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Integration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대학도서관 정리부서 현황과 조직 변화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hanges in Technical Service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 이지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3-215
    • /
    • 2014
  • 이 연구는 도서관 정리부서 변화 요인을 조사하고 국내 대학도서관 정리부서 조직 현황과 변화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정리부서 조직 개선을 위한 변화와 발전 방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서관 정리부서의 변화의 주요 요인은 분담편목과 아웃소싱,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자원과 이에 대한 메타데이터 생성이었다. 국내 32개 대학도서관 정리부서 담당자를 대상으로 정리부서 현황과 조직 변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 대부분 정리전문사서의 양성, 정리부서 체제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전통적인 편목과 함께 전자자원에 대한 메타데이터 업무가 통합된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대학도서관 전반적으로 메타데이터 관련 업무가 분산되어 있었고, 정리부서 내에서 담당하지 않는 메타데이터 관련 업무에 대한 파악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데이터 거버넌스 실증연구: 구성요소 간 구조적 관계와 영향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data governance: Focusing on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components)

  • 윤건
    • 정보화정책
    • /
    • 제30권3호
    • /
    • pp.29-48
    • /
    • 2023
  • 디지털전환과 AI·데이터시대가 심화되면서 데이터의 원활한 흐름과 활용을 위한 데이터 정책, 그리고 그 의사결정 구조로서의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 거버넌스 연구들을 살펴보면, 데이터 거버넌스 자체의 측정이나 사례 분석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증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거버넌스의 구성요소 간 구조적 관계와 그것이 목표로 하는 데이터 융합이나 데이터기반행정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구성요소 및 유형화의 방식, 이를 적용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공공 부문에 특화된 데이터 정책 관점의 정의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둘째, 분석틀과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을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의 '공공데이터 정책 활용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터 거버넌스 구성요소 중 조직 요소가 제도 요소와 기술 요소 사이에서 매개적 효과를 나타내었고, 제도 요소와 기술 요소가 데이터 융합이나 데이터기반행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데이터 거버넌스에서 법제도의 개선과 개발에 대한 관심과 투자, 데이터 기술의 수단과 목적에 대한 명확화, 데이터 조직과 인력에 대한 관심과 실제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메커니즘의 개발 등, 몇 가지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 모델링과 프로세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M Capability Modeling and Process Improvement in Small Venture Firms)

  • 이설빈;박주경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5-123
    • /
    • 2018
  • 본 연구는 중소 벤처기업의 SCM(공급사슬관리)역량 모델링과 프로세스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중소 벤처기업의 SCM역량 모델링과 프로세스 개선에 있어 공급사슬 전략계획의 모델링에서 전략적 제휴, 기술개발, 집중화에 있어 전략적 제휴를 가장 중요시하고 그다음 기술개발보다 집중화에 중점을 둘 것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의사결정에서도 경로설정 스케줄링과 네트워크 통합, 3자물류 아웃소싱 중 네트워크 통합을 가장 중시하였으며 관리통제에서도 고객서비스 관리, 생산성 관리, 품질 관리 중 품질 관리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래지원 시스템에 있어서는 주문 관리 선택, 가격결정 청구, 출하배송, 고객 관리 중 주문 관리 선택을 가장 중시한 모델링과 프로세스상 개선을 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으로 중소 벤처기업의 SCM역량을 극대화시키고 최적화된 프로세스 운영을 위해 해당 조직구성원의 역량과 프로세스 개선 관점에서 기존 전략적 제휴를 통한 네트워크 공유와 통합을 통해 품질 관리를 최적화시키고 거래지원 시스템을 안정화시킴으로써 기업간 전략적 연계를 통한 단순한 전자적 자료 교환 관계를 넘어 정보시스템의 통합 역량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달성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시대에 최적의 공급사슬 통합 역량의 모델화와 최선의 프로세스 관리를 위해 정보통합에 있어 시스템의 호환성과 신뢰성이 바탕이 된 인프라 구축과 함께 SCM역량 극대화를 위한 조직화와 집중화가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제3자 물류 서비스공급자의 역량을 통한 우간다 식품 가공업체의 물류 아웃소싱 성공에 대한 영향 분석 (Analyzing the impact on logistics outsourcing success for Ugandan food processing firms through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providers' capabilities)

  • 알리오니 크리스토퍼;박병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64
    • /
    • 2022
  • 최근 급속한 세계화로 인해 물류 아웃소싱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것은 견고한 물류시스템을 구축하는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이 물류 아웃소싱 계약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기업의 내부 관리를 위해 물류 기능을 회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연성, 통합, 혁신 및 기술 역량과 같은 물류 서비스 제공자(LSP)의 조직 역량이 우간다 식품 가공 회사의 물류 아웃소싱 성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우간다 캄팔라에 있는 211개 식품 가공 회사에서 수집한 횡단면 데이터를 SmartPLS 3.3.7 소프트웨어를 통한 PLS-SEM(부분 최소제곱-구조방정식 모형화)으로 분석하여 이론적 관계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술 및 혁신 역량은 물류 아웃소싱 성공에 긍정적이고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유연성 및 통합 역량의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성과분석(IPMA) 결과 물류 아웃소싱 성공을 위해서는 기술 역량이 우선순위가 가장 높고 그다음이 혁신 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연성과 통합 역량은 우선순위가 낮았다.

