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Fertilizer (100%)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4초

돈분뇨 슬러리 액비저장조내 침전물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from Pig Manure Slurry in Liquid Fertiluzer Storage Tank)

  • 이승훈;정광화;김중곤;;곽정훈;한덕우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5-200
    • /
    • 2014
  • Liquid fertilization of pig manure slurry is very useful treatment method to recycle organic waste matter as a valuable fertilizer. The solids precipitate and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liquid fertilization tank. The content of nitrogen and phosphate are higher in sediment than pig manure slurry. The pH of sediment was 7.53. S-COD/T-COD ratio of pig manure slurry and sediment were 0.477, 0.29,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of sediment of pig manure slurry and sediment were 80.45~83.82%, 97%, respectively.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of sediment was 8.79~10.56%. The content of nitrogen and phosphate of sediment and pig manure slurry were 9,000~11,100 mg/L, 9,100~11,100 mg/L, respectively. The particle size of pig manure slurry was distributed from 2 mm to 0.125 mm. On the other hand. the particle size of sediment was under 0.125 mm.

경기도 뽕밭의 토양화학성 (Several Soil Chemical Properties on Mulberry Fields in Kyunggi Province)

  • 이원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7
    • /
    • 1990
  • 뽕밭 토양화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9년 2월 경기도의 29개 농가 60필지 뽕밭으로부터 표토를 채취하여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토양화학성의 평균치는 산도는 5.52, 유기물 함량 1.74%, 유효인산 572ppm, 치환성 칼리 0.62me/100g으로 1968년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유기물함양만 제외하고는 모든 토양화학성이 높아졌으며, 특히 유효인산은 1968년 140ppm에 비해 4배나 증가하였다. 2. 인도교정이 요구되는 뽕밭은 92%나 되었고, 유기물도 90% 뽕밭이 부족하였고, 칼리는 22%가 표준량에 훨씬 못 미쳤다. 인산은 표준함양 미달 포장이 15%인 반면, 200ppm 이상이 50% 이었으며, 최고 2,117ppm인 뽕밭도 발견되었다. 3. 이러한 토양분석 결과는 3요소 시비 표준량 및 뽕밭 전용 복합비료 중의 인산 함양비율을 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지속적 농업을 위한 고성능토양의 개발 연구-II 유기질비료 시용에 따른 토양미생물상의 변화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oil for High Efficient and Sustainable Agriculture-II Changes of Population of Soil Microorganisms in the Fertilized Soil with Organic Materials)

  • 유성준;장기운;황경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6호
    • /
    • pp.457-464
    • /
    • 1998
  • 유기질 비료(돈분, 계분)의 시비량을 달리하여 토양에 첨가한 후 3년간 토양미생물상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통상농도의 NB(nutrient broth) 평판배지와 m배지를 $10^{-2}$배 희석한 DNB(Diluted Nutrient Broth) 평판배지를 사용하여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유기질 비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및 30 Mg/ha 처리구의 경우 DNB 평판배지에서의 세균 계수치는 NB 평판배지보다 $5{\sim}10$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60 Mg/ha 처리구와 120 Mg/ha 처리구의 경우 3년이 지난 후에도 NB 평판배지에서의 계수치가 DNB 평판배지에서보다 $10{\sim}100$배 이상 지속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세균은 통상농도의 NB배지에서 증식 가능한 세균(NB세균)과 NB배지에서는 증식하지 않고 희석한 DNB배지에서만 증식하는 세균(DNB세균)으로 분류하여, 이들 세균의 분포율을 조사하였다. 대조구 토양의 경우 DNB세균은 60% 이상 높은 점유율을 나타낸 반면, 유기질 비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DNB세균의 분포율이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DNB세균은 유기질 비료를 과다하게 시용한 토양(60 Mg, 120 Mg/ha 처리구) 중에서 현저히 낮은 분포율(30% 이하)을 나타내었으며, 연속적으로 과다하게 시용할 경우 NB세균과 DNB세균의 동적 평형관계가 깨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토양내 사상균의 경우 유기질 비료 시용량에 관계없이 $10^4{\sim}10^5\;cfu/g$로 비교적 일정한 분포율을 나타내었지만, 방선균 수는 유기질 비료를 시용함으로써 대조구 토양에 비해 $10{\sim}100$배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 PDF

마분 퇴비 시용 수준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조사료 생산성과 화산회토양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rse Manure Compost Application Levels on the Forag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and Volcanic Ash Soil Characteristics)

