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door Lighting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역거점으로서의 캠퍼스 외부공간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ampus Outdoor Spaces as a Regional Hub)

  • 이을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3-40
    • /
    • 2016
  • The campus outdoor space in each city is a very important space for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Especially, for students, indoor space such as classroom is the main place to learn knowledge. But the outdoor space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people in other sectors and it also gives an opportunity that can make students sense the flow of the times. Moreover,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integrate knowledge of the other fields in the outdoor space. The campus also provides an important resting place for residents. Therefore the campus should be convenient for both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and should be designed to let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outdoor spac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outdoor space in such a point. The high scores of campus evaluation indexes are as follows: First, the lighting in the favorite space and installing seats in a green space of the vestibule get the highest score. Also, separation of a sidewalk and a roadway, the ease of holding events, simple food and beverage near the entrance, the interacting place of people, the resting place near the porch in cold winter, the lighting in a bus stop and parking lot also get good evaluations.

경관조명의 시점거리별 표면휘도 특성분식 (Analysis on the Surface Luminance of Outdoor Lighting by Viewing Distance)

  • 최윤석;정인영;안현태;김정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8-25
    • /
    • 2006
  • 야간도시경관의 미적향상, 시각적 안전의 확보 및 빛 공해 방지 등을 고려한 기존의 경관조명 평가방법은 대부분 측정점을 한 지점으로 한정하여 조명물리량을 분석함으로써 거리에 따른 평가결과의 다양성이 소홀히 취급되었다. 본 연구는 측정거리의 변화에 따른 평가대상 구조물의 표면휘도를 고려한 경관조명 평가방법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관조명이 설치된 한강의 교량을 대상으로 CS-100과 ProMetric 1400 등 디지털 측광기기와 경관조명 소프트웨어 Lightscape v3.2를 활용하였다. 즉 측정거리 100[m], 300[m], 500[m]로 구분하여 현장측정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거리변화에 따른 휘도의 평가방법은 대상 구조물로부터 약 100[m] 이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휘도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USN기반 참여형 조명에너지 관리시스템 (Management System of USN-based Collaborative Lighting Energy)

  • 김삼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7-53
    • /
    • 2013
  • 현재 조명의 효율화 및 제어시스템 개선을 통해 에너지절감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조명자체의 고효율화와 조명제어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통해 에너지 절감을 추구하는 노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조명시스템에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할 경우 기존 대비 약 50% 이상의 고효율 조명 구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LED 디지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USN을 활용해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디머 와 스마트 스위치를 적용한 LEMS(Lighting Energy Management System)를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킹 장치 및 시스템 S/W를 통해 실내외 조명 및 경관 조명을 포함한 특수 목적 등을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게 제어 한다. 본 시스템은 LED조명의 Digital System Lighting을 통한 USN 원격통합제어기능 및 에너지 효율성을 증대하여 실내외의 조명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 하고, 웹 또는 스위치를 통해 조명 에너지 사용량을 사용자가 측정하여 조명 사용량을 피드백 할 수 있게 하는 참여형 시스템이다.

옥외용 LED 조명의 전기화재 및 감전 위험성 평가에 대한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Studies on the Risk Assessment of Electrical Fire and Shock of LED Lighting for Outdoor)

  • 김향곤;길형준;김동욱;김동우;이기연;문현욱;김혁수;김명수;김만건
    • 한국화재조사학회학술대회
    • /
    • 한국화재조사학회 2011년도 제21회 춘계학술대회
    • /
    • pp.77-97
    • /
    • 2011
  • 본 논문에서 옥외용 LED 조명의 전기화재 및 감전 위험성 평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옥외용 LED 조명관련 법 규정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LED 조명의 외형과 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LED 조명에 대한 주수실험, DC 전로의 선간 단락, 손상된 피복의 선간 절연파괴, 과전압 유입, 건전상 및 수중에서의 DC 전로의 누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LED 조명에서의 이상 조건에 의한 전기화재나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기안전을 위한 보호장치와 절연형 컨버터의 사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는 LED 조명의 전기안전 확보를 위한 제 규정의 개선과 전기사고의 조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딥러닝기반 실내와 실외 환경에서의 광원 추출 (Deep Learning-Based Lighting Estimation for Indoor and Outdoor)

  • 이지원;서광균;이하늬;유정은;노준용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31-4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하여 실내와 실외 이미지 모두에서 알맞은 광원을 추출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네트워크는 단일 LDR 이미지로부터 실내 혹은 실외 배경에 맞는 광원을 low dynamic range (LDR) 환경 맵으로 추출하는 Crop-to-PanoLDR 네트워크와 추출된 LDR 환경 맵을 빛의 정보를 담은 high dynamic range (HDR) 환경 맵으로 생성하는 LDR-to-HDR 네트워크 두 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생성된 HDR 환경 맵은 주어진 이미지에서 가상 객체를 렌더링할 때 적용되어 가상 객체를 조명하는 빛의 방향과 주변광 등을 확인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렌더링을 가능하게 하는지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의 우수성은 실내를 배경으로 한 이미지로만 구성한 데이터로 학습한 결과와 실외를 배경으로 한 이미지로만 학습한 결과 등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손실 함수가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생성된 환경 맵을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 실험하는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더 좋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Improving CRI and Scotopic-to-Photopic Ratio Simultaneously by Spectral Combinations of CCT-tunable LED Lighting Composed of Multi-chip LEDs

