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chard field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8초

Comparison of Overall Immunity Levels among Workers at Grape Orchard, Rose Greenhouse, and Open-Field Onion Farm

  • Maharjan, Anju;Gautam, Ravi;Jo, JiHun;Acharya, Manju;Lee, DaEun;Pramod, Bahadur KC;Gim, Jin;Sin, Sojung;Kim, Hyocher;Kim, ChangYul;Lee, SooYeon;Lee, SooJin;Heo, Yong;Kim, HyoungAh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2호
    • /
    • pp.248-254
    • /
    • 2022
  • Background: Occupational hazards in crop farms vary diversely based on different field operations as soil management, harvesting processes, pesticide, or fertilizer application. We aimed at evaluating the immunological status of crop farmers, as limited systematic investigations on immune alteration involved with crop farming have been reported yet. Methods: Immun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plasma immunoglobulin level, major peripheral immune cells distribution, and level of cytokine production from activated T cell were conducted. Nineteen grape orchard, 48 onion open-field, and 21 rose greenhouse farmers were participated. Results: Significantly low proportion of natural killer (NK) cell, a core cell for innate immunity, was revealed in the grape farmers (19.8±3.3%) in comparison to the onion farmers (26.4±3.1%) and the rose farmers (26.9±2.5%), whereas cytotoxic T lymphocyte proportion was lower in the grape and the onion farmers than the rose farmers. The proportion of NKT cell, an immune cell implicated with allergic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ape (2.3±0.3%) and the onion (1.6±0.8%) farmers compared with the rose farmers (1.0±0.4%). A significantly decreased interferon-gamma:interleukin-13 ratio was observed from ex vivo stimulate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grape farmers compared with the other two groups. The grape farmers revealed the lowest levels of plasma IgG1 and IgG4, and their plasma Ig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nion or the rose farmers. Conclusion: Our finding suggests the high vulnerability of workplace-mediated allergic immunity in grape orchard farmers followed by open-field onion farmers and then the rose greenhouse farmers.

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과 군락 변화 (Occurrence of Weed Flora and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Orchard Fields of Korea)

  • 이인용;오영주;홍선희;허수정;이채영;박기웅;조승현;권오도;임일빈;김상국;성덕경;정영재;김창석;이정란;서현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1호
    • /
    • pp.21-27
    • /
    • 2017
  •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을 재배하는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과수원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에 전국을 11개 권역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63과 492종으로 국화과 86종, 화본과 63종, 두과 29종, 사초과 23종, 마디풀과 22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159종, 동계 일년생 97종, 다년생 236종이었다. 과수원별 발생잡초를 보면, 사과밭에는 50과 306종, 배밭에는 50과 304종, 포도밭에는 50과 286종, 복숭아밭에는 48과 288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쑥, 쇠별꽃, 닭의장풀, 깨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127종으로 전체의 25.8%이었고, 토끼풀, 망초, 흰명아주, 서양민들레, 소리쟁이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 30년간의 잡초군락 변화를 보면, 1990년에는 바랭이, 여뀌, 쇠비름 등이 우점하였으나, 2003년에는 바랭이, 깨풀, 쑥 등으로 변하였다. 2015년에는 바랭이, 쑥, 쇠별꽃 등으로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사료작물 윤작재배에 의한 연초포지의 제염효과 (Soil Desalinization by Pasture Crops in Tobacco Field)

  • 이철환;진정의;한철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4-28
    • /
    • 1997
  • The field experiment for field desalinization by precultivation of orchard crop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eation of chlorine contents of soil and crop uptake in the upland diverted from paddy field. After harvest of grass crops, soil samples were taken for analysis of chlorine contents of soil layers. Regardless of kinds of grass crops cutivated, contents of soil chlorine were decreased comparing to non-crop plot. Chlorine content in plant harvested at just before the flowering stag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after flowering. Chlorine uptake and dry matter were increased in order of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Sudan grass.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ed between chlorine uptake and dry matter. The content of soil chlorine decreased by higher yield of dry matter.

