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chard

검색결과 692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주요 화본과 조사료의 영양성분 간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Nutrient Components of Grass Roughages Mainly Used in Korea)

  • 김명화;서인준;김준선;이상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9-17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반추가축용 조사료 원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화본과 수입조사료 6종(bermuda grass hay, klein grass hay, oat hay, orchard grass straw, tall fescue straw and timothy hay)에 대하여 최근 NRC의 nutrient requirements of daily cattle(7th revised edition, 2001)에서 권장하는 사료의 영양성분 분석방법에 따라 일반조성분과 함께 heat-stable $\alpha-amylase$ treated neutral detergent fiber (a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cid detergent lignin(ADL), neutral detergent insoluble crude protein(NDICP)과 acid detergent insoluble crude protein(ADICP) 등의 함량을 분석하고 영양성분간의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조사료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oat hay는 CP와 NDICP(p<0.05), CP와 ADICP(p<0.01)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고, orchard grass straw는 CP와 NDICP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p<0.05). Tall fescue straw도 CP와 NDICP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timothy hay는 CP와 ADICP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p<0.05). Klein grass hay는 CF와 aNDF (p<0.01), oat hay는 CF와 ADF(p<0.05), orchard grass straw는 CF와 ADL(p<0.05), tall fescue straw는 CF와 aNDF(p<0.01), CF와 ADF(p<0.01), timothy hay는 CF와 aNDF(p<0.01), CF와ADF(p<0.05), CF와 ADL(p<0.01)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영양성분 간에 상관관계가 높은 성분들 간에는 앞으로 조사료의 영양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들을 고정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분석점수를 많이 하여 회귀식을 만들 수 있다면 수입조사료 평가에 실질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韓國)에 도입(導入)된 Orchard grass(Pactylis glomerata L.) 중요형질(重要形質)에 관(關)한 육종학적(育種學的) 연구(硏究) (I) (Ecological Studies on the Major Characters of Introduced Orchard grass Varieties)

  • 김영래;최창열;길경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179-185
    • /
    • 1975
  • Orchard grass의 내한성생태형(耐旱性生態型)을 선발(選拔)하고 기타중요형질(其他重要形質)에 관(關)한 예비실험(豫備實驗)을 실시(實施)한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Orchard grass는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충분(充分)하였을 때 초기생육(初期生育)은 품종간(品種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으며 Turkey's D=0.84였다. 그러나 생육(生育)이 진행(進行)함에 따라 품종간(品種間) 초장(草長)에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2) 질소(窒素)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와 배비구간(倍肥區間) 생육(生育)에 있어서는 품종간(品種間)의 유의차(有意差)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배비구(倍肥區)는 초장(草長)이 20~30% 더 생장(生長)하였으며 그 질소반응성(窒素反應性) 비교적(比較的) 높다고 추정(推定)된다. 3) 한발(旱魃)에서 생존(生存)한 품종(品種)들은 분얼수(分蘖數)가 고사품종(枯死品種)들에 비(比)하여 많으며 약간(若干)의 품종(品種)을 제외(除外)하면 높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된다. 그러나 초장(草長)에 있어서는 양자간(兩者間)에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4) Merita, Phyllox 및 Dorise등(等) 품종(品種)들은 전개체가 한발조건(旱魃條件)에서 생존(生存)하였으며 그 초장(草長) 및 경수(莖數)는 각각(各各) Merita가 26.4cm 24.2개(個), Phyllox가 31.4cm, 24.6개(個) Dorise가 26.8cm, 35.6개(個)였다.

