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ental painting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9초

오규일이 새긴 인장 완당예고의 융합 요소 분석 (Fusion Factor Analysis of Seal Wandangyego Engraved by Oh Gyuil)

  • 최준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10-117
    • /
    • 2019
  • 본 연구는 오규일이 새긴 인장 완당예고의 융합적 요소를 분석하여 조선 시대 전각예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했다. 완당예고의 외형을 다른 인장들과 비교했다. 완당예고에 담긴 서법 철학, 인문 완(阮), 당(堂), 예(隷), 고(古)의 구성, 오규일의 도법이 집중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완당예고는 세계 최대급 방형 인장이었고, 그의 스승 김정희의 서법 철학이 담겨 있었다. 오규일은 전각예술가였고 인장의 손잡이 제작전문가였다. 그는 '충도'와 '절도'를 적절하게 섞어 사용했고, 절묘한 동양의 황금비가 적용된 구성으로 동양예술의 사의적 감성을 자극했다. 실재 인장의 중요성이 제시되었고, 인장 완당예고가 세계적으로 걸출한 작품인 것도 방증했다. 본 연구 결과가 회화, 조각, 디자인에 담긴 융합 요소를 분석하는 데 새로운 연구 방법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Selective labeling using image super resolution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object detection in low-resolution oriental paintings

  • Moon, Hyeyoung;Kim, Namg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1-32
    • /
    • 2022
  • 이미지에 레이블을 부착하는 레이블링은 객체 탐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은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큰 부담으로 여겨지고 있다. 딥러닝 모델을 훈련하기 위해서는 수 만장의 이미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이미지에 인간 레이블러가 직접 레이블링을 진행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체 이미지가 아닌 일부 이미지에 대한 레이블링을 통해서도 큰 성능의 저하 없이 객체 탐지를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저품질 동양화 이미지의 객체 탐지를 위해 초고해상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해상도의 이미지를 고화질의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 과정에서 도출되는 SSIM과 PSNR이 객체 탐지의 mAP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객체 탐지 분석에 필요한 레이블링을 위한 최적의 샘플링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미지 레이블링을 필요로 하는 이미지 분류, 객체 검출, 이미지 분할 등 딥러닝 모델 구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960년대 저항 패션이 민속풍 패션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the 1960s Anti-Fashion on the Ethnic Fashion)

  • 간문자
    • 복식
    • /
    • 제30권
    • /
    • pp.153-16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thnic Fashion which is influenced by the Anti-Fashion in 1960s. Anti-Fashion as Hippie style had an effect on high fashion in the 60s-70s and which was restored in the early 90s are ethnic and folk-lore style. The influence that the Anti-Fashion has had on the Ethnic Fashion is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Ethnic Fashion in 60s-70s: First Europian romantic style that is velvet doublet breecheese race cuffs ruffle flounce race jabbot embrioderd blouse frilled blouse Victorian mode and Pre-Raphaello style. Second handicraft ornaments style & peasant style what are embroidery weaving variaty ornaments tie-dye patch work smocking beads & bell paisely print peasant blouse dundle skirt long skirt to clinging layered look floral print dress and shepherd-ness style. Third folklore style that is Oriental mao-suit harem pants & Indian pants caftan monk robe Afgan vest burnoos dhoti pants Hindu robe Red Indian fringe head band feather ornaments Red indian embroidery & weaving body painting gaucho poncho and serapi. At the Ethnic Fashion in 90s.: First Europian classical romantic style that is Victorian style Pre-Raphaello style ruffle & race decorations and velvet materials. Second peasant look& handicraft orna-ments what are floral print long skirt to cling-ing uneven stitches top stitchings patch work embroidery crochet and tie-dye. Third folklore style that is Red Indian style South East mode is sarong skirt & Nheru jacket Tibet & Mongolian style South America style and gypso style.

  • PDF

한국 분청사기 문양과 몬드리안 작품을 이용한 퓨전 직물디자인 개발 (The Development of Fusion Textile Design by Using the Patterns Described in Buncheong Pottery and Mondrian's Works)

  • 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05-512
    • /
    • 2006
  • Today a new culture called fusion has been forming. And it is spreading at an alarming rate in our society. When people talk about the character of Korean beauty and Korean culture, they speak taking pottery as an example. We can speak that the pottery is a core of culture which represent our people. And I think its pattern can be a good material for fusion. Also, among many Western artists, Mondrian is an unique painter who is to do with our culture. So, in this study, I chose the patterns described in Buncheong pottery and the Mondrian's works for the development of fusion textile design. Patterns expressed on Buncheong pottery are, for the most part, abstract patterns simplified the shape of object. And the Mondrian's works is the geometrical abstract painting be made by vertical and horizon. Using those I intend to develop the fusion textile designs which mixed Oriental culture and Western culture. Also, I intended to simulate them on ties and clothes and present the possibility of culture merchandise development. The reasons for doing so to let other peoples of the world, know about our excellent culture.