  • 유지현;박남건;황원욱;우제훈;지희정;양병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6-101
    • /
    • 2021
  • 본 연구는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코윈어리) 재배 시 마분 퇴비의 시용 수준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산성과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화학비료구, 마분 퇴비·화학비료 혼용구, 질소기준 마분 퇴비 50 %, 100 %, 150 % 시용구로 총 5처리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초장 및 건물 수량을 조사하였고, 토양은 pH, 총질소, 유효인산,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마분 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초장은 화학비료구, 마분퇴비와 화학비료 혼용구, 마분 퇴비 150 %가 각각 147.8 cm, 144.3 cm, 147.1 cm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건물 수량은 화학비료구가 약 23,807 kg/ha로 가장 높았고 마분 퇴비 150 %, 혼용구가 각각 18,804 kg/ha, 18,455 kg/ha이었다. 그리고 마분 퇴비 100 %, 50 %가 각각 15,801 kg/ha, 14,446 kg/ha로 나타났다. 마분 퇴비를 시용한 처리구에서 건물 수량은 혼용구와 마분 퇴비 150 %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표면의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시험 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분 퇴비 150 %가 유의적으로 pH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효 인산 함량의 경우 시험 후 지표면에서 마분 퇴비를 시용했던 처리구들이 화학비료 100 %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마분 퇴비 150 %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종합하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 수량은 마분 퇴비와 화학비료 혼용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토양 성분에서도 화학비료구 대비 큰 차이가 없었으며, 특히 지표면의 유효인산 함량은 화학비료구보다 작았다. 따라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 시 마분 퇴비를 시용 할 때는 기비로 질소 기준 50 % 수준을 시용한 후 부족분은 화학비료로 추비해 주는 것이 적절한 건물 수량을 얻으면서도 토양 환경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기농산물 생산농가의 최적영농조직 (A Study on Optimal Farming System for Organic Farm Products)

  • 장현동;김재홍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94-107
    • /
    • 1997
  • Producing organic farm products is one of the high-payoff farming practices considering the rapid increase of consumer's purchasing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ptimal organic farming system in relation to farm income. To cope with the above objectives, present farming conditions and profitability of 15 farmers producing organic products including rice and leaf vegetables as lettuse and cabbage were surveyed in Hongsung and Ahsan Gun, Chungnam Province. Based on the surveyed data, maximization of organic farm income were analyzed under the constrained conditions such as limited monthly labour inputs and competitive use of land by Linear Programming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profitability analysis of 15 farmers producing organic products, rice farmers could earn their farm income more than that of conventional farmers by 5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d lettuce farmers could get more about 100% than that of it. But the controlled cabbage farm could get more about 40% of it. These organic farm products were saled at high prices comparing with the prices of conventional farm products by 170% ~ 230% even though the crop yields produced by organic materials had decreased. 2. According to the labor requirement of the organically produced crops, rice cultivation was needed more labour inputs than the conventional farming method by 130%. On the other hand lettuce and cabbage could saved labour requirement by 40% and 80% of those respectively. Especially for the rice cultivation concern, higher labor requirement was due to the activities as organic fertilization, soil preparation and pest and weed controll, etc. 3. With the surveyed data from farmers who produced farm commodities, L.P. analysis was implemented to find out the optimul farming system and the maximum incom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P. analysis, 58% of total farm income could get more than the conventional farming system In the case of rice cultivation, one ha of paddy was recommendable to save more labour inputs than the controlled leaf vegetables such as lettuse and cabbage. However, in the controlled leaf vegatables, only 73% of total upland equivalent to 0.3 ha should be cultivated under the condition of labor shortage as the restricted 4 workers. And increasing the size of hogs raising should be recommened to achieve self-sufficiency of organic fertilizer. As pointed out the possibility of organic farming, present farmers producing organic farm products could be able to maximize their income by expanding organic farm size with regard to all conditions of our organic industry. Of cours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course of developing organic agriculture. So Government should effort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our organic agriculture considering the various aspects of production, marketing, Quality certification of organic produces.

  • PDF

사과원토양(園土壤)의 일반이화학적성질(一般理化學的性質)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urvey on the Gener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pple Orchard Soils)