  • PDF

Revised Soil Survey of Yangju City in Gyunggido

  • Hyun, Byung-Keun;Sonn, Yeon-Kyu;Kim, Keun-Tae;Cho, Hyun-Jun;Jung, Sug-Jae;Choi, Jung-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1-92
    • /
    • 2017
  • Recently, agricultural lands have decreased sharply, which was caused by huge housing site, urbanization, land consolidation, and road construction etc. In particular, Yangju city near Seoul city has the most severe land use change in Korea. Therefore, we analyzed changes of land use, soil properties, and soil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soil information and soil management practices in this city. The area of crop cultivated land in Korea (2015) reduced by 12,090 ha compared to ones from the previous year (2014). The paddy field decreased by 25,421 ha but, upland field increased by 13,331 ha. One of the reasons for the reduction of the paddy field was converting paddy field to upland (20,916 ha) > others (3,056) > building (2,571) > public facilities (847) > idle land (217). But, reasons for increase of upland field were switching paddy to upland (20,916 ha) > land developed (634). The main reason of converting paddy field to upland was changing from rice to more profitable speciality crops or pulses. The cropland area (paddy fields, upland, orchard) of Yangju city reduced by 1,412 ha (2015/2014). The ratio of cropland area in each city reduced by 22.9% dramatically compared 2015 to 1999. The paddy fields located in alluvial plains in Yangju city were changed into upland or green house. The drainage classes of soil have been deteriorated because the flows of water were intercepted by road construction and other disturbance to water flows. In particular, paddy fields have been changed to not only upland, orchard, greenhouse cultivation but also to fallow and soil dressing on paddy in Yangju city. To analyze result of soil survey of Yangju city, 858 soil codes (soil phases) were used and the area was 105.17ha. The number of soil series increased from 60 to 65, and that of soil phase increased from 105 to 124. The largest increased area was Noegog soil series. 125.7ha of Neogog soil series was incorporated from the existing Sachon, Yecheon and Eungog soil series. The soil suitability class of paddy field in Ogjung huge housing site of Yangju city was the 4th grade for 32.6% of the area. The soil suitability classes of upland were 2nd and 3rd grade for 72.4% of the area. Farm land with high quality should be conserved by related law.

Oxyfluorfen을 주재(主材)로 한 과수원(果樹園) 제초제(除草劑) 조합처리(組合處理) 모형(模型)의 상호작용(相互作用) 효과(效果) 해석연구(解析硏究) (Interaction in Model of Herbicide Combination Using Oxyfluorfen to Control Orchard Weeds)

  • 구자옥;조용우;권삼열;이운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8-95
    • /
    • 1984
  • 다년생(多年生)의 심근성잡초(深根性雜草)가 우점하는 배 과수원의 합리적(合理的) 제초(除草)를 위한 Paraquat와 Oxyfluorfen 혼합조사(混合調査)을 찾고 이들에 대한 약제간(藥劑間)의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을 해석(解析)할 목적으로도 전보(前報)의 자료(資料)를 Multiple regression Polynomial 수식(數式)으로 고정시킨 후에 편미분치(偏微分値)를 구하여 해석하였다. 1. Relief-type의 등효과선(等效果線)을 추적한 결과, 본 시험 조건하에서는 처리후 90일까지의 합리적 제초 효과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Paraquat 500-$750gHa^{-1}$과 Oxyfluorfen $450\sim500gHa^{-1}$범위의 조합이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2. Paraquat의 작용(作用) : 주어진 Oxyfluorfen의 모든 약량(藥量) 조건하에서 Paraquat 혼입량은 어느 정도의 제초효과를 위하여 450-$500gHa^{-1}$이하로 하거나 최대의 효과를 위하여 $900gHa^{-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였다. 3. Oxyfluorfen의 작용(作用) : 주어진 Paraquat의 모든 약량(藥量) 조건하에서 Oxyfluorfen의 혼입량은 $235\sim700gHa^{-1}$의 영역이나 $470gHa^{-1}$에서 최대효율을 나타내었다. 4. Paraquat${\times}$Oxyfluorfen의 상호작용(相互作用) ; 두 약제가 동시에 한 약량 단위씩 증가함에 따른 상승적 제초효율 증대는 처리후 30일의 경우 Paraquat $245gHa^{-1}$과 Oxyfluorfen $235\sim470gHa^{-1}$ 수준이 만드는 조합영역(組合領域)인 것으로 인정이 되었다. 5. 이상의 결과로 영년생이 우점하는 본 시험의 경우에는 약효발현제인 Paraquat의 혼합비를 상승효과 제한 수준인 $245gHa^{-1}$보다, 높은 $500\sim750gHa^{-1}$까지 높이고 약효 협력제인 Oxyfluorfen의 혼합비는 $470\sim705gHa^{-1}$보다 낮은 $450\sim500gHa^{-1}$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높은 제초효과를 얻는데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과수원 토양의 탄화물 시용에 따른 아산화질소 발생량 감소와 토양탄소 증가효과 (Decreases Nitrous Oxide Emission and Increase Soil Carbon via Carbonized Biomass Application of Orchard Soil)