  • PDF

국내 사과원 생태계에서 CO2의 연간 순생태 교환량 추정 (The Estimation of Annual Net Ecosystem Exchange of CO2 in an Apple Orchard Ecosystem of South Korea)

  • 심교문;민성현;김용석;정명표;최인태;강기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8-35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사과원 생태계에 대한 $CO_2$ 및 에너지(현열, 잠열) 플럭스를 에디공분산 기법으로 정량화하고 이들의 계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2006년 국내 사과원 생태계의 누적 NEE는 $-396.9g\;C\;m^{-2}$으로, 유사한 환경 조건에서 수행된 이탈리아의 사과원 생태계의 NEE ($-380.0g\;C\;m^{-2}$)와 아주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양국의 사과원 생태계에서 일 최대 NEE는 6월 하순에 관측되었다. 다만, 국내 장마기간에 해당되는 7월의 NEE는 양국의 과수원 생태계에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과수원 생태계와 같은 집약적으로 관리되는 생태시스템에서도 NEE의 변화가 관개 등 영농활동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지만, 기온, 강수량 등 환경조건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사과원 생태계의 탄소 흡수능력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3년 이상의 장기적인 플럭스 자료를 토대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상호 검증과 탄소수지 평가를 위해서는 챔버방식의 생태학적 접근도 추가로 필요할 것이다.

잣나무 클론 채종원에서 간벌 강도에 따른 개량효과와 유전다양성 (Genetic Gain and Diversity in a Clonal Seed Orchard of Pinus Koraiensis Under Various Thinning Intensities)

  • 오창영;한상억;김장수;강규석;이병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3-268
    • /
    • 2008
  • 잣나무 채종원의 유전간벌을 위하여 재적생장에 대한 개량 효과와 유효클론수를 이용한 유전다양성을 평가하였다. 유전 간벌은 클론의 일반조합능력으로 나타나는 육종가(breeding value), 암꽃과 수꽃 개화량을 이용한 종자생산 기여도, 클론별 ramet수 등를 이용한 클론별 변이를 기초로 하였다. 차대 검정 결과에 의하여 산출된 재적생장에 대한 클론별 일반조합능력(genetic value) 및 1991년부터 2003년까지 조사된 개화량 성적을 이용하여 잣나무 채종원(1981년 조성) 179클론에 대하여 간벌 강도에 따른 유전다양성 및 개량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채종원 외부로부터의 화분오염율은 30%(gene migration = 1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재적생장에 대한 개량효과는 간벌율이 10%에서 60%까지 높아짐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보다 더 높은 간벌 강도에서 현저한 개량효과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효클론수는 간벌강도 10%에서 60% 사이에서는 40클론으로 나타났으며, 70% 간벌율 이상에서는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동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잣나무 채종원에 대해서는 50%에서 60% 수준의 간벌 강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형에 따른 전북지역 과수원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Relationships betwee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opography in Jeonbuk Orchard Fields)

  • 안병구;이진호;하상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59-865
    • /
    • 2011
  • 지형에 따른 전북지역 과수원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재배면적과 과수종류에 따라 110개 지점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전라북도 과수원 분포지형은 곡간 및 선상지, 구릉 및 산악지, 산록경사지, 하성평탄지, 홍적대지 하해혼성평탄지였으며, 구릉 및 산악지가 가장 많은 46.0%을 차지하고 있었다. 곡간 및 선상지의 토성은 사질식양토가 66.6%였고, 구릉 및 산악지는 토성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용적밀도, 공극률 및 경도는 지형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유효수분상수는 홍적대 지에서 19.5%로 가장 높았다. 토양 pH와 EC는 하해혼성평탄지에서 가장 높았고,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K, Ca, Na은 지형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치환성 Mg은 하해혼성 평탄지에서 $3.5cmol_c\;kg^{-1}$으로 가장 높았다. 토양 pH와 유기물은 과수에 따라 적정수준을 보였지만, 유효인산, 치환성 K, Ca 등은 적정 수준보다 높아 적절한 양분관리가 필요하다. 지형과 과수에 따라 중금속함량은 우려기준을 초과한 경우는 없었다.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미생물 군집 비교 (Comparison of Microbial Community of Orchar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 이영한;이성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92-497
    • /
    • 2011
  •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25개소를 대상으로 2010년에 미생물 군집을 분석하고 토성, 지형 및 작물별 주요 변동요인을 주성분 분석으로 해석하였다.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평균값은 총 FAME 함량이 $332nmol\;g^{-1}$이었으며 총 세균 함량은 $94nmol\;g^{-1}$, 그람음성 세균 함량은 $46nmol\;g^{-1}$, 그람양성 세균은 $42nmol\;g^{-1}$, 방선균 함량은 $4.8nmol\;g^{-1}$, 곰팡이 함량은 $54nmol\;g^{-1}$, 내생균근균 함량은 $9.1nmol\;g^{-1}$ 이었다. 미생물의 환경스트레스 지수인 토양 cy19:0과 18:$1{\omega}7c$ 비율은 사양토에서 0.36으로 양토 0.80 보다 유의적으로 낮아 (p<0.05) 토양 미생물의 스트레스가 적었다. 과수원 토양 평균 미생물은 총 세균이 28.1%, 곰팡이 15.9%, 그람음성 세균은 13.6%, 그람양성 세균은 12.5%, 내생균근균 2.8%, 방선균 1.4%의 비율을 나타냈다. 복숭아 재배지의 토양 그람음성 세균 군집은 15.2%로서 배 재배지 12.8%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지형, 토성, 작물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토양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을 관리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과 중소과 생산이 농가소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ducing Medium Size Fruits on the Profitability of an Apple Orchard)

