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dered logit analysis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8초

교차로, 횡단보도, 터널 구간에서 사고유형에 따른 상대적 위험도 분석 (Analysis of Relative Risk by Accident Types at Intersections, Crosswalk and Tunnel Sections)

  • 이현미;전교석;김형준;장정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841-851
    • /
    • 2019
  • 본 연구는 교차로, 횡단보도, 터널 구간에서 교통사고 유형에 따른 위험 순위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서울, 경기도에서 발생한 2014년부터 2017년까지의 교통사고자료 중 교통량 및 속도 자료와 결합 가능한 58,868건의 자료를 구축하고, 순서형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사고심각도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추정된 모형을 기반으로 사고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고발생위치(교차로, 횡단보도, 터널)별, 사고유형별, 사고발생 시간이나 상황별로 상대적 위험도 분석을 통해 위험순위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고발생 위치와 시간에 따라 사고심각도에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 자료로부터 산출된 사고 발생 빈도와 사고심각도와 비교해봤을 때, 발생 빈도가 적더라도 사고심각도 측면에서는 위중하거나, 발생 빈도가 높고, 사고심각도 또한 위중한 경우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교통사고유형의 위험 평가를 통해 도로별로 상대적으로 위험한 사고유형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고 도로별, 사고유형의 교통사고 위험도 지수 개발에 기초자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구매에 있어서 가격변수의 중요도 및 영향인자에 관한 분석 (The Effects of Price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for Eco-Friendly Foods)

  • 진현정;금석헌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3호
    • /
    • pp.105-133
    • /
    • 2011
  • 본 연구는 친환경농산물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가격변수의 중요도를 살펴보고 가격수준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직접질문 결과 현재 친환경농산물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유통채널', '친환경식품 표기에 대한 신뢰' 등을 가격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서열로짓분석 결과가 제시하는 바는 '어린 자녀의 수'나 '가족 중 환자 유무' 등 상황적 요인이 친환경농산물의 가격수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컨조인트분석 결과를 보면 '유통채널'이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표기에 대한 신뢰' 그리고 가격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첫 번째 직접질문방식의 결과가 제시하는 바와 비슷한 결과로 풀이된다. 즉 '친절한 설명'이라는 변수는 컨조인트분석에 포함하지 않았음을 감안할 때, 주어진 상품프로파일 상의 선택을 이용한 간접적인 분석 결과와 직접적으로 질문한 결과가 같은 의미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 Continuation-Ratio Logits Mixed Model for Structured Polytomous Data

  • Choi, J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1호
    • /
    • pp.187-193
    • /
    • 2006
  • This paper shows how to use continuation-ratio logits for the analysis of structured polytomous data. Here, response categories are considered to have a nested binary structure. Thus, conditionally nested binary random variables can be defined in each step. Two types of factors a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response probabilitie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categorical data with binary nested strutures a continuation-ratio mixed model is suggested. Estimation procedure for the unknown parameters in a suggested model is also discussed in detail by an example.

  • PDF

장미에 대한 선호속성의 동태적 변화와 마케팅 믹스전략 탐색 (A Review on Dynamic Changes of Consumer's Attributes and Marketing Mix Strategies of Cut Roses in Korea)

  • 김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328-4336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소비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장미를 대상으로 구입특성 및 선호속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수요확대를 위한 적절한 마케팅 믹스전략을 탐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07~2011년 동안의 동태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인 Kim, et al.(2007)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였고, 이들 연구와 동일한 조사패널과 분석기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10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 절화 장미의 구매특성, 선호속성 파악을 위한 선택실험 문항 등으로 구분하여 시행하였다. 응답결과 1,023개의 유효표본이 추출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구입의향 변화 등 소비자 구입특성 및 선호속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입의향 분석을 위해 순위 프로빗모형을 이용하였고, 선호속성 및 속성별 추가지불의사액 추정을 위해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절화 장미 표적시장(target market)을 설정하고, 상품특성(product), 상품가격(price), 판매장소(place), 판매촉진(promotion) 등 마케팅 4P를 조합한 마케팅 믹스전략을 제안하였다.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의 인적교통사고 심각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lderly's and Non-elderly's Human Traffic Accident Severity)

  • 이상혁;정우동;우용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33-144
    • /
    • 2012
  • 본 연구는 교통사고자료를 이용하여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 간의 교통사고요인을 파악하여 각 요인들이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나이에 의해 구분된 고령자와 비고령자 집단을 교통사고자료를 이용한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재분류하였으며,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심각도를 종속변수로 두고, 교통시설, 도로환경, 개인별특성에서 17개 독립변수로 정하여 순서형 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의 교통사고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사고 당사자의 연령뿐만 아니라, 사고유형이나 운전자 개인의 특성, 도로환경도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은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변수의 종류와 크기가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의 개인적 특성에 적합한 교통시설이 개선된다면 교통사고의 심각도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소비자의 6차산업 인지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the Sixth Industry)

