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door School Safet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7초

식품과 화장품의 안전 소재를 이용한 석탄 자연발화 억제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Coal Spontaneous Ignition Prevention using Safety Materials of Food and Cosmetics)

  • 전수만;김영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68-376
    • /
    • 2022
  • 자연발화 현상은 산업현장 또는 우리 생활 속 어디에서나 발생하며 물질이 대기 중에서 점화원 없이 스스로 발화되는 현상이다. 화학반응 속도가 빨라져 발생하는 열이 증가하게 되어 자연발화의 위험성은 더욱 커진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과 화장품 소재로 이용되는 안전한 원료를 배합하여 다양한 자연발화 현상 중 특히 석탄 자연발화 방지제를 제조하였다. 인도네시아산 저열량, 저급탄에 대한 Lab과 Field Test를 통하여 석탄 자연발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옥외 현장 테스트 결과, 비교군(90일 후 발화)에 비하여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발화방지제는 120일 이상 우수한 자연 발화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실내저탄장에서 50일 동안의 CO의 농도변화를 비교하여 CO 농도 제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비교군인 석탄, 기존의 발화 방지 방법보다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환경을 고려한 토양 및 수질 시험, 작업 근로자를 고려한 발화방지제의 MSDS, 수질, 안 자극 등의 공인시험을 통하여 환경과 근로자 작업환경의 안전성 등을 연구하여 2024년부터 적용되는 실내저탄장용 석탄 발화방지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 마을회관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밀양시 삼랑진읍을 대상으로- (The Improvement Proposal of Rural Community Centers : by the Case Studies of 30 Centers in Samnangjin-eup, Miryang City)

  • 김성호;이유직
    • 농촌계획
    • /
    • 제18권2호
    • /
    • pp.57-68
    • /
    • 2012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ing methods for rural community centers by analysis of 30 community centers in Samnangjin-eup, Miryang city, Gyeongnam. To fulfill this purpose, the facilities, usable condition and management system were examined. The user needs and level of satisfaction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858 citizens. The average size of the centers is $96m^2$, and 73% of them are one-story buildings. Women use the community center more frequently than men in ratio of 6:4. 43.4% of interviewees visit the center 1 or 2 times a month, but on the other hand 27.4% of them use the center almost every day. Recess is surely the main purpose, and health care and community meeting are next two reasons. 67.8% and 72.4% of them are not satisfied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munity center respectively. The interview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he lack of facilities. To improve the community centers in Samnangjin-eup, first of all, various kinds of indoor and outdoor facilities must be equipped. Secondly, considering the center is the core of rural community lif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accommodation is also needed as well as facility diversification.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is another issue. A small piece of land or abandoned space must be utilized. Moreover, it is very critical that the users are mostly seniors and elders, so improvements of facilities will be executed in terms of safety and convenience. Finall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made for the people, so as to maintain the the rural community center on their own.

라돈 노출 유효선량 평가를 위한 연간 평균 라돈 농도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for Annual Mean Radon Concentration for Assessment of Annual Effective dose of Radon Exposure)

  • 이철민;강대용;고상백;조용석;이다정;이슬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107-1114
    • /
    • 2016
  • This research, sponsor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14, was the first epidemiological study in Korea that investigated the health impact assessment of radon exposure. Its purpose was to construct a model that calculated the annual mean cumulative radon exposure concentrations, so that reliable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environment-control group research. Radon causes chronic lung cancer. Therefore, the long-term measurement of radon exposure concentration, over one year,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a health impact assessment for radon. Hence, based on the seasonal correction model suggested by Pinel et al.(1995), a predictive model of annual mean radon concentr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year-long seasonal measurement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the Hanyang University Outdoor Radon Concentration Observatory, and the results from a 3-month (one season) survey, which is the official test method for radon measurement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 addition, a model for evaluating the effective annual dose for radon was developed, using dosimetric methods. The model took into account the predictive model for annual mean radon concentrations and th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멀티 홉 통신을 기반한 화학 사고 대응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Real-time Remote Monitoring System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based on Multi-hop Communication)

  • 이승철;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706-1712
    • /
    • 2022
  • 최근 석유화학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누출, 화재 등의 사고로 화학물질에 관한 안전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울산, 여수지역의 산단들은 석유화학 산업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어 유익함이 있는 반면에, 화학 누출 사고 등으로 인하여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학 사고 대응을 위해 실외 설비 기준 20[m] 간격으로 센서 노드를 구성하고, TLVs의 8시간 기준(TWA)과 15분 기준(STEL)의 노출 허용농도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멀티 홉 통신에서 0.6~0.75[s] 주기로 수집된 데이터를 Python으로 전처리하여 SQL 문을 통해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으며, MySQL과 Grafana를 연동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5초에 1회씩 갱신하는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재배환경, 품종 및 가공 방법에 따른 고추와 고춧잎 중 농약의 잔류 특성 (Residual Characteristics of some Pesticides in/on Pepper Fruits and Leaves by Different Types, Growing and Processing Conditions)