  • 이선일;김건엽;최은정;이종식;정현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3-79
    • /
    • 2017
  • 본 연구는 농가에서 버려지는 부산물을 탄화물로 변환한 후 토양에 적용하여 토양의 화학적 특성 변화와 온실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탄화물로의 활용은 세 가지의 장점이 있었다. 첫 번째 버려지는 자원은 활용하여 재이용한 측면, 두 번째 농경지의 토양탄소 함량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측면, 세 번째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를 줄일 수 있는 측면에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N_2O$ 감축기작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위해 질소순환과 연계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과원 환경과 경관 요소가 사과원 주요 나방류 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chard Environments and Landscape Features on the Population Occurrence of Major Lepidopteran Pests in Apple Orchards)

  • 김향미;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79-90
    • /
    • 2021
  • 농업생산생태계 내 경관의 구조와 구성은 해충과 천적을 비롯한 생물다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경남 거창군 80개 사과원을 대상으로 경관 구조가 나비목 해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과수원의 지정학적 특징, 농약 사용패턴과 과원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는 설문 조사를 통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과수원 주변 경관 구조는 인공위성자료에 바탕하여 추출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사과굴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잎말이나방 순으로 발생하였다. 농가에서는 살균제와 살충제를 각 12.4회, 살비제는 2.4회 살포하였다. 대부분 사과원 주변 식생은 사과 또는 논이었으며, 자두, 복숭아, 포도 또는 폐과원이 있을 경우 복숭아순나방 밀도가 특히 높았다. 복숭아심식나방 역시 주변에 복숭아나 포도가 있을 경우 그 발생량이 더 높았다. 사과굴나방은 복숭아, 포도, 폐과원 그리고 대추가 있는 지역에서 발생량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 지역에서 경관 관리는 농촌 어메니티 개선뿐 아니라 병해충 관리의 차원에서 기능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토지이용 변화지역의 토양재조사 결과 분석 (Study on Soil Survey Results of Rapid Change in Landuse)