Kubelka-Munk모델을 응용한 실시간 3차원 수묵담채화 렌더링 (Real-Time 3D Oriental Color-Ink Painting)

  • 오수정;남양희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D 게임이나 가상현실, 인터렉티브 아트 등의 실시간 환경의 컨텐츠 제작에 활용가능한 수묵담채화풍의 렌더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3차원 수묵화 렌더링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색채표현법과 그 합성법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색채표현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삼색을 단계적으로 겹쳐서 표현하는 수묵담채화의 특성에 따라, 실제 그림을 그릴 때에 적용되는 삼색의 혼합방법과 순서가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삼색기반 구조를 통해 농담과 질감효과를 표현했으며, 또한 이러한 삼색레이어의 합성을 위해서는 안료의 광학적 성질을 반영하여 실제 회화매체에 가까운 색상을 재현할 수 있는 Kubelka-Munk(KM)모델을 적용한다. 기존의 KM모델은 비사실적 렌더링 연구 분야에서 수채화, 유화 등 서양화를 대상으로 한 색채 합성에 적용되어 왔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만으로는 삼색레이어가 겹쳐질 때 나타나는 수묵담채화의 특징과 천연 재료를 사용하는 동양 안료의 색상을 정확히 반영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수묵담채화에 이용되는 전통안료의 색상 분석을 통해 KM모델에 적용할 파라미터들을 추출하고, 앞에서 설계한 삼색 기반 구조에 따라 색상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의장기(儀仗旗)에 있어서의 천상(天象)의 의미(意味) 고찰(考察) (A Study on the Heaven-Shaped Patterns of the Ceremonial Flags)

  • 백영자
    • 복식
    • /
    • 제5권
    • /
    • pp.141-152
    • /
    • 1981
  • Various ceremonial flags were of great importance to the rulers who wished to have the absolute authorities for governing the people. Perhaps nothing indicated the ideas, thoughts and symbols of a certain period and people than the ceremonial flags. The ceremonial flags used in the old China and Korea took the shapes of the heaven and the earth, representing the social backgrounds and thoughts. This study was limited only to the discussion of the heaven-shaped patterns of the ceremonial flags. The 28 constellations of the heaven, in the Oriental way of thinking, were considered to express the immortal powers of Providence and the political domination of the earth. Hence the Polaris, the center of the heaven, symbolized the whole family of king, prince, child born of a concubine and royal harem. Among the constellation pictures were those of Han period, wall painting of old tombs in Koguryeo kingdom and old Japanese kingdom. Referring to the Emperor's ceremonial flags in Daemyeongjibyei, symbolic meanings changed historically and the complete systems of the ceremonial flags were established in Song period when the divine person was drawn on the flags. Animals concerned properly with the particular star and the shapes of the star were both drawn on the flags in Won period and only the shapes of the particular star in Myeong period. In the Imperial enthronement of Kojong the ceremonial flags might be made by the examples of those of Myeong period and remains are now found at Changdeok Palace, which need a further study because the references in detail are not available.

  • PDF

2D 이미지를 이용한 3D 공간상의 자연현상 라이브러리 구축 (Construction of Library for 3D Natural Phenomena Using 2D Images)

  • 김종찬;김종성;김응곤;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461-470
    • /
    • 2008
  • 영상기술을 이용하여 자연현상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자연현상 시뮬레이션과 스크립트 기반으로 원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이 있다.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많은 데이터와 고도의 수식 등을 가지고 출력을 영상으로 획득한다. 이런 방법을 이용하여 출력영상을 취득하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자연현상을 3차원 공간상에 구현함에 있어서 복잡한 수식이나 프로그래밍, 촬영 등을 배제하고 단지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유체의 자연현상 중 안개를 쉽게 표현함으로써 3차원 공간상에서 동양화 제작 시 배경처리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자연현상 라이브러리를 구축한다.