  • 이희동;유오종;임양빈;권혜영;진용덕;김진배;김윤한;박승순;오경석;고성림;김태화;노재관;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9-106
    • /
    • 2006
  • 노지와 시설하우스에 재배중인 고추에 살포한 chlorothalonil과 imidaclopid는 시설하우스보다 노지에서 분해가 빨랐는데 시험기간 중 강우가 없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는 주로 이슬에 의한 세척과 광분해에 의한 영향으로 추측되었다. 고추품종별 농약 잔류량 변화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고추가 연속수확작물이고 또한 고추가 고춧잎 속에서 생육하여 농약이 골고루 묻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풋고추를 절였을 경우에는 농약에 따라 약 $30{\sim}71%$의 잔류량 경감효과가 있었으며, 꽈리고추를 볶았을 경우에는 $20{\sim}41%$의 경감효과가 있었다. 또한 esfenvalerate와 imidacloprid를 살포한 홍고추를 이용하여 고추장을 담가 2개월간 발효시켰을 경우에는 고추장에서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수확한 고춧잎 중 잔류농약은 물세척에 의해 $22{\sim}37%$, 데침에 의해 $74{\sim}95%$, 데침 후 건조에 의해 $17{\sim}55%$의 고춧잎 중 잔류농약 경감율을 보였다.

기상요소가 장년근로자의 근로손실일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ather Factors on the Work Loss Days of the Elderly Workers)

  • 최재욱;김태완;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41-51
    • /
    • 2019
  • 인구의 고령화와 고용시장의 둔화로 인하여 건설업의 인력구조는 장년근로자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옥외작업이 많은 건설업의 특성상 기상은 근로자들에게 재해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장년층에게는 일반인에 비하여 보다 민감하게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기상요소가 건설업 장년근로자들에게 미치는 위험정도를 근로손실일수를 통하여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7개 도시에서 발생한 28,514명의 장년근로자 재해자수를 12,789일의 기상일수로 나누어 기상요소별 근로손실일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기상요소별로는 기온 $-12^{\circ}C{\sim}-10^{\circ}C$, 습도 55% ~ 65%, 강수 128mm ~ 181mm, 풍속 6.0m/s ~ 6.3m/s에서 근로손실일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상요소들 간의 결합효과로는 기온 $-8^{\circ}C{\sim}-6^{\circ}C$일 때 습도 39% ~ 41%, 기온 $24^{\circ}C{\sim}26^{\circ}C$일 때 강수 128mm ~ 181mm, 기온 $13^{\circ}C{\sim}15^{\circ}C$ 일 때 풍속 6m/s ~ 6.3m/s, 습도 43% ~ 47%일 때 강수 2.8mm~4mm, 습도 19% ~ 22%일 때 풍속 3.6m/s ~ 3.9m/s, 강수 22.6mm ~ 32mm일 때 풍속 6.0m/s ~ 6.3m/s에서 근로손실일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상요소가 장년근로자의 근로손실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작업장에서 장년근로자들의 효율적인 안전관리와 쾌적한 작업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로써의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ipronil의 꿀벌 (Apis mellifera)에 대한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Fipronil on Honeybee (Apis mellifera))

  • 김병석;양유정;박연기;정미혜;유아선;박경훈;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4
    • /
    • 2009
  • 벼농사용 살충제인 fipronil의 비의도적 노출에 의한 꿀벌(Apis mellifera L.)의 피해를 확인하기 위해 급성독성시험, 엽상잔류독성시험, cage를 이용한 소규모야외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접촉독성시험에서 24시간과 48시간의 $LD_{50}$은 각각 0.008, $0.005{\mu}g$ a.i./bee 로 꿀벌에 매우 강한 급성독성을 보였으며 급성위해지수(QHc)는 12,500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엽상잔류독성시험에서는 피프로닐 액상수화제 살포 후 28일까지 90%이상 치사율을 보여 장기간 꿀벌에 독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fipronil의 표면부착잔류량(dislodgeable foliar residue)을 분석한 결과 $DT_{50}$은 9일, $DT_{90}$은 31일이었다. 야외시험의 결과에서도 28일의 치사율이 40%로 조사되어 실내 엽상잔류독성시험과 유사한 잔류독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ipronil은 꿀벌에 대한 급성독성이 매우 강하면서 장기간의 잔류독성이 있어 잎 표면의 매우 낮은 잔류량으로 꿀벌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살충제이다. 따라서 재배작물뿐만 아니라 살포지역 인근의 밀원식물에 약제살포시 바람에 날려 오염될 경우 화분매개용 꿀벌과 자연생태계 유용곤충에 위해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꿀벌이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기에는 야외살포를 금지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야외생태계 유용곤충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실내사용 목적으로만 사용되도록 제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재분진 농도 측정에 대한 37 mm closed-face 카세트법과 IPM 측정법 비교 (Comparison of Area vs Personal Total Dust Concentrations Measured by 37mm Closed-face Cassette and IPM Sampler)