  • Kim, Jong-Oh;Jo, Hyeong-Seob;Ryu, Uh-Cha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4권3호
    • /
    • pp.247-252
    • /
    • 2020
  • Important determinants for selecting outdoor lighting are the color-rendering index (CRI) and scotopic-to-photopic (S/P) ratio of the lighting units. The higher the S/P ratio, the better energy savings and visual performance. In this study, CCT-tunable LED lighting units were optimized and fabricated by spectral combination of red, green, blue, and yellow LEDs. The measured results for RGB LEDs provided S/P ratios of 1.55~2.58 and those of RGBY LEDs gave 1.46~2.46 to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s (CCTs) ranging from 2700 K to 6500 K, with CRI values of over 80 at the same time.

주거지역에서 가로조명에 의한 침입광발생 분석 (A Field Investigation on Light Trespass of Residential Buildings by Street Lighting)

  • 하나;김정태
    • KIEAE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71-78
    • /
    • 2010
  • Spill light by street lighting is a kind of light pollution creating cozy night atmosphere, interfere visual private and cause insomnia at night. This study was to survey light trespass of the windows in residential buildings. According to outdoor lighting control guidance in Seoul, three different area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trespass light to windo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37% of the buildings of 386 buildings were influenced by street lighting, and 47% of windows were occurred light trespass. Therefore, the street lighting affected light trespass at night in survey area. The main reasons of light trespass were luminaire type, luminaire pole height, and street width. For protecting the light trespass to windows, it is necessary to non-cutoff fixture to full cutoff fixture by the street width.

음이온과 음향 발생 기능이 있는 옥돌을 이용한 조명기구 연구 (A study on lighting equipment using jade stone with negative ions and sound generation function)

  • 김진명;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2호
    • /
    • pp.1-7
    • /
    • 2020
  • 본 연구는 실내 또는 실외를 조명으로 밝게 비추는 조명등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사방으로 투시창을 만들고, 사방 투시창에 얇은 패널(panel) 형태로 가공된 옥돌을 부착하여 조명등을 구성함으로써, 옥돌을 통해 은은한 불빛이 실내 또는 실외로 조사(照射)되므로, 사용자에게 아늑함과 따스함을 제공하고, 실내 또는 실외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한편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며, 은은한 꽃향기를 방출하는 옥돌을 이용한 조명등에 관한 기술이다. 본 연구개발의 제품의 특징은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사방으로 투시창이 형성되고, 사방 투시창에 얇은 패널(panel) 형태로 가공된 옥돌을 부착하여 조명등이 구성되며,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유익한 음악, 불경, 성경, 시조 등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옥돌을 이용한 조명등을 연구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자연채광 실태 및 채광성능 평가 (Daylighting of Underground Parking Lots in Apartment Housings by Field Survey and Performance Evaluation)

  • 정유근;김정태
    • KIEAE Journal
    • /
    • 제2권2호
    • /
    • pp.39-44
    • /
    • 2002
  • Recently, underground spaces can be usually applied to the alternative of land use for parking. However, lack of window and natural light are among the most cited drawbacks associated with dark image of underground. If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designed to be positive and safe environment for people, openings for daylighting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The natural light and unobstructed view to outdoor are main elements to create optimal underground parking lots. This paper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actual day lighting conditions and evaluating the day lighting performance of openings as potential lighting resources. For the study, the field measurements and Questionnaire surveys are conducted. And then, the day lighting performance of underground parking lots based on opening geometry and orientation are evaluated by scaled model experiments. As results, the feelings of safety and orienta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improved by openings for day lighting regardless of the sizes. The required illuminances (daylight factor 0.5%) for underground parking lots can be satisfied in the skylight opening ratio of 4% or more.

충주시 중원대교 야간경관조명 계획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ghting Plan for the Jung-won bridge in Chungju City)

  • 신동인;정유근
    • KIEAE Journal
    • /
    • 제8권4호
    • /
    • pp.49-54
    • /
    • 2008
  • Chungju city with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s and various cultural resources recently meets the new economic revival caused by opening of Jungbu Naeruk express way and invitation of the enterprise city. Now, the out door lightings come to the major issues to improve Chungju night image and to exploit new scenic spo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lighting plan for the jung-won bridge as a representative scenic spot in Chungju city. For the study, the field surveys and computer simulations were performed. As results, the lighting concepts such as entrance and apple images and alternative lighting plan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