  • PDF

A Study of Kwon Kisoo's Paintings : focused on The 'Four Gracious Plants' and 'Dongguri'

  • Adjah, John;Hong, Mi-Hee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497-519
    • /
    • 2015
  • 권기수는 한국의 가장 촉망되는 화가 중 한사람이다. 그의 작품에는 많은 동양예술의 비유들과 철학이 담겨져 있다. 화가로서, 권기수는 그의 그림에 동양적 사상과 현대적 사상을 모두 채택하였다. 그의 주요 주제들은 '매화꽃, 국화, 난초 그리고 대나무'이다. 이 식물들은 한국에서 '사군자'라고 알려졌으나, 영어로 '네 개의 품위 있는 식물' 또는 '네 개의 온화한 식물' 번역되기도 한다. 또한 이 식물들은 네 개의 계절을 나타낸다. 그들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자라나고, 동양 미술에서 이 식물들의 품격과 지성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권기수 역시 그의 작품 속에 사군자를 소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의 모든 작품에는 '동구리'라는 캐릭터가 나온다. 2002년에 빠른 붓 스트로크에 의해 고안된 동구리는 권기수의 작품에서 주요한 캐릭터이다.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인상의 동구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칭찬과 사랑을 받는다. 동구리는 보통 '사군자' 가운데 살고 있다. 바위와 산과 같이 특색 있는 지역에 있는'사군자'는 동구리가 살고 있는 곳이다. 동구리는 또한 등산, 달리기, 앉기 등과 같이 다양한 동작을 취하고 있다. 이 모든 동작들이 이번 과제에서 해석되어온 은유를 묘사한다.

김용환의 일본에서의 작품 활동 연구 : 1930~40년대 삽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Kim, Yong-Hwan's Works of Art in Japan: Focusing on the Illustrations between 1930s and 1940s)

  • 김소원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3호
    • /
    • pp.247-270
    • /
    • 2013
  • 김용환은 1940~60년대에 활동한 한국의 주요 만화가의 한명이다. 김용환은 어린이 만화에서 시사만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만화를 그렸다. 뿐만 아니라 김용환은 해방 후 한국의 만화잡지와 만화신문의 발행을 주도 했고 한국만화의 선구자로서 높이 평가 받고 있다. 김용환은 만화뿐만 아니라 잡지와 신문, 소설의 삽화, 동양화, 역사화, 캐리커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미술공부를 위해 일본으로 유학을 갔던 것이 계기가 되어 김용환은 일본에서 기타 코우지(북굉이(北宏二)) 라는 이름의 삽화가로 데뷔하게 된다. 이후 김용환은 일본의 유명 출판사의 잡지와 소설의 삽화가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러나 국내에는 김용환의 일본 활동에 대한 간단한 이력과 몇 장의 삽화만이 소개 되어 있을뿐 구체적인 작품이나 그 내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한국에 소개되지 않았던 김용환의 일본 활동과 작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김용환이 삽화가 기타 코우지로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잡지에 어떠한 작품들을 실었는지, 그리고 삽화가로서 기타 코우지의 평가에 대해서도 서술해 보겠다. 본 논문은 일본의 국회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기타 코우지의 이름으로 남겨진 잡지와 단행본의 삽화들에 대해 고찰 했다. 본 연구를 통해 김용환은 일본에서 다양한 출판사와 잡지에서 활발하게 활동 했으며 김용환이 삽화를 그린 많은 잡지들이 유명 출판사에서 간행된 인기 잡지였던 점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김용환이 일본에서도 그 실력을 크게 인정받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김용환의 삽화 상당수가 1930년대 말에서 1940년대 초에 그려졌다. 이 시기는 일본이 국가 총동원법을 내세워 전쟁을 위해 국가의 모든 역량을 집결 시키던 시기로 출판물도 엄격한 검열을 받았다. 이 시기 출판물의 대부분은 군국주의를 옹호하고 전쟁을 미화하는 내용이었고 김용환의 삽화 역시 예외일 수 없었다. 김용환의 일본 활동에 있어 큰 아쉬움으로 남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김용환의 일본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의 발굴이라는 부분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향후 김용환의 작품에 대한 평가와 김용환의 다양한 이력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 한다.

조선후기 유물에 나타난 십장생문의 조형성 분석 - 자수품을 중심으로 -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Ten Traditional Longevity on Relics of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 With a Focus on Embroideries -)

  • 이하정;이상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1-139
    • /
    • 2010
  •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are represented as 10 which means perfection in oriental philosophy, the sun, mountain, water, cloud, rock, pine tree, elixir plant, tortoise, crane and deer. each subjects symbolizing longevity had used in isolation. unlike China and Japan,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became a fixed form and was widely used in paintings, household effects and clothes in Korea. therefore, It will be a meaningful study how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s one of subjects in painting, changed into a pattern on clothes.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was affected by various philosophies and religion. especially, it laid emphasis on order by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the order was applied to arrange each subjects and use colors carefully. the sun colored with red and was on the upper. the pine tree colored with green meaned tree and was on the left. the earth and the mountain meaned the soil and was on the center. the rock meaned the iron and was on the right. the water meaned the water and was on the botto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mbroideries like spectacle cases, spoon cases and pouches. the scope of study was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are more relics in the Joseon Dynasty than any other ti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