전략적 관점에서 본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Instruments for the Business Model of Electronic Commerce in the Strategic Perspective)

  • 송영일;전호일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5권3호
    • /
    • pp.1-3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mpirically validated instrument for business model.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business model were almost taxonomies. And the focus of those researches were the classification by the degree of integration and innovation the origin, and the main source of revenue etc. In the emerging fields such as IT, e-commerce, and e-business, it tends to overlook methodological issue in its substantive relationships and also measurement. Business model is taken an interest in recent years. However, as the non-establishment of construct on business model has made no empirical study, this, study tries to develop an empirical validated instrument that identifies the dimensions of business model by uncovering meaningful group or categories. For this, the outlined domain of business model are defined as an organizational level that competes in the industr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the traits such as process integration, value chain reconstruction, strategic alliance with another business model, specialty in a certain wet sustainability of essential capabilities, differentiation, convertibility, customer orientation, revenue stream, newness, innovation leadership: and vision sharing are identified in those respective domains, and then the traits are classified into five dimensions such as interlinkageableness, valueness, functionalness, preemptiveness, and goalness by their characteristics. Generating items are continued on the basis of operationaliz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s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validated instrument with LISREL measurement model. Finally the instrument is developed through the previous procedu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 first empirical effort to assess business model. The resulting instrument can be used with dependent variables in the future study related to business model. And the establishment of construct of business model is able to make a basis to rise an additional issue consequently. In the practical side, the instrument also can be employed as an assessment framework that can assess whether the expected value success or not. The instrument with the measurement can be used on competitor's business model, In. When an investment into a i-m with a specific business model, these instrument developed can be presented as the basic framework of assessment.

  • PDF

Automated Systems and Trust: Mineworkers' Trust in Proximity Detection Systems for Mobile Machines

  • Swanson, LaTasha R.;Bellanca, Jennica L.;Helton, Justi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4호
    • /
    • pp.461-469
    • /
    • 2019
  • Background: Collisions involving workers and mobile machines continue to be a major concern in underground coal mines. Over the last 30 years, these collisions have resulted in numerous injuries and fatalities. Recently, the Mine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MSHA) proposed a rule that would require mines to equip mobile machines with proximity detection systems (PDSs) (systems designed for automated collision avoidance). Even though this regulation has not been enacted, some mines have installed PDSs on their scoops and hauling machines. However, early implementation of PDSs has introduced a variety of safety concerns. Past findings show that workers' trust can affect technology integration and influence unsafe use of automated technologies. Methods: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effect that factors such as mine of employment, age, experience, and system type have on workers' trust in PDSs for mobile machines. The study also explores how workers are trained on PDSs and how this training influences trust. Results: The study resulted in three major findings. First, the mine of employ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workers' trust in mobile PDSs. Second, hands-on and classroom training was the most common types of training. Finally, over 70% of workers are trained on the system by the mine compared with 36% trained by the system manufacturer. Conclusion: The influence of workers' mine of employment on trust in PDSs may indicate tha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may need to give the organization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mine careful consideration to ensure safe integration of automated systems.

웹 서비스 기반 e-비즈니스 응용 프로그램 통합 프레임워크 (A Web Services based e-Business Application Integration Framework)

  • 이성독;한동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6호
    • /
    • pp.514-530
    • /
    • 2005
  • 본 논문은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형태의 플랫폼 상에 장착되어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통합을 지원하는 e-비즈니스 응용 프로그램 통합(eAI)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연결된 응용 프로그램은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워크플로우 시스템에 의해서 구동되고 조정되면서 특정 비즈니스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프레임워크 구성을 위해서 5개의 하위 프레임워크 구성 모듈이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각 모듈의 기능과 역할이 정의되었다. 도출된 5개의 하위 모듈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설계 툴, eAI 플랫폼, 비즈니스 프로세스 변환 모듈, UDDI 연결 모듈, 그리고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안된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기업 내$\cdot$외부 응용 프로그램들은 방화벽에 구애되지 않고 손쉽게 통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워크플로우 시스템의 확장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하였으며, 구현된 eAI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응용 프로그램 구현을 통하여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완전한 기능을 갖춘 eAI 솔루션은 이 프레임워크에 추가적인 기능을 점진적으로 추가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한국제조업에서의 외부통제에 관한 공간적 분석 (The geography of external control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 백영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6-168
    • /
    • 1995
  • 본 연구는 기업의 외부통제에 관한 개념적인 논의와 함께, 한국의 제조업에서 80년 대 중반 이후(1986-1992)에 나타난 통제의 공간적 변화를 경험적으로 조사하였다. 15개의 지역 사이에 다입지 기업의 소유연계에 대한 자료가 외부통제의 대체척도로 이용되었다. 이 자료를 근거로 생산과정의 특성에 따른 세가지 유형의 제조업 부문별로 통제의 변화를 지도 화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외부통제의 지리적 특징은 서울이 탁월한 통제의 중심지로서, 서울의 영향력은 수도권과 동남권의 산업발달 지역에 집중되었지만, 최근에 그 영향력은 산 업이 낙후된 지역까지 확산되어 전국적이다. 또한 새로운 통제의 중심지로 수도권과 동남권 의 중심인 대도시가 서서히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유형별로 상 이한 외부통제의 공간적 패턴은 생산의 조직구조가 생산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자본과 노동 은 물론 부문이 처한 외부환경에 따라 변화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상이한 생산과정 을 채택하는 다입지 기업의 공간적 영향에 차별적 분석을 요구한다.