  • 이동원;김현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7-76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otal dust concentrations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wood dust in the furniture and sawmill industries. To compare total wood dust concentrations, two samplers recommended by the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n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were used. Concentration data were analyzed by paired-t tests using the SAS program and two parameters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s were determined by hist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article size distributions showed a unimodal pattern in cutting and a bimodal in sanding operations.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s(MMAD) were $17.35{\mu}m$ in cutting, and $1.39{\mu}m$ for small mode and $18.89{\mu}m$ for large mode in sanding operations. The proportions of particle size larger than $9.8{\mu}m$ estimated by the impactor were 61.16 % in cutting and 62.33 % in sanding operations, respectively. 2. The average personal total dust concentrations measured by IPM sampler were $17.12mg/m^3$ (GSD=1.45) from indoor samples, $2.97mg/m^3$(GSD=1.90) from outdoor samples in cutting, and $8.01mg/m^3$(GSD=1.58) from sanding operation. And those of by 37 mm closed-face cassette were $9.12mg/m^3$(GSD=1.46), $1.06mg/m^3$(GSD=1.99) from cutting, and $3.32mg/m^3$(GSD=2.16) from sanding operations. 3. The average area total dust concentrations measured by IPM sampler were $1.88mg/m^3$(GSD=2.04) from indoor cutting, $4.76mg/m^3$(GSD=2.83) from indoor sanding operations. And those of by 37mm closed-face cassette were $0.49mg/m^3$(GSD=2.34) from cutting, and $1.32mg/m^3$(GSD=3.03) from sanding operations. 4. The ratio of personal total dust concentrations measured by 37 mm closed-face cassette to those by IPM sampler were 35.7 %, 53.3 % from cutting, and 41.4 % from sanding operations. 5. The ratio of area total dust concentrations measured by 37 mm closed-face cassette to those by IPM sampler were 26.1 % from cutting, and 27.7 % from sanding operations. 6.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otal dust concentrations between the 37 mm closed-face cassette and the IPM sampler was found.

  • PDF

DB-Based Feature Matching and RANSAC-Based Multiplane Method for Obstacle Detection System in AR

  • Kim, Jo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49-5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요인에도 강건하게 동작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DB 기반의 특징 매칭과 RANSAC(RANdom SAample Consensus)기반의 다중 평면 방식을 통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에서 정확하게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장애물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RGB카메라로부터 얻은 영상을 기반으로 장애물을 검출하는 접근법은 영상에 의존하기 때문에 조명에 따른 특징 검출이 부정확하고, 조명이나 자연광 또는 날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장애물 검출이 어려워진다. 또한, 복잡한 지형에서 생성되는 다수의 평면은 장애물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오차가 커지는 원인이 된다.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DB기반의 특징 매칭을 통해 조명에 관계없이 장애물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감지한다. 또한, 다중 평면을 RANSAC을 통해 단일 평면으로 정규화하여 특징점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새롭게 계산한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방법은 조명, 자연광, 날씨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고, 높낮이나 다른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표면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성 확보에 활용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험한 결과가 대부분 안정적으로 실내/외의 장애물들을 인지하였다.

사용자 로그 분석에 기반한 노인 돌봄 솔루션 구축 전략: 효돌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Elderly Care Solution Based on Usage Log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Hyodol Product)

  • 이준식;유인진;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3호
    • /
    • pp.117-140
    • /
    • 2019
  •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취약계층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노인세대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노인 돌봄 솔루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노인 돌봄의 수단으로 첨단화된 ICT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 토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토이를 통해 기록되는 노인 행태에 대한 로그 데이터는 노인 돌봄 관련 정책 수립, 노인 돌봄 서비스 컨셉 기획 및 개발과 같은 분야에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설명지표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노인 돌봄 스마트 토이와 관련된 연구 중 스마트 토이를 통해 기록된 사용자 행동 로그에 주목하여 이를 의사결정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던 스마트 토이 사용자 행동 로그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 돌봄 솔루션의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링 기반 행태 분석과 사용 행태에 따른 삶의 질 변화 메커니즘 도출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노인 생활관리 요인으로부터 노인집단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2개의 중요한 차원을 도출하였으며, 도출한 차원에 근거하여 전체 노인 사용자를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스마트 토이 사용 행태 차이를 프로파일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스마트 토이 사용 행태에 따른 삶의 질 변화 메커니즘을 도출하기 위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스마트 토이와의 상호작용, 스마트 토이의 콘텐츠 사용, 스마트 토이가 관찰한 노인의 가정 내 활동 정도가 노인의 우울감 개선과 생활패턴 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이를 중재하는 경로로써 스마트 토이에 대한 사용자의 성능평가와 만족감의 역할을 밝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