  • 이만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05-211
    • /
    • 1973
  • 화강암(花崗岩), 화강섬녹암(花崗閃綠岩), 섬녹암(閃綠岩), Arkose 질사암(質砂岩) 및 Tertiary 혈암(頁岩)등에 유래(由來)된 사과원(園) 11개처(個處)에서 층위별(層位別)로 토양(土壤)을 채취(採取)하여 그 리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을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一般的)으로 토성(土性)은 사질(砂質)이고 pH($H_2O$)는 4.35~6.75로서 약산성(弱酸性) 내지(乃至) 중성(中性)이고, 표토(表土)의 부식함량(腐植含量)은 1.14~5.58%, 질소(窒素)는 0.065~0.209%이나 하층(下層)으로 내려갈수록 감소(減少)하고 있다. 2. 표토(表土)의 치환성염기함량(置換性鹽基含量)은 4.89~17.81me/100g로서 비교적(比較的) 적고(Ca>Mg>K>Na).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7.74~21.72me/100g 범위(範圍)이며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는 22.52~94.62% 범위이다. 3. 표토(表土)의 인산(燐酸)은 35.5mg/100g 이하(以下)로서 매우 적고, 가리(加里)(79.2~7.2mg/100g), 유효태동 (有效態銅 )(1.0~16.9ppm), 수용성붕소(水溶性硼素)(0.18~0.72ppm) 등은 표토(表土)에 많고 하층(下層)으로 내려갈수록 감소(減少)되었으며 망간은 pH 에 따라 그 함량(含量)의 차이(差異)를 볼 수 있었든바 pH 4~6에서는 수용성(水溶性)망간이 0.42~17.8ppm. 치환성(置換性)망간이 9.82~66.83ppm이나 PH 6이상(以上) 되는 곳에서는 수용성(水溶性)망간이 0.70ppm 이하(以下), 그리고 치환성(置換性)망간이 22.25ppm 이하(以下)로서 현저히 적었다.

  • PDF

가축분퇴비가 연용된 밭 토양에서 잠재적 질소 무기화량 추정 (Soil Nitrogen Mineralization Influenced by Continuous Application of Livestock Manure Composts)

  • 윤홍배;이연;유창연;양재의;이상민;신재훈;김석철;이용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9-334
    • /
    • 2010
  • 가축분 퇴비 시용이 토양 중 질소 무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계분 (CHM), 돈분 (PIM), 우분 (COM), 계분톱밥 (CHMS), 돈분톱밥 (PIMS), 및 우분톱밥 (COMS) 퇴비를 4년간 연용한 밭 토양을 대상으로 27주간 항온시험을 실시하였다. 항온기간 동안 누적 질소 무기화량을 1차 반응 속도식 (first-order kinetics)에 적용하여 잠재적 질소무기화량 (No)을 평가한 결과, PIM 처리구에서 15.0 mg 100 $g^{-1}$으로 가장 높았으며, COMS 처리구에서 9.5 mg 100 $g^{-1}$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질소 무기화 속도상수, k는 CHM 0.017 > PIMS 0.016 ${\geq}$ CHMS 0.016 > PIM 0.014 > COM 0.012 ${\geq}$ COMS 0.01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No 값은 토양 중 전질소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는 토양 중 전질소 함량의 8.1-11.9% 이었다. 그리고 No 값은 토양 유기물 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톱밥이 혼용된 가축분 퇴비가 장기 연용된 토양에서 유기물 함량을 근거로 산출하는 현재의 질소 시비량 결정 방법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요소시용(尿素施用) 초지(草地)의 토양단면(土壤斷面)에서 pH 및 인산(燐酸), 유기물(有機物)과 치환성(置換性) 양(陽)이온 함량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pH and Content of Phosphate, Organic Matter and Exchangeable Cations in Soil Profile of Urea-Fertilized Grassland)

  • 윤순강;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4-259
    • /
    • 1991
  • 요소(尿素)가 사용된 초지의 토양단면(土壤斷面)에서 pH, 인산, 유기물 그리고 치환성(置換性) 양(陽)이온 함량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질소(窒素)비료 28kg N/10a을 시용하고 무질소구(無窒素區)와 목초(牧草)를 재배하면서 봄(5.26), 여름(7.27), 가을(10.18)철에 토양시료를 100cm까지 20cm 간격으로 채취하여, 토양(土壤) 화학성(化學性)을 비교(比較)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봄, 여름철에 토양깊이 0~20cm에서 28kg N/10a 처리구의 pH는 질소 무처리구에 비하여 각각 0.7, 1.0 단위 낮았으며 토양깊이 20cm 이하에서도 28kg N/10a 처리구에서 pH가 낮아졌으며 계절별 pH감소 정도는 여름>봄>가을 순(順)이었다. 2. 토양 Bray No.1 인산 함량은 봄, 여름 철 질소무처리구와 28kg N/10a 처리간에 토양깊이별 차이가 없었으나, 여름철에 0~20cm 깊이에서의 인산함량은 봄철에 비하여 약 20ppm정도 낮았다. 가을철에는 28kg N/10a 처리의 토양깊이 20cm이하에서 인산함량이 봄, 여름철에 비하여 증가(增加)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유기물(有機物) 함량은 가을철에 질소 무처리구, 28kg N/10a 처리에서 공히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대체적으로 질소시용량별, 토양깊이별 계절간 함량변화는 매우 적었다. 4. Ca 함량은 질소 무처리구, 28kg N/10a 처리 공히 토양깊이가 깊을수록 완만하게 감소(減少)되는 경향이었으나, 28kg N/10a 처리에서는 토양깊이 0~20cm에서의 함량이 봄철에 가장 높고 다음이 여름, 가을철 순(順)이었다. Mg과 K 함량은 질소 무처리구과 28kg N/10a 처리간에 계절별, 토양깊이별 차이가 거의 없었다. 5. 여름 철에 질소 무처리구에서는 $NH_4-N$ 함량과 pH, 유기물, Ca, Mg간에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었고 28kg N/10a 처리에서는 $NO_3-N$함량과 토양 pH간에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r=$-0.534^*$)이 있었다.