  • 현병근;손연규;박찬원;송관철;전현정;홍석영;문용희;노대철;정소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75-483
    • /
    • 2012
  • 최근 농경지의 급격한 감소와 더불어 도시화, 경지정리, 도로공사 및 혁신도시 건설 등으로 토지이용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토지이용 변화심화지역인 경기도 고양시, 충청남도 천안시, 강원도 원주시를 대상으로 토지 이용변화실태, 토양특성변화양상, 토양도수정내용 및 기업도시 등으로 편입되는 지역의 토양환경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경지면적 (2011년)은 2009년대비 17.3 ha가 감소되었다. 논의 경우 24.2 ha가 감소되었으나, 밭의 경우에는 7.0 ha가 증가하였다. 2. 논의 면적 감소사유로는 논밭전환 (20.7 ha) > 공공시설 (3.2) ${\geq}$ 건물건축 (3.2) > 유휴지 (1.3) > 기타 (0.9) 순이며, 밭 면적의 증가원인은 논밭전환 (20.7 ha) > 개간 (4.5) > 복구 (0.3) 순이었다. 논밭전환의 이유는 논농사에서 농가소득이 높은 밭작물 내지 시설작물로 전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토지이용변화가 심한 해당시군의 농경지감소 (논, 밭, 과수)는 밭토양조사 (1995~1999) 당시와 비교 (2011년)할 때 고양시는 1,466 ha, 천안시 9,708, 원주시 6,980 ha가 감소되었으며, 1999년 대비 45%~25%의 농경지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4. 환경부 토지이용피복도의 통계자료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농식품부 통계자료와 비교시 지목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추후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5. 원주시의 토양정보 변경내용을 보면 곡간지의 일부 논토양이 밭 또는 과수원으로 토지이용이 변경되었으며, 배수등급의 경우 도로건설 등으로 인해 저습화되는 등 해당 토양의 일부 특성정보가 변경되었다. 특히, 논토양의 경우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 휴경, 성토화 등으로 토지 이용의 변화가 심하였다. 6. 원주시 혁신도시에 편입되는 논토양은 급지가 떨어지는 3~4급지가 대부분으로 3급지 70.8%, 4급지 29.2%이었다. 밭토양 역시 4급지가 88.7%인 토양으로 우량 급지가 혁신도시 건설에 속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우량농경지 보전을 위해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농경지 유형에 따른 경기, 충청지역 귀화식물의 출현 양상 (Occurrence Patterns of Naturalized Plants by Agricultural Types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South Korea)

  • 양동우;이은정;정선아;우아영;남기정;한동욱;김명현;박상규
    • 생태와환경
    • /
    • 제50권2호
    • /
    • pp.254-265
    • /
    • 2017
  • 본 연구는 중부지역 (경기도, 충청도) 농업생태계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출현 양상을 파악하고자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농경지 유형별(밭, 과수원, 논)로 연 2회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중부지역 농경지에 출현하는 식물은 77과 251속 420종이었으며, 그중 귀화식물은 18.3%인 20과 54속 77종이었다. 농경지 유형별로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종 분포 양상은 모두 차이를 보였다. 귀화식물의 분포지역은 점점 넓어지고 있으며 확산 가능성이 높은 유럽점나도나물, 미국가막사리, 봄망초 등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농경지 유형별 평균 귀화율은 밭 (25.1%), 과수원(23.0%), 논(16.1%) 순이었으며 귀화식물 종수는 과수원(21.8종), 밭(16.6종), 논(10.3종) 순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의 출현은 농경지의 환경요인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농경지 유형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귀화식물 종수는 과수원의 면적이 넓을수록 증가하며, 생태면적률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밭에서 자생식물 종수가 증가하면 귀화식물 종수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농업생태계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분포 및 확산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의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Soils-1981)

  • 박창규;마연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3
    • /
    • 1982
  • 전국의 논, 밭, 과수원 및 plastic film house 토양시료 236점을 1981년(年) 4월(月)부터 5월(月)사이에 채취(採取),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을 GLC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alpha}-BHC$, ${\gamma}-BHC$, PCNB, heptachlor, aldrin, heptachlor epoxide, ${\alpha}-endosulfan$, dieldrin, p,p'-DDD 및 p,p'-DDT 등의 잔류농약성분이 국내 농경지에서 검출되었다. 2) 과수원토양에 잔류성 유기염소계농약이 가장 많았고 논 및 밭토양의 잔류수준은 이에 비해 훨씬 낮았다. 3) 논 및 밭토양에 비해 과수원토양에는 aldrin, ${\alpha}-endosulfan$, dieldrin, p,p'-DDD 및 p,p'-DOT의 검출빈도(檢出頻度)와 잔류수준이 높았다. 4) ${\alpha}-BHC$${\gamma}-BHC$는 모든 공시토양(供試土壤)에서 검출되었으나 농경지별 차이가 없었고, 평균잔류량은 $0.008{\sim}0.014$ ppm였다 . 5) 과수원토양의 높은 p,p'-DDT의 잔류량에 관해 토론(討論)하였고 현용(現用) 또는 사용(使用)이 금지(禁止)된 농약에 대한 잔류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