  • 주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19-130
    • /
    • 2020
  • 농가소득 중 농외소득 비중은 40% 이상이며 6차 산업은 농외소득의 주요 원천이다. 6차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의 선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나 대다수의 연구가 생산자에 집중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위형로짓모형을 사용하여 6차 산업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와 만족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6차 산업에 대한 인지도가 대체로 낮게 나타났으며, 성별, 지역별 인지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둘째, 6차 산업을 알게 된 경로는 언론보도, 포털검색, SNS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6차 산업의 인지도에 미치는 요인에는 연령, 결혼형태, 직업, 거주 지역, 소득 등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6차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의 관점에서 6차 산업의 인지도와 만족도를 연구한 최초의 논문으로 기존 논문과 차별성이 있다.

프로세스 관점에서의 기술혁신 및 고용성과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mployment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ss : Focused o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 봉강호;박재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08-1535
    • /
    • 2018
  • 기업들에 있어서 고용은 혁신활동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연속된 의사결정과정이다. 따라서 기술혁신을 통한 고용성과를 살펴봄에 있어서 이 같은 관계성을 명시적으로 분석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고용효과의 관계를 선행 연구와 같이 단일방정식을 추정하는 순위로짓(ordered logit) 모형으로 분석할 뿐 아니라, 연립방정식을 추정하는 외견무관회귀(SUR) 모형을 활용하여 실제 동시적으로 수행되어지는 기술경영 과정의 상관성을 반영하여 기업의 혁신활동과 기술혁신 성과, 보상제도 그리고 고용 창출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보상제도의 시행은 기술개발 및 기술사업화 성과를 높이고, 이것은 다시 기업의 고용을 촉진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용성과에 있어 기술개발 뿐 아니라 사업화 성과가 일종의 허들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기술혁신을 프로세스 관점에서 관리할 때 기업의 고용성과는 높아진다고 볼 수 있겠다.

Analysis of consumers' perception on the safety and quality of food from rural convergence industry

  • Hong, Seungjee;Lee, Kumho;Kim, Soungh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1호
    • /
    • pp.95-104
    • /
    • 2020
  •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s currently pushing forward policies targeting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initiative to incubate the front-runners of the '6th industry', to increase off-farm income, to create rural jobs for elderly, and to create women-based farms. As a result, in 2017, a total of 11,604 Rural Convergence Industries were in business, and the goods produced from those industries were diverse. However, the quality and safety of those products are not being checked and managed thoroughly, which has caused consumers to not trust products made from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ies. Through a survey and the ordering logit model, this study analyzed consumer perception of the safety and quality of goods from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we must first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ural agriculture areas and the products of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ies to uplift consumer perceptions regarding the products produced by the industries.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diverse points of distribution (sellers),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rural and urban areas, and marketing Rural Convergence Industry products within suburban consumer populations are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these products.

인지된 근린환경요인이 지역주민들의 자전거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주시를 대상으로 (Analysis for Impact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on Resident's Satisfaction of Bicycle Use)

  • 원동혁;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877-4883
    • /
    • 2012
  • 본 연구는 자전거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로 지역주민들이 인지하는 근린환경요인이 자전거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주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순위형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인지된 근린환경요인과 자전거이용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전거도로의 질, 자전거 편의시설의 질, 주요시설의 접근성, 자전거이용시 안전성, 가로환경의 다양성 등이 자전거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전거 이용환경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무선교통정보수집제공시스템(UTIS) 서비스의 이용 수요 예측 및 이용료 적정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Disaggregate Demand Forecasting and Estimation of the Optimal Price for UTIS Service)

  • 장석용;정헌영;고상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01-115
    • /
    • 2008
  • 본 연구는 교통선진국에서 활발한 연구 및 개발 등을 거쳐 일반화 작업 등이 시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이 함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무선교통정보수집제공시스템으로 더 잘 알려짐)을 소개하고, 추후 UTIS 도입 시, 서비스 이용 수요 예측과 실제 소비자인 운전자가 지불 방식별로 만족할 수 있는 적정 이용료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UTIS 서비스 이용 수요 예측 모델을 이항 로짓 모델을 통해 구축하였다. 둘째 UTIS 서비스의 이용료 지불 방식별 이용 행태 예측 모델을 순서형 프로빗 모델을 통해 구축하였다. 셋째, UTIS서비스의 이용 행태별 지불 방식별 선호도를 파악한 뒤, 이용료 지불 방식별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이용률의 단위 탄력점을 파악하고, 이용자 측면이 고려된 각 지불 방식별 적정 이용료를 서비스 공급자에게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