  • PDF

답작지대에서 돈분액비가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지력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pplication Levels of pig Slurry on the Productivity of Rye, Nutritive Value and Soil Fertility in Paddy-land)

  • 육완방;최기춘;윤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5-112
    • /
    • 2005
  • 본 연구는 답리작 사료작물인 호밀에 대한 돈분액비 시용시 돈분액비에 의한 화학비료 대치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돈분액비의 시용수준별 호밀의 생산성 및 지력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설계는 화학비료 3 요소구(200-150-150), 화학비료 대비 돈분액비 $100\%$ N, 돈분액비 $200\%$N 및 돈분액비 $100\%$N+1/2 화학비료로 하여 3년 동안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에 따른 호밀의 건물수량은 돈분액비 $100\%$+1/2 화학비료구, 액비 $200\%$구 및 화학비료 3 요소구의 순이었으며 돈분액비 $100\%$ 구가 가장 낮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돈분액비 $200\%$ 구가 $10.53\%$로 가장 높았고 돈분액비 $100\%$+1/2 화학비료구와 화학비료 3 요소구는 비슷하였으며 돈분액비 $100\%$ 구가 $8.04\%$로 가장 낮았으나, NDF와 TDN 함량은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이나 화학비료의 시용에 관계없이 서로간에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호밀에 의한 N 생산량은 N 공급수준과 비례하여 돈분액비 $200\%$, 돈분액비 $100\%$+1/2 화학 비료구, 화학비료 3요소구 및 돈분액비 $100\%$ 구 순으로 높았다. 또한, 토양중 N 함량과 토양 유기물 함량은 돈분액비 시비 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시용년도가 진행될수록 토양 N 함량도 증가되었으나, P 함량은 액비시용수준이나 년차간에도 변화가 없었다.

유기재배매뉴얼을 활용한 유기쌀 생산 (Production of Organic Rice (Oryza sativa L.) using Organic Cultivation Manual)

  • 차광홍;오환중;서동준;송용수;안준섭;안규남;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7-113
    • /
    • 2014
  • 1. 토양조건은 배수가 양호한 양토인 안룡통 보통답으로 칼륨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논토양의 평균 함량보다 낮은 토양이었다. 유기질비료로 처리구는 질소 표준시비량인 9kg/10a과 비슷한 N-P-K=8.45-4.89-9.24kg/10a를 시용한 반면 관행구는 표준시비량보다 많은 N-P-K=14.5-6.3-10.8kg/10a를 시용하였다. 2. 벼 수확 후 시험구 토양내 미생물상 분포를 조사한 결과 박테리아와 방선균의 수는 처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고, 곰팡이의 수는 관행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토양내 가수분해효소 생성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호평벼 처리구에서 키틴분해미생물과 인산분해 미생물 분포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3. 병해충 발생정도는 전체적으로 처리구에서는 미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관행구에서 특히 호평벼에서 도복과 이삭도열병이, 잎집무늬마름병은 두 품종 공히 심하게 발생하였다. 혹명나방은 온누리에서 발생율이 높았는데 이는 질소 과다 시용으로 판단되었다. 4. 호평벼와 온누리 공히 관행구가 처리구에 비해 간장과 수장은 약간 길고, 주당수수는 많았다. 그러나 잎집무늬마름병 및 이삭도열병, 혹명나방 도복 등으로 등숙비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관행구는 천립중이 낮았으며 수량이 호평벼는 38%, 온누리는 13% 떨어졌다. 5. 병해충인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혹명나방과 수량과의 관계에서 유의성이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6. 백미의 품질도 관행구에서 쇄립율의 증가로 완전미 비율은 낮고, 단백질함량이 높아 전반적인 품질 및 윤기치가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