  • 정혜웅;이재영;박무용;최병순;이재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5권1호
    • /
    • pp.75-84
    • /
    • 2013
  • 2011년 4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사과주산지 상업사과원에서 왜성대목을 이용한 '후지'와 '홍로' 사과원에 대하여 사과원 경영형태와 이에 따른 과실특성과 수익성을 조사하였다. '후지' 품종의 사과는 300g 이상의 과실을 '홍로' 품종의 사과는 330g 이상의 과실을 대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착과밀도와 유효수량을 비교한 결과 '후지' 품종의 사과나무는 주간 단면적당 3.28개, 0.96kg의 과실을 '홍로' 품종의 사과나무는 4.04개, 1.01kg의 과실을 생산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과원경영형태를 대과생산, 중소과생산, 병행으로 구분하여 단위면적당 전체 수량과 과실 등급별 수량을 비교한 결과 착과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면적 당 수량은 증가하였다. 반면 착과밀도의 증가는 대과생산량을 저하시키고 중소과생산을 증가시켰다. 생산된 과실을 과중에 따라 구분한 후 과실특성을 비교한 결과 과중은 과실특성에 유의한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대과 생산과 비교하여 중소과 생산은 과원 경영을 위한 투입비용을 감소시켰고 그 결과 과원경영에 의한 소득구조를 개선시켰다.

Effect of labor saving by crawler-type truck in steep slope orchards

  • Tsurusaki, T.;Yamashita, J.;Imoto, T.;Satou, K.;Hikita, M.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1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KOEX, Seoul; 22-24 Oct. 1991
    • /
    • pp.1580-1584
    • /
    • 199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from the viewpoint of labor science, the effect of labor saving by crawler-type truck, which has been used for the rationalization of transportation labor in the citrus orchard on steep slops, and to find out how effectively to utilize the crawler-type truck.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mentioned above, portable heart rate memory for measuring physical response of laborer was taken,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citrus orchard on steep slopes in Japan.

  • PDF

기계시각과 퍼지논리를 이용한 스피드스프레이어의 자율주행(I) -그래픽 시뮬레이션- (Autonomous SpeedSprayer Using Machine Vision and Fuzzy Logic (I) -Graphic Simulation-)

  • 조성인;기노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2호
    • /
    • pp.167-174
    • /
    • 1996
  • A Fuzzy Logic Controller(FLC) was developed for the autonomous operation of speedsprayer in an orchard. The autonomous operation with the FLC was graphically simulated under the real condition of the orchard. Image processing was us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running and four ultrasonic sensors were used to detect obstacles for the running.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speedsprayer could be operated autonomously with the FLC combined with the image processing and the ultrasonic sensors.

  • PDF