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door Surveillanc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41초

어장 보호 시스템의 현장실험을 위한 레이더 측정차량 개발 (Development of Radar Car for the Outdoor Tests on Fisheries Surveillance System)

  • 임정빈;김우숙;박성현;김철승;정대득;구자영;심영호;김창경;이재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9-283
    • /
    • 2005
  • 어장 보호 시스템(FSS)은 어장 도적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FSS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제 어장의 다양한 자연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는 특수한 실험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험 장치로서 소형 밴 차량과 상업용 레이더, 레이더 스캔 컨버터(RSC),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레이더 측정 차량 구현에 관해서 최근 도출된 몇 가지 연구결과를 기술하였다. 레이더 차량을 이용하여 레이더 스캐너의 높이와 레이더 스캐너 양 측면에 특수한 부엽억제 물질을 부착하는 경우 등의 해면반사 영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RSC의 디지털 레이더 신호에 대한 후처리를 검토한 후, 새로운 RSC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 PDF

소형 무인 로봇의 소음 측정법 개발 및 측정 장소에 따른 상관성 분석 (Noise Measurement Method Development and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Measurement Location of Small Unmanned Robot)

  • 옥진규;박은주;박민수;이명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33-638
    • /
    • 2017
  • The small unmanned robot developed in this paper can perform tasks such as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n the battle field.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may expose the operation area.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noise of the developed small unmanned ground robot. The criteria for noise measurement in indoor and outdoor are presented. It was us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metho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noise measurement method. The noise was measured at different places, a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Thus, we proposed a method to predict the noise level in the operation area where the robot is operated by the noise test data measured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개선된 텍스쳐 정보를 이용한 갑작스러운 조명 변화에 강인한 이동 물체 탐지 (Moving Object Detection Robust to Sudden illumination Change using Modified Texture Information)

  • 오요한;장형진;김수완;최진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68-269
    • /
    • 2008
  • Moving object detection is a fundamental technique in visual surveillance. Robust technique to enhance performance of moving object detection is required for several bad conditions in real external circumtance. In case of sudden illumination change in outdoor condition, many objects are determined as moving object though they are not really moving, but just their illumination changes. This makes the detection result untrustworthy. In this paper, robust moving object detection to sudden illumination change using gaussian mixture background model and new texture information using background from the weighted sum of recent images is proposed.

  • PDF

Incidence patterns of vivax malaria in civilians residing in a high-risk county of Kyonggi-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 Moon, Jung-Ju;Cho, Seung-Yul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9권4호
    • /
    • pp.293-299
    • /
    • 2001
  • The characteristics of vivax malaria epidemics along the demilitarized Bone (DMZ)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established by the early surveillance data. To further characterize the epidemic, data of civilian patients microscopically diagnosed with malaria from 1995 through 2000 were analyzed in Yonchon-gun (county) . Malaria incidence was greater in male civilians > 30 years of age (p < 0.05). The annual parasite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living in the administrative areas (Myeon) traversed by DMZ than those living in Myons not traversed by DMZ (p < 0.05). Analysis according to the distance (4 to 14 km) from DMZ showed that people living in villages close to DMZ had higher annual parasite indices than those living in villages remote from DMZ (p for trend < 0.05). Civilians living in Myeons with plains and located in northwestern part of the county had higher annual parasite indices than those living in hilly Myeons located in southeastern part of the county (p for trend f 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traction of vivax malaria is related with night-time outdoor activities, and that the distance from DMZ is a risk factor. In this area, the flying distance of infected vector mosquitos can explain the annually repeating occurrence of civilian cases.

  • PDF

방수 스프레이 흡입 노출로 인한 급성 호흡기 중독 사례 및 원인 고찰 (Comprehensive Review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Following Inhalation Exposure to Waterproofing Agents)

  • 박동욱;최예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51-459
    • /
    • 2012
  • Background: In Korea, a healthy 36-year-old man developed acute interstitial pneumonitis soon after inhaling a waterproofing spray which he had applied at home to his outdoor jacket.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cases of varying degrees of respiratory toxicity and poisoning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waterproofing spray and summarize major reasons for cases of poisoning.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reporting on a combination of a waterproofing agent and/or respiratory symptoms, including acute respiratory syndrome, lung injury, pneumonia, pulmonary toxicity, and respiratory disease. Results: We reviewed a number of cases of varying degrees of respiratory toxicity and poisoning resulting from inhalation of waterproofing spray containing fluorocarbon co-polymer, solvents and propellants reported in a variety of countries. The literature searches concluded that among the ingredients of waterproofing agents, fluorinated polymer may cause acute respiratory health effects. Conclusion: Environmental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prevent consumers from using household and industrial products including waterproofing agents. In addition, a national surveillance system should be created to collect cases of poisoning caused by the use of consumer products.