  • PDF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 (The success and failure of non-regular workers' struggles an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strength)

  • 조돈문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9-176
    • /
    • 2011
  • 민주노조운동과 노동계급 형성의 후퇴기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투쟁과 함께 새로운 계급형성의 잠재적 주체로 등장했다. 하지만 주체 형성의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왜 투쟁은 성과를 내지 못했는가? 어떤 변인들과 인과적 메커니즘을 통해 투쟁의 성과가 결정되는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답변을 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정규직 투쟁에 비해 비정규직 투쟁은 자본의 공세에 대응하는 수세적 방어적 성격이 짙고, 생산현장 접근성 제약으로 파업 투쟁 이외의 방식에 의존하며, 사측의 비타협성으로 인해 장기화되고, 교착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극단적 투쟁 방식에 호소하며, 정규직 연대 확보가 어려워 외부연대에 크게 의존하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비정규직 투쟁은 승리보다는 패배, 조직력 강화보다는 약화로 귀결되는 경향이 강하다. 패배 경향성을 상쇄하고 승리하기 위해서는 비정규직 주체들의 조직 동원 역량과 정규직 노조의 연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건이며, 강력한 사회적 연대나 위치적 권력은 정규직 연대의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투쟁이 조직력 강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투쟁의 승리가 필요하지만 투쟁의 승리로 쟁취한 정규직화가 승리의 덫이 될 수도 있다. 정규직 노조의 연대와 투쟁 주체의 내적 통합은 비정규직 투쟁이 승리하고 조직력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쟁을 전개하는 부분은 비정규직 노동자들 가운데 조직력이 가장 강한 부분인데 이들이 투쟁 과정에서 조직력 위축 혹은 조직 와해를 겪으면서 비정규직 주체 형성을 어렵게 한 것이다. 하지만, 비정규직 투쟁이 없었더라면 자본의 공세가 그대로 관철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비정규직 투쟁은 적어도 자본의 공세를 약화 혹은 지연시킨 효과는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형 설정자 역할의 부담 속에서 강경투쟁 전략과 양보타협 전략 사이의 투쟁 전략 딜레마는 투쟁 주체의 분열을 심화하여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정규직 투쟁의 실천적 함의는 비정규직 투쟁의 궁극적 목표를 노동계급 형성을 위한 주체형성으로 재정의한다면 비정규직 투쟁의 전략적 목표는 당면 요구조건의 완전한 쟁취보다 조직의 보전 강화에 두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라는 점이다.

개인 창의성이 지식공유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통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ersonal Creativity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Focused on Retail Workers)

  • 이준표;박계홍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10호
    • /
    • pp.93-105
    • /
    • 2019
  • Purpose - First, empirical research will reveal how personal creativity affects the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self-management competency will be verified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o reduce the time interva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re are two major research models. First, personal creativity (professionalism, emotional intelligence, internal moti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sharing (creation of knowledge, organization of knowledge, use of knowledge) and innovation behavior (deriving ideas, implementing ideas, promoting ideas). Second, self-management competency (intellectual capacity, emotional capacity, personality capac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addition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or 259 workers in the retail industry.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24.0 program, and the influence on the measurement model was analyzed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 First, personal crea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ision-making process accompanied by individual creativity can create an atmosphere of knowledge sharing and continue to innovate. Second, personal crea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Third, self-management competenc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influence of personal creativity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Conclusions - First, it is important for managers to recognize the value of creative talents who can be a fundamental source of organizational success and competitive advantage, and to attract talented people. Second, managers should be able to develop decision-making processes to develop potential creativity and encourage creative ideas, opinions, or solutions when organizing the work environment of their members. Third, managers should promote the sharing and integration of new knowledge that underlies the creative views and attitudes of teams and organizational members.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emphasize the role of the work environment in which creative behaviors are promoted, this study shows that creativity of individual members, itself,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