ahadi, S. A., & Hershey, K. L. (1994). Temperament and social behavior in childhood. Merrill-Palmer Quarterly, 21-39.
  53. Sanson, A., Hemphill, S. A., & Smart, D. (2004). Connec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 A review. Social development, 13(1), 142-170. doi:10.1046/j.1467-9507.2004.00261.x
  54.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
  55. Slutske, W. S., Moffitt, T. E., Poulton, R., & Caspi, A. (2012). Undercontrolled temperament at age 3 predicts disordered gambling at age 32: a longitudinal study of a complete birth cohort. Psychological science, 23(5), 510-516. doi:10.1177/0956797611429708
  56. Tarullo, A. R., Obradovic, J., & Gunnar, M. R. (2009). Self-control and the developing brain. Zero to three, 29(3), 3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