SG 정보를 이용한 강인한 물체 추출 알고리즘 (Robust Object Detection Algorithm Using Spatial Gradient Information)

  • 주영훈;김세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22-42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spatial gradient를 이용한 강인한 물체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먼저 복잡한 환경과 다양한 빛의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에러 값 등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제안된 입력 영상과 기준 영상에서 밝기와 색 성분을 이용하여 최초 배경을 제거한다. 배경을 제거한 다음, 그림자로 인식되어 전경 영역에 추가된 부분을 RGB 칼라 모델과 정규화 된 RGB 칼라 모델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HSI 칼라 모델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정보 값을 갖는 영역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배경으로 인식되어 전경으로부터 제거된 부분을 입력 영상의 공간상 정보인 spatial gradient와 HSI 칼라 모델을 이용하여 복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복잡하고 다양한 실내 외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그 응용 가능성을 증명한다.

다양한 특징 매칭을 이용한 움직이는 물체 추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ving Object Tracking System Using Multi-feature Matching)

  • 박재준;김선우;최연성;박춘배;하태령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786-792
    • /
    • 2007
  • 비디오 감시 시스템에서 물체의 추적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환경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기 위하여 먼저 가중치 차 영상을 구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추출한 후 다시 닫힘 연산을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그리고 추출된 다양한 특징 정보로 매칭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한다. 제안된 추적 방법은 가중치 차 영상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기에 정지된 물체가 갑자기 움직이거나 갑자기 멈출 때도 정확히 추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추적 시스템은 공간위치, 형상과 명암도 특징을 종합하기에 움직이는 물체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유무선공유기와 청소로봇을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Home Monitoring System Using a Vacuum Robot with Wireless Router)

  • 전병찬;최규석;강정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3-80
    • /
    • 2008
  • 최근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경향은 가정 내의 모든 정보가전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격 감시 및 제어 서비스가 이뤄지는 미래 지향적인 가정환경을 포함한다. 또한 청소로봇은 그 사용의 편리성으로 가정에서의 사용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지능형 홈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자율이동이 가능한 청소로봇을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상용화된 기존 청소로봇에 유무선 공유기와 웹캠을 부착함으로써 기존의 고정 카메라에 의한 홈 모니터링 한계를 극복하여 댁내 모든 곳을 자유롭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이동통신기기(PDA 등)를 이용하여 청소로봇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곳의 영상을 손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였다. 유무선 공유기에는 리눅스 운영체제인 OpenWrt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영상을 전송하고 RS-232통신으로 청소로봇 제어를 가능하게 하였다.

  • PDF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보행자의 높이 및 위치 추정 기법 (Estimation of Human Height and Position using a Single Camera)

  • 이석한;최종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3호
    • /
    • pp.20-3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위치 및 높이를 추출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영상으로 사영된 3차원 장면(scene)에 대한 기준 좌표계를 마커(marker)를 이용해서 설정한 다음, 대상 물체의 2차원 영상을 기준 좌표계로 직접 역사영(back-projection) 시킴으로써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 및 높이를 계산한다. 그리고 부정확한 카메라 교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역사영 오차를 마커의 기하학 정보를 이용해서 보정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서 주로 이용되던 소실점(vanishing point) 및 소실선(vanishing line) 등을 이용하지 않으며, 3차원 공간 내에서의 객체의 높이 및 위치의 동시 추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필요한 위치 및 높이 정보를 추출하기 때문에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기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3차원 좌표계 상에서의 대응점의 모호성, 다수의 카메라를 정확히 교정시켜야 하는 어려움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정확도 및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조명변화와 곁침에 강건한 적응적 모델 기반 다중객체 추적 (Adaptive Model-based Multi-object Tracking Robust to Illumination Changes and Overlapping)

  • 이경미;이윤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5호
    • /
    • pp.449-46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색상 비디오 프레임에서 조명변화와 겹침으로 인한 왜곡에 강건하게 다수의 사람을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조명변화에 따른 외형변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간 비종속적인 본래(intrinsic) 영상을 이용하여 프레임에 존재하는 조명을 제거하며, 매 프레임마다 조명 영상을 적응적으로 갱신한다. 카메라 내에서 사람을 추적하기 위해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계충적 사람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겹침의 문제를 해결한다. 추적된 사람모델은 사람모델 리스트에 저장되어 해당되는 사람이 카메라에서 사라진 후에도 일정 기간 보존됨으로써, 재등장한 사람의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적응적 모델기반 방법은 실내${\cdot}$외 영상을 대상으로 여러 시나리오로 실험되어, 조명변화로 왜곡된 사람의 색상정보를 옳게 보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겹치거나 헤어진 후에도 성공적으로 추적하였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