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fairnes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9초

조직신뢰의 결정요인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영향 : 공조직을 중심으로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with a focus on public organizations)

  • 박종표;고종욱
    • 벤처혁신연구
    • /
    • 제1권1호
    • /
    • pp.113-1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조직을 대상으로 조직신뢰의 결정요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연구를 위해서 조직신뢰의 결정요인으로는 조직의 배려, 공정성, 도덕성, 조직의 역량 및 사회적 책임의 5가지 요인을 검토하였으며, 조직유효성 지표로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3 변수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경기도 지자체에 근무하는 323명의 공무원으로부터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의 배려, 공정성, 도덕성, 조직의 역량 및 사회적 책임 다섯 요인이 모두 조직신뢰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조직신뢰는 조직유효성 지표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그리고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과정에서 공정성과 품질이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irness and Quality on the Trust and Loyalty in the R&D Processes)

  • 정용길
    • 서비스연구
    • /
    • 제8권3호
    • /
    • pp.115-136
    • /
    • 2018
  • 최근의 연구개발 사업은 산업체, 연구소, 학계 등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협력 연구의 형태를 많이 띠고 있다. 공동연구개발은 연구개발에 따르는 비용과 위험을 분담하고 지식을 보완함으로써 연구개발에 있어서 규모의 경제성과 경제적 효율성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구개발 주체간의 힘의 불균형과 정보의 비대칭성, 신뢰의 상실, 이로 인한 기회주의적 행태 등으로 인해 그 성과가 미미하거나 실패로 끝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연구개발 과정을 지식과 정보라는 서비스 상품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과정으로 인식하여 서비스 마케팅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개발에 참여하는 여러 주체들 사이의 행동적 특성을 관계 마케팅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조직간 관계를 설명하는 변수들이 많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과 품질, 신뢰, 그리고 충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보고자 한다.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공정성과 품질이 신뢰 및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에 참여하는 기관의 종사자들에게 설문지를 돌려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양한 통계분석을 거쳐 설정된 가설과 연구모형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절차적 공정성과 분배적 공정성은 조직 신뢰와 구성원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과정 품질과 결과 품질도 대체적으로 조직신뢰와 구성원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결과 품질은 구성원 신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절차적 공정성과 분배적 공정성은 모두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과 품질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과정 품질은 그렇지 못했다. 또한 조직 신뢰와 구성원 신뢰는 충성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외식기업 조직진단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델파이 기법으로 - (An Organizational Diagnostic Model for Food Service Firms Using the Delphi Technique)

  • 백유태;최세린;최규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2-29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suitable organizational diagnostic model for analyz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food service firms. We used the three-iteration Delphi technique on a panel of 19 business employees, 7 industry experts, and 4 employee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 total of 36 assessment indicators were developed through this panel, with numerous major findings. First,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leadership qualities of employees in terms of their motivation and competency. Second,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ability of employees to interface well with other employees. Third, it is important to evaluate and manage the brand image recognized by customers. Fourth,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fairness and regularity of the rewards given for an excellent job performance. Fifth,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Last, but not least,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transparency and fairness of an organization in its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and the efficiency of its organizational struc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shows how food service firms can develop an organizational diagnostic model to increase their managerial efficiency.

Factors Affecting Foreign Workers' Turnover Intentions

  • JUNG, Myung-Hee;HWANG, Gil-Ju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1호
    • /
    • pp.25-34
    • /
    • 2019
  • Purpose: As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participating in the domestic labor market is gradually increasing, problems caused by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have also been expressed.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and cultural adaptation and its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was collected for foreign workers who visited the Foreign Workers Support Center operated by the Kore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A total of 224 data were analyzed from March 1 to March 30, 2019 and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or basic work environment of foreign workers, factor analysis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ariables, and overall structural model analysis. Results: Organizational fairness did not appear to affect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ignificant cultural adaptation bu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Psychological adjustment did not affect turnover intention, and cultural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Thus, in order to reduce the intention of turnover and adapt well to the working environment,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find ways to raise the level of psychological adaptation by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rather than organizational fairness.

공정성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 조직몰입,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Justi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 조국행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2권
    • /
    • pp.77-99
    • /
    • 2003
  • This study has uncovered some important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perceptions of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resent study attempts, first, to identify the perceived justice in promotion and transfer, performance evaluation, pay raise, job allocation and job fire. Second,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DJ(distributive justice) and PJ(procedural justice). Add to that two's justice's impact organizational committment,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of organizational committment, job satisfaction. Third, to examine relationships of organizational committ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earch is the identification of a modest bu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 make it clear that employee find that right personnel management of fairness.

  • PDF

소방공무원의 조직공정성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Fire-Fighting Officers)

  • 김갑선;박대성;이만진;김예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271-280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조직공정성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조직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 및 자료 수집은 전라남도 소방본부 소속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우편을 통해 2016년 4월 3일부터 4월 13일까지 이루어졌고, 733부를 SPSS ver. 18.0(Window)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직무만족에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몰입에 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직의도에서는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감정 노동에서 표현 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Display Rule Fairness Perception and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on Emotional Labor)

  • 강원경;김민수;오원경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7-72
    • /
    • 2012
  • The moderators that reliev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have been studied such as job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al variables. But as reviewing these studies, they focused on the degree of emotional on certain condition, there's no distinction between that degree and moderating effects. So we should focus on the moderating variables as a organizational involvement. In this study, I hypnotiz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n I explored moderating role of 'fairness perception of emotional labor' and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This study tested these relationships using data from 166 employees of domestic security service company. From this data, I found that emotional labor increases job stress and job stress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ttitude(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one who perceives display rule fairer, feels less job stress than who is not. Lastly, one who copes more problem-focused when he/she experiences job stress, have less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정보시스템 Chargeback에 있어서의 효율성과 공평성의 관계 (Efficiency and Fairness in Information System Chargeback)

  • 유영진;안중호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권1호
    • /
    • pp.117-145
    • /
    • 1991
  • IS changeback is regarded as an offective way to control the usage of computers and communication systems which are very much limited resources and whose costs are very high, In this paper, the problem of combining the optimal chargeback system which guarantees the efficiency with the Rawls'(1971) concept of fairness. Primary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if the value function which represents the contributions of IS user to the firm's profit is evidit and there is no uncertainty about this contribution information, optimality can be achived without any loss of fairness using full cost allocation pricing. But if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ntribution of each user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users because of the managerial arbitrariness, From this point of view contingent chargeback system with which manager can find the golden middle between optimality and fairness by adjusting the 'efficiency coefficient' according to his/her organizational characterisics and environments is proposed. A heuristic of finding the appropriate efficiency coefficient is also suggested.

  • PDF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프로야구 일정 계획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Scheduling)

  • 공경수;이영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99-303
    • /
    • 2008
  •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chedule problems for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KPBL) and propose approaches to solve these problems by applying Integer Programming. A schedule in a sport league must satisfy lots of constraints on timing such as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and fairness requirements. Organizational requirements cover a set of rules which have to guarantee that all the games can be scheduled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imposed by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KBO). Attractiveness requirements focus on what stadium visitors, television spectators, and the clubs expect, that is, a varied, eventful, and exciting season. Fairness requirements have to guarantee that no team is handicapped or favored in comparison with the others. In addition to finding a feasible schedule that meets all the constraints, the problem addressed in this paper has the additional complexity of having the objective of minimizing the travel costs and every team has the balancing number of the games in home. We formalize the KPBL problem into an optimization problem and adopt the concept of evolution strategy to solve it. Using the method proposed, it is efficient to find better results than approaches developed before.

  • PDF

개인특성 및 직무환경이 구성원의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중소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and Job Environment Factors on Employees' Organizational Adaptability -Focused on Metropolit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mployees-)

  • 박준원;이선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2-92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조직적응성에 관한 연구는 대기업이나 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구성원의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개인특성과 직무환경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개인특성에서는 하위변수를 자기효능감, 낙관성, 회복 탄력성으로 설정하였고, 직무환경 요인에서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문화로 설정하였다. 표본 자료는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방문, 전화 통화, 전자메일, 팩스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98부였다. 통계분석은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요인의 자기효능감, 낙관성, 회복탄력성은 구성원의 조직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고, 직무환경의 조직공정성은 조직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직무환경의 조직문화는 조직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소기업의 구성원들에게는 임금수준, 업무량, 보상, 의견반영 등의 공정한 적용은 구성원들의 조직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조직적응성을 대기업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